KR200197979Y1 -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7979Y1 KR200197979Y1 KR2020000012472U KR20000012472U KR200197979Y1 KR 200197979 Y1 KR200197979 Y1 KR 200197979Y1 KR 2020000012472 U KR2020000012472 U KR 2020000012472U KR 20000012472 U KR20000012472 U KR 20000012472U KR 200197979 Y1 KR200197979 Y1 KR 2001979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telephone
- handset
- switch
- cal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와 유선전화기에 고정부착하는 고정장치와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마이크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 고정장치의 통화선택부를 원격 조작하여 통화상태로 전환하는 통화스위치부로 구성된다. 고정장치는 휴대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화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선전화기 본체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의 출력신호 또는 송수화기의 송화음이 선택적으로 전화기 본체로 입력하는 제1스위치, 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로 구성되는 고정장치, 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에 의해 벨을 울리는 링거부, 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신호를 전화기 본체 또는 고정장치의 링거부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화선택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장치와 유선전화기에 고정부착하는 고정장치와의 사이에 무선통신을 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선전화기는 송수화기와 본체가 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송수화기를 들고 통화를 하기가 어렵고 반드시 본체쪽으로 가까이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이러한, 기존 유선전화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무선전화기가 개발되었고 널리 보급되어 있다. 무선전화기는 고정국과 송수화기로 구성되어, 가까운 지역내(수~수십 m 이내)에서 고정국과 송수화기 간에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고정국에서 떨어진 다른 방이나 대문 밖에서도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전화도 단점이 있다. 우선 가격이 유선전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싸다는 점이다. 고정국과 송수화기간에 무선통신을 해야 하는데 필요한 부가회로가 추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무선전화기의 송수화기 자체가 크고 무겁다.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는 비록 이동반경은 작지만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웠으나, 무선전화기의 송수화기는 이동성은 좋다 하더라도 무선통신 회로와 전화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이유로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겁다. 따라서, 무선전화기를 사용하더라도 이동성은 향상될망정, 양손을 자유롭게 해방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전화를 받으면서 다른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또, 무선전화기는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다. 유선전화기는 전화선에 흐르는 약 60V의 전압을 이용하여 동작되지만, 무선전화는 무선송수신부를 동작하기 위한 별도의 전압을 통상 어댑터를 통해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어댑터 연결선이 추가로 접속되는 등 사용상, 설치상 불편하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 한 대 정도는 무선전화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여러가지 단점들 때문에, 사무실에서 각 책상마다 또는 가정에서 각 방마다 무선전화를 설치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실제로 사무실에서도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전화를 해야 할 일이 많은 것과, 유선전화기의 설치상 편의, 무게의 가벼움, 가격의 저렴함을 고려해 볼 때 유선전화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핸즈프리 장치를 적용할 필요성이 크다.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개발되어 있는 것에 헤드폰과 마이크를 일체화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존의 전화기에 연결하는 유선식이라서 책상에 앉거나 씽크대 앞에 서서 작업할 때에만 가능한 장치이다. 더욱이 유선이기 때문에 작업상 거추장스러운 점이 많이 있어서 실제로 편리하게 사용하기가 힘들다.
본 고안자는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화음을 송출하면 유선전화기(이하, '전화기')에 부착된 무선수신기로 이를 수신하여 송화음을 발신하고 전화기의 수화음은 전화기 자체의 스피커폰 기능에 의해 직접 들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화음을 송출하면 전화기에서는 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국선을 통해 발신하고, 전화기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에서의 휴대장치의 회로구성도(a)와 외관도(b)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고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2b는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고정장치의 설치를 위한 송수화기 거치대
도3a는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휴대장치의 회로구성도
도3b는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고정장치의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마이크(11), 송신부(10), 저주파증폭부(13), 변조부(15), 발진부(16), 주파수체배부(17), 전력증폭부(19), 수신부(21), 스피커(23), 송신부(25), 송신부(30), 수신부(50), 휴대장치(100), 클립(102), 고정장치(200), 유선전화기 본체(300), 송수화기(400), 제1코넥터(201), 제2코넥터(203), 제3코넥터(205), 링거부(207), 통화선택부(209), 제1스위치(SW1), 제2스위치(SW2), 릴레이(RL1)
개요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유선전화기에 고정장치를 부착하고, 사용자는 휴대장치를 휴대하면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이다. 이때, 두가지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는데,
하나는 사용자가 휴대장치를 통해 송화를 하면 송화음이 무선으로 송출되어 유선전화기에 부착된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 발신되고 전화기로부터의 수화음은 직접 수신기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도록 구성된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화음을 송출하면 전화기에서는 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국선을 통해 발신하고 전화기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이다.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개요
단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장치에서 무선으로 송화음을 송출하면 전화기에 부착된 고정장치에서 이를 수신하여 송화음을 발신하고 전화기의 수화음은 전화기 자체의 스피커폰 기능에 의해 직접 들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휴대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마이크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 고정장치의 통화선택부를 원격 조작하여 통화상태로 전환하는 통화스위치부로 구성된다.
