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30Y1 -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30Y1
KR200197330Y1 KR2020000011848U KR20000011848U KR200197330Y1 KR 200197330 Y1 KR200197330 Y1 KR 200197330Y1 KR 2020000011848 U KR2020000011848 U KR 2020000011848U KR 20000011848 U KR20000011848 U KR 20000011848U KR 200197330 Y1 KR200197330 Y1 KR 200197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button
digital
digi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철
Original Assignee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1975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6830A/ko
Application filed by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테크정보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1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발생하는 버튼 접점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에 대응한 음성발생속도를 향상시킨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 및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키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버튼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키 매트릭스로부터 제공받아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병렬 인터페이스부와; 병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각 버튼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각 디지트별로 분석하여 디지트별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숫자정보를 검출하는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와;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 음성데이터가 저장된 음성메모리와; 음성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숫자별 디지털 음성데이터 중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에 의해 검출된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검출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해당 숫자별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키 매트릭스로부터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판독한 후, 판독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키 입력에 따른 음성출력이 신속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전화번호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번호의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Apparatus for voice confirmation function of call number}
본 고안은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발생하는 버튼 접점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이얼링에 대응한 음성발생속도를 향상시킨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래의 통신서비스는 지능화, 영상화, 개인휴대가 가능함 및 멀티미디어기능을 갖추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요소를 극복함으로써,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종래의 저속 데이터, 음성, 정지화상 등의 협대역 통신서비스에서 고속의 데이터, 고품질의 동화상, 고화질의 텔레비젼 등의 광대역 통신서비스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방에게 의사 전달을 하기 위한 표현은 단순한 몸 동작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봉화나 북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먼 곳까지 간단한 내용을 전달할 수 있었다. 그후, 인쇄술과 전신 전화와 같은 통신수단이 발달함으로써, 정확한 내용을 더 멀리까지 전달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현재 전기 통신망의 원천이 되었다.
전기 통신망은 단말기, 전송 시스템 및 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며, 그중 경로 선택 및 접속을 통해 정보 전달을 담당하는 교환기는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음성으로 대화할 수 있게 한다.
전화기는 사용 용도에 따라 가정용 일반전화기와 기업용 키폰 및 일반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공중전화기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화기는 종래 제공되는 단순한 통화장비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기능들이 전화기에 부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의 전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 감지부(101)와, 홀더 회로(102)와, 통화 회로(103)와, 다이얼러(104)와, 핸드 셋(105)과, 중앙처리장치(106)와, 버튼부(107)와, 단축다이얼 기억부(108) 및 음성 녹음부(109)로 구성된다.
여기서, DTMF신호 감지부(101)는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정보를 중앙처리장치(106)로 출력하며, 홀더 회로(102)는 중앙처리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통화를 보류하며, 통화 회로(103)는 국선으로부터 유입되는 링신호를 검출하거나 중앙처리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통화음성신호를 처리한다. 다이얼러(104)는 중앙처리장치(106)로부터 인가되는 전화번호에 따라 DTMF신호를 국선으로 송출함으로써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고, 핸드 셋(105)은 사용자가 입력한 통화음성신호를 중앙처리장치(106)측에 입력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106)로부터 인가되는 통화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단축다이얼 기억부(108)는 중앙처리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리다이얼(Redial) 전화번호와 단축다이얼 전화번호를 저장하며, 음성 녹음부(109)는 중앙처리장치(106)의 제어에 따라 상대방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된 사용자의 응답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송출한다. 버튼부(107)는 다이얼 버튼(110), 리다이얼 버튼(111) 및 단축다이얼 버튼(112)을 포함하며, 다이얼 버튼(110)은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중앙처리장치(106)로 전달하고, 리다이얼 버튼(111)은 최종적으로 다이얼링했던 전화번호를 다시 다이얼링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을 중앙처리장치(106)측에 출력하며, 단축다이얼 버튼(112)은 단축 다이얼링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을 중앙처리장치(106)에 출력한다.
