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242Y1 -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 Google Patents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242Y1
KR200196242Y1 KR2020000010482U KR20000010482U KR200196242Y1 KR 200196242 Y1 KR200196242 Y1 KR 200196242Y1 KR 2020000010482 U KR2020000010482 U KR 2020000010482U KR 20000010482 U KR20000010482 U KR 20000010482U KR 200196242 Y1 KR200196242 Y1 KR 200196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er
tension
inner body
frame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4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누리
Original Assignee
이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누리 filed Critical 이누리
Priority to KR20200000104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2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47D13/043Baby walkers with a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를 두 개로 구성하여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행기는 전진하기는 쉬우나 장애물이 있어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또는 후측에서 보호자가 아이를 불러 방향전환을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아직 신체적인 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에게는 너무나 힘이든 동작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행기의 몸체를 내·외부몸체(20)(10)로 구성하여 내부몸체(20)의 중앙부에 좌석(21)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몸체(10)에 회전자재되게 안착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10)의 내측에는 결합홈(15)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상기 내부몸체(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롤러(16)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부몸체(20)의 하단부에는 내부몸체(20)가 외부몸체(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2)를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행기를 타고 있는 어린아이가 방향을 바꿀 때 내부몸체(20)가 자유롭게 회전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방향을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몸체(20)가 외부몸체(10)의 내부에서 회전자재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다 재미있게 보행기를 탈수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A baby walker that is easy to chang the direction}
본 고안은 보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를 두 개로 구성하여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의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여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한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행기는 몸체의 내부에 아이들이 탈 수 있는 좌석이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하부에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이동바퀴가 달려 있어 걸음마 단계의 어린아이들이 좌석에 앉아 걷는 동작을 하거나 발을 차게 되면 차체가 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어린아이들이 스스로 원하는 방향으로 보행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혼자 놀 수 있게 됨에 따라 쉽게 아이를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아이들이 보행기를 타다 보면 정면에 장애물이 있어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또 후측에서 보호자가 아이를 불러 방향전환 시키고자 할 때 아이들이 방향을 잘 바꾸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아직 신체적인 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들 입장에서는 보행기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 몸을 비틀고 원하는 방향으로 발을 미는 동작을 하기에는 너무 힘이 부족하여 바퀴의 방향이 잘 바뀌지 않아 보호자가 수시로 방향을 바꾸어 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문에 보행기가 벽에 붙거나 구석에 위치하게 되면 아이 힘으로는 방향을 바꾸지 못하여 울게 되고 보호자는 항상 아이에게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아이를 돌보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몸체를 외부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한 내부몸체를 형성하고 이 내부몸체에 좌석을 설치하므로써 아이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내부몸체와 외부몸체의 사이에 약간의 복원텐션력을 갖는 텐션장치를 설치하므로써 아이들이 보행기의 방향을 바꿀 때 약간의 힘을 가하여 회전하게 되면 내부몸체가 일단 회전된 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본원텐션력에 의해 외부몸체가 진행방향으로 점차 방향이 바뀌도록 하므로써 어린아이들이 손쉽게 방향전환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보행기의 하부에 텐션망을 절첩가능하게 설치하여 아이들이 제자리에서 뛰어놀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보행기의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길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아이들이 성장함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기의 구성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텐션망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부몸체 11 - 지지대 12 - 프레임
14 - 이동바퀴 15 - 결합홈 16 - 롤러
20 - 내부몸체 21 - 좌석 22 - 이탈방지부재
23 - 보조롤러 24 - 기어 30 - 텐션장치
31 - 텐션기어 31 - 기어축 32 - 슬라이드판
40 - 텐션망 41 - 지지테 42 - 받침고리
43 - 끼움고리 44 - 고정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프레임의 하부에 이동바퀴를 다수개 장착하고 이 프레임의 둘레 상측에는 몸체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아이들이 앉을 수 있는 좌석으로 구성한 보행기에 있어서,
몸체를 내·외부몸체로 구성하여 내부몸체의 중앙부에 좌석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몸체에 회전자재되게 안착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의 내측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상기 내부몸체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롤러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부몸체의 하부 둘레에는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몸체의 기어에 맞물려 복원텐션을 주는 텐션장치를 설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기는 외부몸체(10)와 그 내부에서 회전자재되게 설치된 내부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몸체(10)는 하부 둘레에 다수개의 지지대(11)가 설치되어 하부의 프레임(12)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프레임(12)의 하부 둘레에는 이동바퀴(1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지지대(11)는 다단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 아이들의 성장과정에 따라 적절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이를 통해 부모들이 아이들이 성장하는 정도를 살펴보면서 기쁨을 느낄 수도 있게 하였다.