고정장치는 휴대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화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유선전화기 본체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의 출력신호 또는 송수화기의 송화음이 선택적으로 전화기 본체로 입력하는 제1스위치, 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로 구성되는 고정장치, 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에 의해 벨을 울리는 링거부, 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신호를 전화기 본체 또는 고정장치의 링거부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화선택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연동스위치(ganged switch)로서 수신부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동시에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화선택부는 휴대장치의 통화스위치부에 의해 무선으로 조작된다.
한편, 송신기의 마이크는 송신기 본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송신기 외부에서 접속하여 사용하는 외장형일 수도 있다. 또한, 송신기의 외관에는 의복에 착탈가능한 클립이 부착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할 수도 있고, 단순히 포켓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 수신기에는 수신부와 스피커가 유선전화기 본체와 연결됨을 나타내는 표시램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단방향성의 실시예
휴대장치의 회로구성과 외관구성은 도1의 (a)와 (b)에 나타낸다. 회로는 크게 송신부(10)와 마이크(11)와 통화스위치부(12)로 구성되는데,
송신부(10)는 마이크(1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 저주파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는 변조부,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를 높히는 주파수체배부, 안테나로 송출될 수 있는 크기로 무선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송신부(10)의 회로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다.
통화스위치부(12)는 고정장치로 하여금 전화기의 통화선택부(본체의 훅스위치 역할)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캐리어(CW)에 음성신호를 싣는 대신에 캐리어를 단속하여 안테나로 송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고정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1의 (b)는 휴대장치(100)의 외관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a)와 같은 회로를 내장하는 케이스는 가능한한 작아서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도1의 (b)에 나타낸 송신기의 외관에는 의복의 적당한 곳에 끼울 수 있도록 클립(102)이 부착되어 있다. 휴대용 FM라디오나 무선호출기(삐삐)에 적용되고 있는 클립과 같은 것이다.
물론, 휴대장치(100)는 이 클립 대신에 여러가지로 휴대하기 편한 구조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손걸이끈이나 목걸이용 끈이나 허리띠용 착용대, 펜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형태도 도1(b)와 달리,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 형식으로 할 수 있고, 앞치마나 셔츠 포켓에 들어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가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휴대장치의 마이크(11)는 내장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외부에서 접속하여 사용하는 외장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송신기를 바지 주머니 등에 넣고 마이크만 셔츠 단추 등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장 마이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이크의 연결선을 송신 안테나와 겸할 수 있어 크기나 원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2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200)의 회로구성이다. 전체적으로, 유선전화기 본체(300)와 송수화기(400) 사이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송수화기(400) 연결선을 접속하는 제1코넥터(201)와, 본체(300)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는 제2코넥터(203)와, 본체(300)의 국선 연결잭과 연결되는 제3코넥터(205)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제3코넥터(203, 205)는 각각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 연결잭 및 국선 연결잭과 연결되는 코넥터로서 양쪽 다 모듈라 플러그가 달린 전화연결선을 통해 상호 연결한다. 제1코넥터(201)는 본체에서 떼어낸 송수화기(400)를 연결시키는 잭으로서, 송수화기에 달린 연결선(흔히 코일선임)을 직접 접속하면 된다.
회로구성은 다음과 같다.
