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200Y1 -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200Y1
KR200197200Y1 KR2019960055810U KR19960055810U KR200197200Y1 KR 200197200 Y1 KR200197200 Y1 KR 200197200Y1 KR 2019960055810 U KR2019960055810 U KR 2019960055810U KR 19960055810 U KR19960055810 U KR 19960055810U KR 200197200 Y1 KR200197200 Y1 KR 200197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nut
support structure
sea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705U (ko
Inventor
성정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5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2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B60N2/23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by linear 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시트 백 내부에 설치되는 허리 지지축은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장거리 주행시 승객은 허리부위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는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백 내부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의 중앙부를 회동 나사축으로 형성하고, 이 회동 나사축에 삽입되도록 상하에 너트가 형성된 너트형 브라켓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캠을 끼우는 동시에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캠의 회전 유동으로 진동되도록 브라켓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축을 진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승객의 허리부위에 대한 근육 피로를 해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 모터로 진동을 하며 작동되는 캠을 시트 백 내부에 설치하여 승객의 허리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한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백 내부에는 승객의 허리부위를 지지하여 주도록 지지판이 부착된 지지축이 횡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 백 내부에 설치되는 허리 지지판은 거의 고정 상태이기 때문에 자동차의 장거리 주행시 승객은 허리부위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는 불편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 백 내부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의 중앙부를 회동 나사축으로 형성하고, 이 회동 나사축에 삽입되도록 상하에 너트가 형성된 너트형 브라켓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형 브라켓의 하부에 삽입되는 모터의 회전축에 캠을 끼우는 동시에 상기 모터 구동에 따른 캠의 회전 유동으로 진동되도록 브라켓의 상부에 삽입되는 지지축을 진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승객의 허리부위에 대한 근육 피로를 해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시트 백12:회동 나사축
14:고정 프레임16:너트형 브라켓
18a,18b:모터20:회전축
22:캠24:지지판
26:홈28:지지축
30:회전 기어축32:기어부
34:작동 스위치36:고정단
38:연결단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있어서, 시트 백(10) 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14)의 중앙 일정 부위를 회동 나사축(12)으로 형성하고, 이 회동 나사축(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부와 하부에 너트가 형성된 너트형 브라켓(16)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16)의 하부에 모터(18b)로 구동되는 캠(22)이 끝단에 고정된 회전축(20)을 삽입하며, 상기 브라켓(16)의 상부에는 하부로 절곡되고 다시 후부와 측면으로 절곡되며 지지판(24)이 부착되는 지지축(28)의 끝단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20) 끝단에 고정된 캠(22)의 둘레 일측에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어서 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 회동 나사축(12)의 상부 끝에 기어부(32)가 형성되고, 이 기어부(32)에 맞물리도록 회전 기어축(30)을 가지는 모터(18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는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의 상부와 모터(18b)의 회전축(20)이 삽입되는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고정단(36)이 형성되며 상부 너트와 하부 너트를 연결하는 연결단(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는 캠(22)에는 둘레를 따라 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자동차용 시트에서 등을 기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시트 백(10)의 내부 양측에는 원형 막대 형상의 고정 프레임(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4)의 중앙 일정 부분에 즉, 승객이 시트 백에 신체를 기댔을때 허리부위가 닿는 만큼의 길이의 나사산으로 형성된 회동 나사축(12)을 형성한다.
상기 회동 나사축(12)은 상하 끝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 나사축(12)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너트형 브라켓(16)을 형성하는 바, 너트형 브라켓(16)의 상부와 하부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연결단(38)으로 연결되도록 너트가 형성되고, 이 너트의 일측에는 각각 구멍을 가지는 두 개의 고정단(3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시트 백 내부에는 승객의 허리 부위를 받쳐주는 직사각판의 지지판(24)이 부착된 얇은 강선의 지지축(28)이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축(28)의 끝단은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의 상부 고정단(36)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지지축(28)의 형상은 상기 끝단이 삽입된 부위에서 하부로 절곡되고, 다시 후부로 절곡되며, 다시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이다.
또한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의 하부 고정단의 구멍에는 모터(18b)의 축으로서, 얇은 강선 형상의 회전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바, 삽입된 회전축(20)의 끝단에는 타원형의 캠(22)이 고정된다.
