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205Y1 - 지붕재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지붕재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205Y1
KR200196205Y1 KR2020000009533U KR20000009533U KR200196205Y1 KR 200196205 Y1 KR200196205 Y1 KR 200196205Y1 KR 2020000009533 U KR2020000009533 U KR 2020000009533U KR 20000009533 U KR20000009533 U KR 20000009533U KR 200196205 Y1 KR200196205 Y1 KR 200196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oofing
plate
presen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현
Original Assignee
백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현 filed Critical 백정현
Priority to KR2020000009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2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2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04D3/3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of plastics, fibrous materials, or asbestos 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사이나 조회대, 급수대, 도복도, 버스 승강장 등에 사용되는 지붕재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붕재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판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외부로 피스등이 노출되지 않아 녹이 생기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주위의 온도 편차에 따라 합성수지판재를 신축 가능토록 하여 변형(외형)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지붕재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판재 등을 이용한 지붕재에 있어서, 합성수지판재 등이 안착됨과 아울러 지붕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피스 고정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시 유동됨을 방지하는 끼움턱부재로 이루어진 하부이음재와, 양 끝단부가 'ㄷ'자 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판재와 접착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판재에 끼움턱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이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붕재 이음구조 {A joint struction of roof}
본 고안은 지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사이나 조회대, 급수대, 도복도, 버스 승강장 등에 사용되는 지붕재의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지붕재 이음장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판(1)을 지붕프레임(2)에 밀착시킨 후 피스(3)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조립하여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지붕재 이음구조는 상기 피스(3)가 지붕재 외측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쳐 왔으며 습기에 노출되어 있어 녹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파손됨으로서, 상기 합성수지판이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상기 합성수지판(1)이 태양열을 받아 팽창되어지면 상기 피스(3)에 고정된 합성수지판은 변형되고 이로 인해 피스(3)가 외압을 받아 떨어져 나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붕재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판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외부로 피스 등이 노출되지 않아 녹이 생기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주위의 온도 편차에 따라 합성수지판재를 신축 가능토록하여 변형(외형)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지붕재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합성수지판재 등을 이용한 지붕재에 있어서, 합성수지판재 등이 안착됨과 아울러 지붕프레임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피스 고정되는 수평판재와 상기 수평판재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수직판재 및 상기 수직판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시 유동됨을 방지하는 끼움턱부재로 이루어진 하부이음재와, 양 끝단부가 'ㄷ'자 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판재와 접착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판재에 끼움턱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이음재로 형성되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로 시공한 지붕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부분절개 확대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의 분해 결합 단면도이고,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지붕재 이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부이음재 11: 수평판재
12: 수직판재 13,15: 끼움턱부재
14: 실리콘 20: 상부이음재
21: 외측판재 22: 절곡부
30: 지붕 프레임 P: 합성수지판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로 시공한 지붕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A-A부분의 절개확대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의 분해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 도1, 도2,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재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판재가 안착되는 하부이음재(10)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이음재(10)는 수평판재(11)와 상기 수평판재(11)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수직판재(12)와, 상기 수직판재(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시 유동됨을 방지하는 끼움턱부재(15)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이음재(10)와 결합되는 상부이음재(20)는 수평형상의 외측판재(21)와, 상기 외측판재(21)의 양 끝단부를 'ㄷ'자 형으로 절곡하여 실리콘(14)을 도포할 수 있는 면을 최대로 한 절곡부(22)와, 상기 외측판재(21)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직판재(12)의 끼움턱부재(15)와 견고하게 결합되는 끼움턱부재(1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이음재(10)의 수평판재(11)에는 지붕 프레임(30)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스(40) 등으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를 이용하여 지붕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붕재 하부이음재(10)를 피스(40)등을 이용하여 지붕 프레임(30)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 합성수지판재(P)를 하부이음재(10)의 좌/우측에 안착시킨다. 이 때 상기 합성수지판재(P)와 하부이음재(10) 사이에 실리콘(14)을 얇게 도포한 후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상부이음재의 절곡부(22)에 실리콘(14)을 바른 후 상부이음재(2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수직판재(12)의 끼움턱부재(13,15)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진다.
상기의 과정이 종료하게 되면 본 고안의 지붕재 이음장치에 의한 시공은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판재(P)는 온도 편차에 따라 신축되게 되는데, 상기 상/하부이음재내에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합성수지판재가 온도상승으로 인해 굴곡되게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피스(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녹이 쓸거나 하여 미관을 해치거나 이로 인해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붕재를 미려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합성수지판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또한 외부로 피스등이 노출되지 않아 녹이 생기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주위의 온도 편차에 따라 합성수지판재가 가변 신축 가능토록 하여 변형(외형)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Claims (1)