휴대장치(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인 송화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21),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23), 유선전화기 본체(300)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21)의 출력신호 또는 송수화기(400)의 송화음을 선택적으로 유선전화기 본체로 입력시키는 제1스위치(SW1), 유선전화기 본체(300)로부터의 수화음을 스피커(23) 또는 송수화기(400)에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2스위치(SW2), 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에 의해 벨을 울리는 링거부(207), 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신호를 전화기 본체 또는 고정장치의 링거부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화선택부(209)로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21)는 통상의 무선수신회로로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RF수신부, 수신된 무선신호에서 캐리어를 제거하여 저주파신호로 복원하는 복조부, 복조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는 AF증폭부로 구성된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주지된 관용기술이다.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는 연동스위치(ganged switch)로서 수신부(21) 및 스피커(23), 또는 송수화기(400)가 동시에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위치는 2극2로(dpdt) 스위치를 쓰면 가능하다. 즉, 한번의 조작으로 2개의 회로가 전환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당업자라면 어떠한 종류의 스위치라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통화선택부(209)는 릴레이(RL1)를 포함하는데, 휴대장치(100)의 통화스위치부(12)를 조작하면 통화선택부(209)가 동작하여 릴레이(RL1)를 링거부(207) 또는 전화기 본체쪽으로 전환한다. 평소에는 통화선택부(209)가 링거부(207) 쪽으로 붙어있기 때문에 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이 링거부(207)를 동작시켜 벨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일단 링거부(207)가 동작을 하면, 휴대장치에서 사용자가 통화스위치(12)를 조작할 수 있고, 이에따라 통화선택부(209)가 동작하여 릴레이(RL1)가 링거부(207)를 끊고 전화기 본체로 연결하면 전화통화가 되는 것이다.
회로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고정장치(200)에는 수신부(21)와 스피커(23)가 유선전화기 본체(300)와 연결되어 있는지, 아니면 송수화기(400)가 본체(300)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램프(pilot lamp)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는 저전력소모형 LED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켜지도록 연결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23)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노브를 추가할 수 있다. 볼륨노브는 스피커(23) 전단의 저주파증폭단의 출력단에 가변저항을 삽입하는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가할 수 있다.
고정장치(200)는 도2b와 같이 설치할 수 있다. 요지는 훅스위치를 전화기 본체에서는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a)와 같이 생긴 송수화기 거치구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송수화기 거치구는 (a)에서와 같이 상하로 접힐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하다. 하단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전화기 본체의 훅스위치 하부에 부착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핸즈프리의 고정장치를 연결할 경우에는 전화기 본체의 훅스위치를 항상 통화상태로 해야 하므로 (b), (c), (d)와 같이 거치구를 전화기 본체에 부착하여 송수화기를 들어올린 상태로 올려놓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휴대장치(100)와 고정장치(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장치(200)를 전화기 본체(300)와 송수화기(400) 사이에 도2a와 같이 연결한다. 평소에는 통화선택부(209)가 작용하지 않아 릴레이(RL1)가 링거부(207)와 국선을 연결해 놓기 때문에, 전화가 올 때에 고정장치(200)에 내장된 링거부(207)에 의해 벨이 울린다.
사용자는 벨소리를 듣고 휴대장치(100)의 통화스위치부(12)를 조작하여 통화상태로 한다. 통화스위치부(12)를 조작하면 무선으로 고정장치(200)의 통화선택부(209)를 동작시켜 릴레이가 링거부(207)에서 떨어져 국선라인이 전화기 국선 연결잭으로 들어간다.
사용자가 휴대장치(100)의 마이크(11)에 대고 말을 하면, 마이크(11)로 들어간 음성신호는 송신부(10)에 의해 무선주파수로 변환되어 송출되고, 무선신호는 고정장치(200)의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되어 저주파 음성신호로 복원된다.
저주파 음성신호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SW1, SW2)의 공통단자를 통해 전화기 본체(300)의 송화음 입력단으로 들어가 전화기 동작에 의해 국선을 타고 발신된다. 한편, 전화기 본체(300)의 수화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고정장치(200) 내의 스피커(23)에 의해 재생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화음은 무선으로 전화기 본체로 입력되지만, 수화음은 직접 전화기 본체에서 수신기로 유선을 통해 출력된다. 일종의 스피커폰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다. 사무실 등에서와 같이 일정 영역 안에서는 스피커폰 소리를 청취할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 입력만 무선으로 송신하고 수화음은 스피커폰으로 직접 들어도 관계가 없다.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의 개요
양방향성 무선 핸즈프리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장치에서 무선으로 송화음을 송출하면 전화기에 부착된 고정장치에서는 이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국선을 통해 발신하고, 전화기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으로 사용자의 휴대장치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휴대장치는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는데, 송신부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마이크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변조부, 무선 전력증폭부, 통화스위치부로 구성된다. 수신부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저주파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부의 구성은 관용기술로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고정장치는 휴대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화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 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 전화기 본체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 또는 송수화기와 전화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위치, 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송신부 또는 송수화기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 링거부, 통화선택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연동스위치(ganged switch)로서 수신부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동시에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화선택부는 휴대장치의 통화스위치부에 의해 무선으로 조작된다.