이때, 다이얼 버튼(110)을 통해 중앙처리장치(106)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중앙처리장치(106)는 다이얼 버튼(110)으로부터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러(104)에 출력한다. 이때, 다이얼러(104)는 중앙처리장치(106)로부터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DTMF신호를 발생하여 통화 회로(103), 홀더 회로(102) 및 DTMF신호 감지부(101)를 통해 국선으로 DTMF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장치(106)를 통해 핸드 셋(105)의 수화기로 DTMF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DTMF신호는 국선으로 송출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DTMF신호를 청취함으로써, 자신이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송출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사용자가 리다이얼 버튼(111) 혹은 단축다이얼 버튼(112)을 입력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통상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다이얼 버튼(110), 리다이얼 버튼(111) 혹은 단축다이얼 버튼(112)을 이용하여 다이얼링하는 경우, 다이얼러(104)가 전화번호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국선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핸드 셋(105)의 수화기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번호의 송출여부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가 정확하게 다이얼링되었는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DTMF신호가 송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잘못 입력한 경우에도 DTMF신호를 그대로 송출하게 되어 사용자가 통화하기 원하는 가입자와의 정확한 호 접속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1992-20166호(출원일: 1992. 10. 30)와 같은 음성안내 전화기가 제시된 바 있다. 즉, 종래의 음성안내 전화기에 의하면, 전화번호 디지트에 따라 DTMF신호를 발생하여 국선으로 송출하는 다이얼러와, 다이얼 버튼과 리다이얼 버튼 및 단축다이얼 버튼을 구비하여 다이얼링 지시명령을 출력하는 버튼부와, 다이얼 전호번호를 저장하는 단축다이얼 기억부를 포함하는 전화기에서, 각 다이얼 디지트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기억부와, 리다이얼 버튼과 단축다이얼 버튼으로부터 다이얼링 지시명령이 인가되면 단축다이얼 기억부로부터 검출한 전화번호의 각 디지트를 순서대로 다이얼러로 출력함과 동시에 각 디지트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것을 지시하는 음성출력 지시명령을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출력 지시명령에 따라 음성기억부로부터 검출한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발생부를 포함하며, DTMF신호를 이용하여 각 디지트별로 음성신호를 발생하여 스피커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화번호를 확인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음성확인 전화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국선으로 출력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분석한 후, 각 디지트별로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음성의 출력속도가 매우 늦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 후에도 소정시간 이상을 대기하여야만 자신이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화번호의 확인시점이 이미 DTMF신호가 송출된 이후여서 전화번호의 확인 효과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할 때 발생하는 버튼 접점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의 개략적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키 조작부 202: 병렬 인터페이스부
203: 버퍼 204: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
205: 음성메모리 206: 컨트롤러
207: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208: 증폭부
209: 스피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 및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키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버튼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키 매트릭스로부터 제공받아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병렬 인터페이스부와; 병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각 버튼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각 디지트별로 분석하여 디지트별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숫자정보를 검출하는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와;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 음성데이터가 저장된 음성메모리와; 음성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숫자별 디지털 음성데이터 중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에 의해 검출된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검출하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해당 숫자별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점에 있다.
여기서, 병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각 숫자별 키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각 숫자별 키 데이터를 각각의 디지트단위로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키 조작부(201)는 사용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0~9의 숫자버튼과 *버튼 및 #버튼과 각종 기능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이때, 키 조작부(201)에는 키 매트릭스가 포함되며, 각각의 키는 행과 열로 구성된 매트릭스의 조합에 의해 해당 버튼의 입력여부가 판단된다.
병렬 인터페이스부(202)는 키 조작부(201)내의 키 매트릭스의 행과 열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행과 열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한다.
버퍼(203)는 병렬 인터페이스부(202)를 통해 인가된 키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204)는 버퍼(203)에 저장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해당 버튼을 식별한다.
음성메모리(205)는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음성데이터가 저장된다.
