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397Y1 -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 Google Patents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397Y1
KR200196397Y1 KR2020000004612U KR20000004612U KR200196397Y1 KR 200196397 Y1 KR200196397 Y1 KR 200196397Y1 KR 2020000004612 U KR2020000004612 U KR 2020000004612U KR 20000004612 U KR20000004612 U KR 20000004612U KR 200196397 Y1 KR200196397 Y1 KR 200196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shaft
internal
wheel
un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춘식
Original Assignee
유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식 filed Critical 유춘식
Priority to KR2020000004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부를 바퀴축기어(6) 둘레에 큰(내치)기어(4)를 설치하여 고안된 외발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써 체인이 없고 부피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큰기어(4)와 바퀴축기어(6)의 작동으로 동력을 전달하므로 구동기어의 회전수가 일반 체인 자전거의 큰기어와 작은기어의 회전수와 같은 비율의 기능을 가지고 중심을 낮게하여 안전성과 기능면에서 일반체인 자전거와 같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은 부피와 가벼운 중량으로 운반 보관이 용이 하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게 하여 실용가치를 배가 할수 있고 환경 보호와 국민건강증진에 크게 기여 할수 있다

Description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종래의 체인이 달린 외발자전거는 큰기어가 바퀴위로 설치되어 자연히 중심이 높기 때문에 일반인은 타기에 위험부담이 많고 바퀴와 페달 사이에 구동기어 없이 직접 페달과 바퀴가 연결된 외발자전거는 운동량에 비해 기능면에서 체인 달린 자전거 즉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자전거에 현저히 뒤 떨어져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바퀴 축기어(6) 둘레에 큰(내치)기어(4)를 결합한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 시키므로 기능면에서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자전거와 동일하게 하고 안전성 면에서는 중심을 낮게 하여 위험성을 최대한 제거함
도 1 은 본고안에 따른 내치기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주요 부품도
도 3 은 측면도
도 4 는 도 1 에 표시한 A-A'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장겸 손잡이 2 바퀴축 지지대
3 큰기어 축 지지대 4 큰(내치) 기어
5 큰 기어 축 6 바퀴축기어
7 큰 기어 축 지지 연결부 8 바퀴축
9 바퀴 10 프레임, 바퀴축지지대와
큰 기어 축 지지대의 접합체
도면에 그려진 바와 같이 바퀴축기어(6) 둘레에 큰기어(4)가 설치되어 양쪽 바퀴축기어(6)와 큰기어(4)가 바퀴축(8)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큰기어와 페달은 큰기어축지지대(3)와 큰기어축지지 연결부(7)에 의해서 지탱되고 바퀴를 중심으로 큰기어(4), 바퀴축기어(6), 큰 기어 축 지지대(3), 큰 기어 축 지지 연결부(7)모두 양쪽에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바퀴축기어(6)의 위치는 큰 기어(4) 내부에 설치되므로 바퀴축지지대(2)가 바퀴(9)를 중심으로 바퀴축기어(6)의 안쪽방향에 위치한다 즉 기존 체인동력 자전거의 바퀴축기어는 하중을 지탱하는 바퀴축지지대의 안쪽방향에 설치된데 반해서 본 고안의 형태는 바퀴축기어(6)를 바퀴축지지대(2) 바깥 방향에 설치한 경우이다.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한쪽에서 큰기어(4)를 회전시키면 동력이 바퀴축기어(6)와 바퀴축(8)을 통하여 반대편으로 이동되어 바퀴축기어(6)와 큰기어(4)를 회전시킴으로써 상호 구동 작용을 하게 된다 큰기어축지지 연결부 의 위치는 프레임의 전후방 바퀴축지지대(6)사이 하단부 큰기어축(5)부분에 위치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에 따른 외발자전거에 의하면 외발자전거를 실용화할 수 있으며 실용될경우에는 보관과 운반이 용이하여 자전거 보급에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및 공해감소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 할수 있다. 특히 크기를 작게 하여 대중교통 이용시 휴대하여 사용하면 이용을 극대화 할수 있다.

Claims (1)

  1. 프레임 하단부 양측 위치에 큰(내치)기어와 바퀴축 기어가 형성된 내치기어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에 있어서, 큰(내치)기어(4)는 바퀴축지지대(2) 하단부와 큰기어 축 지지대(3) 하단부 사이에 구비되어 바퀴축 기어(6)와 서로 치합된 상태로 형성되고 바퀴축지지대(2) 하단부 외측에 형성된 바퀴축 기어(6)는 바퀴축(8)을 통하여 회전력을 양측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 상대편 기어에 상호 동력 전달을 이루어지게하며 큰(내치)기어(4)의 회전수에 비례하는 만큼 바퀴축 기어(6)의 회전수를 일정량 증가시킴을 가능토록 하며 구동부가 큰(내치)기어(4)와 바퀴축기어(6)만으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KR2020000004612U 2000-02-19 2000-02-19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KR200196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12U KR200196397Y1 (ko) 2000-02-19 2000-02-19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12U KR200196397Y1 (ko) 2000-02-19 2000-02-19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397Y1 true KR200196397Y1 (ko) 2000-09-15

Family

ID=1964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12U KR200196397Y1 (ko) 2000-02-19 2000-02-19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3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4841B2 (en) 2012-03-07 2015-08-25 Jong-Hwa Go Bicycl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4841B2 (en) 2012-03-07 2015-08-25 Jong-Hwa Go Bicycle having a power transmiss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00282Y (zh) 具有中轴电机的电动自行车
KR200196397Y1 (ko) 내치기어 원리를 이용한 개량 외발자전거
US20100059963A1 (en) Dual-drive bicycle
KR20060115946A (ko) 자전거 및 스쿠터 등을 포함하는 운송수단
CN201021336Y (zh) 伞型折叠式电动自行车
CN201385741Y (zh) 可折叠式踏板驱动健身车
CN2303778Y (zh) 多功能代步旅行箱
CN2646021Y (zh) 前后轮双驱动电动自行车
CN208715403U (zh) 一种微型脚踏平板自行车
CN2523461Y (zh) 踏板运动车
CN216153545U (zh) 一种双桥五轮车驱动系统
CN219821667U (zh) 一种越野人力车
CN213649807U (zh) 一种儿童车轮的多功能转换结构
CN203064145U (zh) 便携式重力自行车
CN110550140A (zh) 双传动中置电机
CN2306167Y (zh) 步行式自行车
CN2315035Y (zh) 双曲柄自行车
KR102237461B1 (ko) 사용자의 상체 및 하체로 구동되는 전신 운동 자전거
CN201376645Y (zh) 一种无需链条驱动的双驱动自行车
CN2199126Y (zh) 高效杠杆驱动自行车
CN2835055Y (zh) 前后轮双驱动自行车
CN2429423Y (zh) 一种无链条驱动的自行车
CN201030916Y (zh) 新型自行车
CN208119358U (zh) 一种电动自行车的电池布置与二级链传动组合结构
CN201670334U (zh) 自行车双轴传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