한편, 송신기의 마이크는 송신기 본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송신기 외부에서 접속하여 사용하는 외장형일 수도 있다. 또한, 송신기의 외관에는 의복에 착탈가능한 클립이 부착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할 수도 있고, 단순히 포켓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 수신기에는 수신부와 스피커가 유선전화기 본체와 연결됨을 나타내는 표시램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양방향성의 실시예
휴대장치의 회로구성과 외관구성은 도3a에 나타낸다. 회로는 크게 송신부(30)와 마이크(11)와 통화스위치부(12)와 수신부(50)로 구성되는데,
송신부(30)는 마이크(1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 저주파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는 변조부,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를 높히는 주파수체배부, 안테나로 송출될 수 있는 크기로 무선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전력증폭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송신부(30)의 회로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다.
통화스위치부(12)는 앞에서 설명한 단방향성 핸즈프리 장치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수신부(50)는 고주파수신부, 복조부, 저주파증폭부, 스피커(51)로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무선 수신회로와 동일한 주지관용 기술이다.
본 실시예의 휴대장치도 도1의 (b)에 나타낸 외관구성을 할 수 있다. 다만, 스피커(SP)가 부착되고 외부 이어폰을 꽂을 수 있는 잭이 추가될 수 있는 점이 다르다.
도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안의 고정장치(200)의 회로구성이다. 전체적으로, 유선전화기 본체(300)와 송수화기(400) 사이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송수화기(400) 연결선을 접속하는 제1코넥터(201)와, 본체(300)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는 제2코넥터(203)와, 본체(300)의 국선 연결잭과 연결되는 제3코넥터(205)가 구비된다.
단방향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제3코넥터(203, 205)는 각각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 연결잭 및 국선 연결잭과 연결되는 코넥터로서 양쪽 다 모듈라 플러그가 달린 전화연결선을 통해 상호 연결한다. 제1코넥터(201)는 본체에서 떼어낸 송수화기(400)를 연결시키는 잭으로서, 송수화기에 달린 연결선(흔히 코일선임)을 직접 접속하면 된다.
회로구성은 다음과 같다.
휴대장치(10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신호인 송화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21), 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5), 전화기 본체(300)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21)의 출력신호 또는 송수화기(400)의 송화음을 선택적으로 유선전화기 본체로 입력시키는 제1스위치(SW1), 전화기 본체(300)로부터의 수화음을 송신부(25) 또는 송수화기(400)에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제2스위치(SW2), 링거(207), 통화선택부(209)로 구성된다.
이는 도2a에 도시한 단방향성 핸즈프리 장치의 고정장치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스피커(23) 대신에 송신부(25)가 포함되는 것이 다르다. 양방향성 고정장치의 전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휴대장치(100)와 고정장치(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고정장치(200)를 전화기 본체(300)와 송수화기(400) 사이에 도3b와 같이 연결한다. 전화가 올 때에, 고정장치(200)에 내장된 링거부(207)에 의해 벨이 울린다.
사용자는 휴대장치(100)의 통화스위치부(12)를 조작하여 통화상태로 한다. 통화스위치부(12)를 조작하면 무선으로 고정장치(200)의 통화선택부(209)를 동작시켜 릴레이가 링거부(207)에서 떨어져 국선라인이 전화기 국선 연결잭으로 들어간다.
사용자가 휴대장치(100)의 마이크(11)에 대고 말을 하면, 마이크(11)로 들어간 음성신호는 송신부(10)에 의해 무선주파수로 변환되어 송출되고, 무선신호는 고정장치(200)의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되어 저주파 음성신호로 복원된다.
저주파 음성신호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SW1, SW2)의 공통단자를 통해 전화기 본체(300)의 송화음 입력단으로 들어가 전화기 동작에 의해 국선을 타고 발신된다.
한편, 전화기 본체(300)의 수화음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고정장치(200) 내에서 무선신호로 변환되어 휴대장치(100)의 스피커(51)에 의해 재생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송화음이 무선으로 전화기 본체로 입력되고, 수화음도 전화기 본체에서 무선으로 송출되어 휴대장치에서 출력된다.