컨트롤러(206)는 음성메모리(205)에 저장된 각 숫자별 음성데이터 중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204)에 의해 식별된 해당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검출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Analog Converter: D/A 변환부)(207)는 컨트롤러(206)에 의해 검출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한다.
증폭부(208)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07)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한 후, 수화기 혹은 전화기에 내장된 스피커(209)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하여 숫자 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르면, 눌려진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키 조작부(201)내의 키 매트릭스에 의해 발생하여 병렬 인터페이스부(202)에 전달된다. 이때, 병렬 인터페이스부(202)는 키 조작부(201)로부터 발생한 행과 열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키 데이터로 변환하여 버퍼(203)에 전달하며, 버퍼(203)는 입력된 키 데이터를 각 디지트별로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204)로 전달한다.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204)는 버퍼(203)로부터 전달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를 검출한 후,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정보를 컨트롤러(206)에 전달한다.
컨트롤러(206)는 입력된 각 디지트별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메모리(205)의 음성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07)로 전달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07)는 컨트롤러(206)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는 증폭부(208)에 의해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소정레벨로 증폭되고, 증폭된 음성신호를 스피커(209)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음성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키 조작부(201)내의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는 숫자를 검출하고, 해당 숫자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DTMF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분석하는 경우보다 음성의 출력속도가 매우 빠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버튼의 숫자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화번호의 잘못된 입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한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발생한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키 매트릭스로부터 발생시키고, 이를 통하여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판독한 후, 판독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검출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키 입력에 따른 음성출력이 신속하며,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전화번호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번호의 잘못된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전방을 주시하여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운전 중에 휴대전화기를 다이얼링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 버튼에 해당하는 음성을 즉시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버튼을 주시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 및 상기 숫자 버튼과 상기 기능 버튼의 입력에 대응하는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하는 키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한 버튼에 대응하는 상기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키 매트릭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행과 열의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출력하는 병렬 인터페이스부;
    상기 병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각 버튼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를 각 디지트별로 분석하여 디지트별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숫자정보를 검출하는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
    상기 숫자 버튼에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 음성데이터가 저장된 음성메모리;
    상기 음성메모리에 저장된 각각의 숫자별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 중 상기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에 의해 검출된 숫자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검출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해당 숫자별 상기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는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출력된 각 숫자별 상기 키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각 숫자별 상기 키 데이터를 각각의 디지트단위로 상기 디지트 검출 및 판단부로 출력하는 버퍼를 더 포함하는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KR2020000011848U 2000-04-15 2000-04-26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KR200197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848U KR200197330Y1 (ko) 2000-04-15 2000-04-26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756A KR20010096830A (ko) 2000-04-15 2000-04-15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KR2020000011848U KR200197330Y1 (ko) 2000-04-15 2000-04-26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756A Division KR20010096830A (ko) 2000-04-15 2000-04-15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30Y1 true KR200197330Y1 (ko) 2000-09-15

Family

ID=2663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848U KR200197330Y1 (ko) 2000-04-15 2000-04-26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3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32503A1 (en) Camera-equipped cellular telephone
WO2005112401A2 (en) Voice to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197330Y1 (ko)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KR0162828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선택적 이동국 호출방법 및 그 장치
RU2005111738A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вызова абонента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 связи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0096830A (ko) 전화번호 음성확인장치
JP2001094656A (ja) 通信端末装置
JPS634806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950007506B1 (ko) 음성안내 전화기
JPH04329050A (ja) 簡易発呼機能のための登録情報複写装置および電話機
JPH01278150A (ja) ディジタル通信端末
KR10041785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문 서비스를 이용한 번호 정보 제공방법
JP4247329B2 (ja) 事業所用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システム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JP2940717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JPH0662108A (ja) 電話装置
JP3061982B2 (ja) デジタル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594981B1 (ko) 브이오아이피 보드를 이용한 간이교환시스템의메시지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49980B2 (ja) 電話装置
JPH07147608A (ja) 呼出し確認機能付交換機
JPS62241457A (ja) 電話機のダイヤル方式
JPH0637711A (ja) 自動車電話機
JPH0918552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