상기 모터(18b)는 시트 백(10) 내부 즉,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의 하부 고정단(36)의 바깥쪽 일정 부위에 설치되며, 시트 백(10)의 외부 측면에 상기 모터(18b)를 구동시킬 수 있는 작동 스위치(3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모터(18b) 회전축(20) 끝단에 고정된 캠(22)의 둘레에는 홈(26)이 형성되고, 이 홈(26)에 상기 지지판(24)이 부착된 지지축(28)의 하부로 절곡되는 부위의 후면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8b)를 구동시키면 회전축(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축(20) 끝에 고정된 캠(22)이 회전을 하는 바, 상기 캠(22)의 홈(26)에 삽입된 지지축(28)이 캠(22)이 회전하려는 힘 때문에 전방으로 밀리게 되고, 동시에 지지판(24)이 부착된 지지축(28)은 후방으로 반발력을 일으키게 됨으로써, 상기 캠(22) 회전력과 지지축(28)의 반발력이 빠르게 반복되면 상기 지지판(24)은 진동과 같이 빠르게 전후 운동을 하게 되어 승객의 허리부위에 대한 근육을 완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지지판(24)을 승객의 신체 조건이나 취향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 시킬 수 있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회동 나사축(12)의 상부 끝부분에 평기어부(32)가 형성되고, 이 평기어부(32)에 맞물리도록 회전 기어축(30)을 가지는 모터(18a)가 설치되는 바, 상기 모터(18a)는 시트 백(10)의 내부 즉, 상기 평기어부(32) 외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모터(18a)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시트 백(10)의 외측면에는 모터(18a) 구동용 스위치(3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8a)를 구동시키면 회전 기어축(3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맞물려 있는 평기어부(32)도 회전을 하는 동시에 회동 나사축(12)이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회동 나사축(12)에 삽입되어 있는 너트형 브라켓(16)이 상기 회동 나사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이 상하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축(28)에 부착된 지지판(24)이 승객의 신체 조건이나 취향에 맞게 상하 이동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의하면 시트 백 내부에 설치되는 허리 지지용 지지판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전후방으로 진동되는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일반 주행시나 특히 장거리 주행시에 승객의 수축된 허리 근육을 이완시켜 피로를 풀어주는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에 있어서, 시트 백(10) 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14)의 중앙 일정 부위를 회동 나사축(12)으로 형성하고, 이 회동 나사축(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상부와 하부에 너트가 형성된 너트형 브라켓(16)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16)의 하부에 모터(18b)로 구동되는 캠(22)이 끝단에 고정된 회전축(20)을 삽입하며, 상기 브라켓(16)의 상부에는 하부로 절곡되고 다시 후부와 측면으로 절곡되며 지지판(24)이 부착되는 지지축(28)의 끝단이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20) 끝단에 고정된 캠(22)의 둘레 일측에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어서 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으로서, 회동 나사축(12)의 상부 끝에 기어부(32)가 형성되고, 이 기어부(32)에 맞물리도록 회전 기어축(30)을 가지는 모터(18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는 상기 너트형 브라켓(16)의 상부와 모터(18b)의 회전축(20)이 삽입되는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고정단(36)이 형성되며 상부 너트와 하부 너트를 연결하는 연결단(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28)이 삽입되는 캠(22)에는 둘레를 따라 홈(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KR2019960055810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KR200197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810U KR200197200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810U KR200197200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05U KR19980042705U (ko) 1998-09-25
KR200197200Y1 true KR200197200Y1 (ko) 2000-10-02

Family

ID=1948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810U KR200197200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2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05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20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umbar support with variable apex
JP3113057U (ja) マッサージ器
US5540297A (en) Two-motor wheelchair with battery space
RU2106984C1 (ru) Сиденье с улучшенной поясничной опорой
CN1550228A (zh) 三维自动振动床
KR20019720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요동형 허리 지지 구조
US20020032395A1 (en) Method for providing a massage on seats,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JP2007532158A (ja) マッサージアーム
JP3974221B2 (ja) マッサージ機
JPS6177538A (ja) 車両等のシ−トの調整装置
JPH03178864A (ja) 車両の電動チルト・テレス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380292Y1 (ko) 전동침대의 전동장치
KR200309177Y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안마장치
KR102415256B1 (ko) 회동형 서포팅로드를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JPS649021B2 (ko)
JP3639066B2 (ja) 野球練習用投球機の振動防止装置
KR980001236A (ko) 차량용 시트 쿠션의 측변 지지부 높낮이 조절장치
JP3924345B2 (ja) 椅子
KR200428754Y1 (ko) 체지방분해 및 근력강화 운동기구용 진동장치
JPH0672446U (ja) ランバーサポート機構
JP4245776B2 (ja) マッサージ機
KR0145212B1 (ko) 자동차 조향축의 틸트장치
JP4096965B2 (ja) マッサージ機
KR100569419B1 (ko) 버스용 에어컨 컴프레서 장력장치
KR19980025320U (ko) 자동차시트용 목 안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