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002Y1 -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002Y1
KR200197002Y1 KR2019990029424U KR19990029424U KR200197002Y1 KR 200197002 Y1 KR200197002 Y1 KR 200197002Y1 KR 2019990029424 U KR2019990029424 U KR 2019990029424U KR 19990029424 U KR19990029424 U KR 19990029424U KR 200197002 Y1 KR200197002 Y1 KR 200197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lower drum
upper swing
presen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만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9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0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0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3Drives or 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하부주행체(10)의 상부에 하부드럼(12)이 설치되고, 이 하부드럼(12) 에 선회베어링(14)이 설치되어 상부선회체(20)가 회전하도록 된 굴삭기에서, 상기 하부주행체(10)와 하부드럼(12)의 저부에 고정된 하부드럼(12)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되, 전방 또는 후방 연결부 중 어는 한쪽 연결부에는 연결핀(18a)에 의해 힌지결합하고, 다른쪽 연결부는 상하로 신축되는 램실린더(16)에 의해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운자자가 경사지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굴삭기의 등판등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 Apparatus for controlling horizontality of upper swing parts in a excavator }
본 고안은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지의 경사각도에 무관하게 상부선회체를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노면을 주행하는 하부주행체와 이 하부주행체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상태에 따라 버켓부를 회전케 하는 상부선회체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굴삭기의 선회구조를 설명하면, 하부주행체(100)의 상부에 하부드럼(102)이 용접설치되고, 이 하부드럼(102)의 위에 선회베어링(104)을 매개로 상부선회체(110)가 연결설치되어, 선회모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상부선회체(110)이 하부주행체(100) 위쪽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 굴삭기는 경사각도와 무관하게 주행할 수 있는 등판각도를 가지고 있으나, 일정각도 이상에서는 엔진 오일팬이 기울짐으로써 더 이상 주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에서 하부주행체(10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부선회체(110)의 회전각도에 따라 프런트에서 버켓의 높이차(H)가 생기게 되었다. 이 경우 상부선회체(110)가 버켓에 짐을 하적한 상태로 회전할 때 장비의 무게중심이 급격히 변화되어 장비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이 따르고, 상부선회체(110)가 자중에 의해 선회작동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선회하려는 힘을 따르므로 선회고정을 위한 브레이크 힘을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운전석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전하므로 장비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굴삭기의 상부선회체가 지닌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사지의 경사각도와 관계없이 상부선회체를 수평으로 유지함으로써 등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주행체의 상부에 하부드럼이 설치되고, 이 하부드럼에 선회베어링이 설치되어 상부선회체가 회전하도록 된 굴삭기에서, 상기 하부주행체와 하부드럼의 저부에 고정된 하부드럼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되, 전방 또는 후방 연결부 중 어는 한쪽 연결부에는 연결핀에 의해 힌지결합하고, 다른쪽 연결부는 상하로 신축되는 램실린더에 의해 연결설치된 구조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에 의하면, 경사지의 경사각도에 따라 램실린더를 작동시켜 상부선회체를 수평으로 맞춘상태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안정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경사지를 올라갈 때 엔진의 오일팬이 수평상태로 유지됨으로써 굴삭기의 등판등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의 상부선회체와 하부주행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굴삭기가 경사지에서 상부선회체의 회전상태에 따라 높이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가 경사지에서 상부선회체의 회전상태에 따라 높이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주행체 12 : 하부드럼
14 : 선회베어링 16 : 램실린더
16a : 로드 18 : 브라켓트
18a : 연결핀 20 : 상부선회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주행체(10)의 상부에 하부드럼(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드럼(12) 에 선회베어링(14)이 연결설치되어 선회모터(미도시)에 의해 상부선회체(20)가 하부주행체(10)의 상부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주행체(10)와 하부드럼(12)의 저부에 고정된 하부드럼(12)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되, 전방 또는 후방 연결부 중 어느 한쪽 연결부에 브라켓트(18)를 매개로 연결핀(18a)에 의해 힌지결합하고, 다른쪽 연결부에는 브라켓트(18)를 매개로 설치되어 상하로 신축되는 램실린더(16)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램실린더(16)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레버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고, 경사지의 경사면에 따라 로드(16a)를 신축시켜 상부선회체(20)를 수평상태으로 맞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램실린더(16)는 상부선회체(2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정도의 용량을 지녀야 하는 것은 물론, 힌지결합부도 상부선회체(20)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실린더(16)를 작동하여 경사지의 경사각도와 무관하게 상부선회체(20)를 평지면과 수평으로 맞추게 함으로써 큰 경사지에서 장비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선회체(20)가 수평상태로 유지된 상태로 버켓을 구동하여 자중에 의한 관성력을 제거함으로써 선회고정용 브레이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 상부선회체의 수평유지장치에 의하면, 경사지의 경사각도에 상부선회체를 수평으로 맞추어 운전자의 몸이 수평상태에서 유지한 상태로 하적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동시에 장비의 전복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엔진의 오일팬이 항상 수평상태로 유지케 할 수 있으므로 굴삭기의 등판등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주행체(10)의 상부에 하부드럼(12)이 설치되고, 이 하부드럼(12) 에 선회베어링(14)이 설치되어 상부선회체(20)가 회전하도록 된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주행체(10)와 하부드럼(12)의 저부에 고정된 하부드럼(12) 사이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하되, 전방 또는 후방 연결부 중 어는 한쪽 연결부에는 연결핀(18a)에 의해 힌지결합하고, 다른쪽 연결부는 상하로 신축되는 램실린더(16)에 의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식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KR2019990029424U 1999-12-23 1999-12-23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KR200197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24U KR200197002Y1 (ko) 1999-12-23 1999-12-23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424U KR200197002Y1 (ko) 1999-12-23 1999-12-23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002Y1 true KR200197002Y1 (ko) 2000-09-15

Family

ID=1960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424U KR200197002Y1 (ko) 1999-12-23 1999-12-23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0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34713A (ja) 原動機に取り付け可能な回転器具及びスキッドステアロ―ダ
JP2003056009A (ja) 車両のスイングアウト式カウンタウエイト構造
KR200197002Y1 (ko) 굴삭기의 상부선회체 수평유지장치
JP2004353301A (ja) ドーザ装置付き油圧ショベル
US2564929A (en) Tractor mounted crane mast and backstay system
JP3338487B2 (ja) 4輪駆動クローラ式作業車
JPS627708Y2 (ko)
JP4354440B2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CN217048475U (zh) 脚踏组件、作业机械驾驶室总成及作业机械
JPH0731301A (ja) 掘取機
JP3540541B2 (ja) スイング式油圧ショベル
JP2556195Y2 (ja) 掘取機のクレーン装置
JPH10219723A (ja) 油圧ショベル
KR200257577Y1 (ko) 굴삭기캐빈라이저의틸팅장치
JPH10252090A (ja) 斜面掘削機と支持機と斜面掘削装置
JP2556196Y2 (ja) 掘取機のクレーン装置
JPH0414514Y2 (ko)
JPH11200417A (ja) 運転室付き建設機械
JPH064157U (ja) パワーショベル用バケット
SU1129292A1 (ru) Автогрейдер
JPH0124216Y2 (ko)
JPS60173224A (ja) 掘削機
JP3223925B2 (ja) 掘取機
JP2586313Y2 (ja) 芝張り機の整地機構
JPH0747436Y2 (ja) ホイール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