또 외부몸체(10)의 내주연은 하부로 절곡되어 내부몸체(20)가 결합되는 결합홈(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15)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장치는 볼롤러(16)으로써 내부몸체(20)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회전이 자유롭도록 해준다.
이때 회전장치를 이루는 볼베이링(16)은 일실시예일 뿐 도 4와 같이 마찰저항이 적은 슬라이드판(32)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내부몸체(20)는 내하부에 어린아이들이 앉을 수 있도록 좌석(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외측 둘레는 결합홈(15)의 롤러(16)에 안착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또한 내부몸체(20)의 하부에는 내부몸체(20)가 외부몸체(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와 같은 이탈방지부재(2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내부몸체(20)의 회전시 일측방향으로 집중되는 힘이 가해져 쏠리게 되면 그 방향의 외부몸체(10)와 닿아 회전운동이 방해가 될 우려가 있어 외부몸체(10)의 둘레에 내부몸체(20)의 원활한 회전운동을 보조하는 보조롤러(23)가 일정한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보행기의 좌석(21)에 어린아이를 앉히면 어린아이는 발로서 보행기를 밀어 이동을 하게 된다.
이동중 진행 방향에 벽 또는 구석 등과 같은 장애물이 있거나 또는 보호자가 어린아이를 부르게 되면 아이는 방향을 바꾸기 위해 몸을 비틀면서 돌아보게 된다.
이때 내부몸체(20)는 외부몸체(10)내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외부몸체(10)에 설치된 롤러(16)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도 쉽게 방향이 바뀌게 된다.
방향이 바뀐 상태에서 아이들이 발을 내딛게 되면 프레임(12)의 이동바퀴(14)는 그 방향으로 쉽게 이동하기 때문에 걸음을 걷지 못하는 어린아이들이라 할 지라도 쉽고 간편하게 방향전환을 실시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내부몸체(20)가 외부몸체(10)내에서 회전자재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다 흥미를 갖고 보행기를 탈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만일 보행기가 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방향성을 갖는 구조일 경우에는 아이가 방향전환을 실시한 후 외부몸체(10)가 그 진행방향으로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내부몸체(20)의 둘레에 기어(24)를 설치하였다. 기어(24)는 피니언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체인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외부몸체(10)의 일측에는 내부몸체(20)의 기어(24)와 맞물리는 텐션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텐션장치는 기어축(32)의 단부에 내부몸체(20)의 기어(24)와 맞물려 회전하는 텐션기어(31)가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기어축(32)과 연결된 텐션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아이가 방향전환을 하기 위해 내부몸체(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몸체(20)의 기어(24)와 맞물린 텐션장치의 텐션기어(31)가 회전하게 되어 기어축(32)과 연결된 텐션부재가 압축되어 복원력이 축척된다.
이 상태에서 내부몸체(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아이가 발을 내딛게 되면 프레임(12) 하부에 설치된 이동바퀴(14)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축척된 텐션부재의 복원력이 외부몸체(10)에 작용하여 외부몸체(10)는 천천히 내부몸체(2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기의 텐션망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아이들은 놀이를 할 때 집중력은 있으나 쉽게 싫증을 내는 특징이 있어 보행기를 오랫동안 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기의 기능에 아이들은 보행기에 탄체 제자리에서 뛰어 놀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프레임(12)의 중앙부에 텐션망(40)을 설치하였다.
텐션망(40)은 둘레에 지지테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일측이 프레임(12)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프레임(12)의 일측단에는 받침고리(42)가 있어 회동되는 지지테(41)의 자유단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받침고리(42)는 원형고리로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 대응되는 지지테(41)의 자유단에는 원형고리에 끼워지는 끼움고리(43)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텐션망(40)을 지지하는 지지테는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어 중앙부에서 힌지결합되며 그 일측 몸체의 단부는 연장되고 그 끝이 절곡되어 타측 몸체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로 절첩은 가능하지만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중이 가해져도 더 이상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리고 텐션망(40)이 절첩되는 쪽의 지지대(11)에는 텐션망(40)의 절첩시 그 절첩된 텐션망(40)을 고정하는 고정고리(44)를 구비하였다.