이상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로써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예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가령,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기를 전화기 본체와 별개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유선전화기를 생산할 때에 함께 내장하고 송신기를 전화기의 부속물로서 판매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무선전화기보다 매우 저렴한 비용(유선전화기 생산비용에서 조금 더 추가되는 정도의)으로 편리한 핸즈프리 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 있는 일반 유선전화기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를 실현할 수 있다. 송신기 자체를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종래의 핸즈프리 또는 무선전화기와 같이 불편함을 느낄 필요가 없고, 설치상 편의, 무게의 가벼움, 가격의 저렴함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마이크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송신부(10),고정장치의 통화선택부를 원격 조작하여 통화상태로 전환하는 통화스위치부(12)로 구성되는 휴대장치와,휴대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화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21),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3),유선전화기 본체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의 출력신호 또는 송수화기의 송화음이 선택적으로 전화기 본체로 입력하는 제1스위치(SW1),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스위치(SW2),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에 의해 벨을 울리는 링거부(207),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신호를 전화기 본체 또는 고정장치의 링거부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화선택부(209)로 구성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1),마이크 출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변조부,무선 전력증폭부, 통화스위치부로 구성되는 송신부(30)와,무선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저주파증폭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수신부(50)로 구성되는 휴대장치와,휴대장치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송화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수신부(21),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송신부(25),전화기 본체의 송수화기 연결잭과 연결되어 수신부 또는 송수화기와 전화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스위치(SW1),전화기 본체로부터의 수화음을 송신부 또는 송수화기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스위치(SW1),국선으로부터의 착신음에 의해 벨을 울리는 링거부(207),국선에 연결되어 국선신호를 전화기 본체 또는 고정장치의 링거부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통화선택부(209)로 구성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청구항 1에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연동되어 수신부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동시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
- 청구항 2에서,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는 연동되어 수신부 및 송신부, 또는 송수화기가 동시에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서, 통화선택부는 국선신호를 링거부 또는 전화기 본체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서, 전화기 본체의 훅스위치는 항상 통화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기용 핸즈프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2472U KR200197979Y1 (ko) | 2000-05-02 | 2000-05-02 |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2472U KR200197979Y1 (ko) | 2000-05-02 | 2000-05-02 |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7979Y1 true KR200197979Y1 (ko) | 2000-10-02 |
Family
ID=1965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2472U KR200197979Y1 (ko) | 2000-05-02 | 2000-05-02 |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7979Y1 (ko) |
-
2000
- 2000-05-02 KR KR2020000012472U patent/KR20019797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1063780A3 (en) | Integrated apparatus with am/fm headset and wireless telephone device | |
JP2001339485A (ja) |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 |
KR200197979Y1 (ko) | 유선전화기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 |
KR20110080306A (ko) | 보청기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 |
KR200293071Y1 (ko) |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 |
CA2265145C (en) | Communication system for telephone | |
JPH0951369A (ja) | 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付き電話装置 | |
KR100367283B1 (ko) |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 |
KR100371449B1 (ko) | 무선 이어폰/마이크를 갖는 착탈형 무선전환장치 | |
JPH04180329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426582B2 (ko) | ||
JPS63187845A (ja) | 無線電話装置 | |
JPS63187844A (ja) | 無線電話装置 | |
KR20010091272A (ko) | 인터넷폰 겸용 전화기 | |
JP2534209Y2 (ja) | 補聴器対応式コードレス電話機 | |
KR200172027Y1 (ko) | 무선 이어폰마이크 통화시스템 | |
KR20010036594A (ko) | 외부신호 수신 휴대용 핸즈프리 무선전화 시스템 | |
JP3042241U (ja) | ラジオ付き携帯型電話器 | |
KR200164749Y1 (ko) | 라디오기능이부가된소형전화기 | |
KR19990011641U (ko) | 이동전화용무선핸즈프리(송.수신기)세트 | |
JP2000049927A (ja) | セルラー無線通信端末機のハンドフリー装置 | |
KR200225634Y1 (ko) | 유무선 겸용 핸즈프리 장치 | |
KR200210158Y1 (ko) | 휴대폰 수신음 자동 연결 장치 | |
KR200202242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장치 | |
KR20010074285A (ko) | 컴퓨터음성인식용 마이크로폰 겸용 무선전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706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