이러한 텐션망(40)의 구성에 의해 아이들이 보행기를 타는 것에 흥미를 잃었을 경우에는 텐션망(40)을 펼쳐 그 위에서 뜀뛰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텐션망의 쿠션에 의해 좀더 높이 뛸수가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재미있게 놀이를 할 수 있으며, 아이들을 돌보는 보호자는 제자리에서 뜀뛰는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아이를 좀더 편하게 돌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몸체 내의 내부몸체가 회전자재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보행기를 타고 있는 어린아이가 방향을 바꿀 때 내부몸체(20)가 회전하기 때문에 보다 쉽게 방향을 바꿀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몸체가 외부몸체의 내부에서 회전자재되기 때문에 아이들이 보다 재미있게 보행기를 탈수가 있게 된다.
또 내부몸체가 회전할 때 외부몸체에 설치된 텐션장치에 의해 복원력이 축척되어 내부몸체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동할 때 외부몸체가 서서히 진행방향으로 회전하여 복원되도록 하므로써 방향전환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아이를 돌보는 보호자는 보다 편하게 아이를 돌볼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프레임(12)의 하부에 이동바퀴(14)를 다수개 장착하고 이 프레임(12)의 둘레 상측에는 몸체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11)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아이들이 앉을 수 있는 좌석(21)으로 구성한 보행기에 있어서,
    몸체를 내·외부몸체(20)(10)로 구성하여 내부몸체(20)의 중앙부에 좌석(21)을 구비함과 아울러 외부몸체(10)에 회전자재되게 안착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10)의 내측에는 결합홈(15)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상기 내부몸체(2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이 자유롭게 하는 롤러(16)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내부몸체(20)의 하단부에는 내부몸체(20)가 외부몸체(10)의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22)가 설치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20)의 하부 둘레에는 기어(24)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몸체(20)의 기어(24)에 맞물려 회전되는 텐션기어(31)와, 이 기어축(32)에 연결되어 복원텐션을 주는 텐션부재가 부설된 텐션장치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몸체(10)의 하부 내측 둘레에는 내부몸체(20)의 쏠림을 방지하는 보조롤러(23)가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의 중앙부에 텐션망(40)이 쳐진 지지테(41)을 구비하여 그 일측을 힌지결합하고, 타측단은 끼움고리(43)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와 대응되는 프레임(12)의 받침고리(42)를 형성하여 지지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텐션망(40)의 지지테(41)의 중앙부를 절첩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킴과 아울러 힌지결합된 일측단을 타측단의 상부에 안착되도록하여 상부로 절첩되도록 하고, 지지대(11)의 일측에는 절첩된 텐션망(40)의 지지테(41)를 고정하는 고정고리(4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KR2020000010482U 2000-04-12 2000-04-12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KR200196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82U KR200196242Y1 (ko) 2000-04-12 2000-04-12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482U KR200196242Y1 (ko) 2000-04-12 2000-04-12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242Y1 true KR200196242Y1 (ko) 2000-09-15

Family

ID=1965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482U KR200196242Y1 (ko) 2000-04-12 2000-04-12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2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5284A1 (en) * 2015-03-31 2016-10-05 Kids II, Inc. Mobile child support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5284A1 (en) * 2015-03-31 2016-10-05 Kids II, Inc. Mobile child support device
US9701331B2 (en) 2015-03-31 2017-07-11 Kids Ii, Inc. Mobile child support device
US10000225B2 (en) 2015-03-31 2018-06-19 Kids Ii, Inc. Mobile child support device
US10442451B2 (en) 2015-03-31 2019-10-15 Kids Ii, Inc. Mobile child suppor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892A (en) Baby's carriage for teaching children to walk
US10414422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9950729B2 (en) Infant wagon having improved convenience of use
US9387139B2 (en) Dual drive wheelchair
JPH09507785A (ja) 身体障害者の運搬用あるいは移動補助用の車椅子
WO2012144085A1 (ja) 三輪型足漕ぎ式車椅子
KR101260861B1 (ko) 쳇바퀴형 런닝머신
US20160332654A1 (en) Child transporter
CN202908319U (zh) 儿童学步车装置
KR200196242Y1 (ko) 방향전환이 용이한 보행기
WO2012023167A1 (ja) 遊具装置
CN106539385B (zh) 可拆卸婴幼儿学步推车
KR100668623B1 (ko) 보행 운동 기구
KR101679377B1 (ko) 휴대용 다기능 유아캐리어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130074882A (ko) 보행보조차
CN2394524Y (zh) 滚球车
KR200314330Y1 (ko) 어린이용 놀이구
KR0129592Y1 (ko) 어린이용 승물놀이구
KR20240038413A (ko) 턱 오르기 기능을 갖는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940005147Y1 (ko) 유아용 보행기의 스토퍼 장치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CN208774937U (zh) 一种连体式踏板四轮滑板车
JP3074828U (ja) 長縄用縄飛び回し機
KR200395612Y1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