  1. 합성수지판재 등을 이용한 지붕재에 있어서,
    합성수지판재 등이 안착됨과 아울러 지붕프레임(30)과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피스(40) 고정되는 수평판재(11)와 상기 수평판재(11)의 중앙부에 직립되게 형성된 수직판재(12) 및 상기 수직판재(1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시 유동됨을 방지하는 끼움턱부재(15)로 이루어진 하부이음재(10)와, 양 끝단부가 'ㄷ'자 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합성수지판재와 접착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외측판재(21)에 끼움턱부재(13)로 이루어진 상부이음재(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이음장치.
KR2020000009533U 2000-04-04 2000-04-04 지붕재 이음구조 KR200196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533U KR200196205Y1 (ko) 2000-04-04 2000-04-04 지붕재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533U KR200196205Y1 (ko) 2000-04-04 2000-04-04 지붕재 이음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205Y1 true KR200196205Y1 (ko) 2000-09-15

Family

ID=19650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533U KR200196205Y1 (ko) 2000-04-04 2000-04-04 지붕재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20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1185383B1 (ko) 2011-04-12 2012-09-24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바
KR101651112B1 (ko) 2016-05-18 2016-08-2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651113B1 (ko) 2016-05-18 2016-08-2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689638B1 (ko) 2016-06-14 2016-12-26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778979B1 (ko) 2017-05-16 2017-09-26 주식회사 건승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KR101944790B1 (ko) 2018-11-02 2019-02-01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지붕체의 몰딩유닛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1185383B1 (ko) 2011-04-12 2012-09-24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바
KR101651112B1 (ko) 2016-05-18 2016-08-2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651113B1 (ko) 2016-05-18 2016-08-25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689638B1 (ko) 2016-06-14 2016-12-26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
KR101778979B1 (ko) 2017-05-16 2017-09-26 주식회사 건승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KR101944790B1 (ko) 2018-11-02 2019-02-01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지붕체의 몰딩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6205Y1 (ko) 지붕재 이음구조
KR100572203B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80071847A (ko) 건축용 패널
KR20140130993A (ko) 조립식 타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타일 시공방법
KR200393007Y1 (ko) 건축물의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
KR100623965B1 (ko)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KR200364761Y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JP7004291B2 (ja) シートの定着装置
JP2001012031A (ja) 軒樋の連結構造
JP2006168679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20180000655U (ko) 조립식 거울프레임
JPH0613298Y2 (ja) 金属板葺き屋根
JP2007224515A (ja) サイディング用役物
JPH0715928U (ja) 接続金具
JPS6212791Y2 (ko)
RU2003132702A (ru) Элемент сопряжения для конструкции крыши
KR200166778Y1 (ko) 농업용골조
JPH0410767Y2 (ko)
JP2002021276A (ja) 太陽光発電屋根
KR20230001642U (ko) 파이프용 클램프
JP2001012030A (ja) 軒樋の連結構造
JPS6013942Y2 (ja) 採光用天窓装置
KR100928319B1 (ko)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7031945A (ja) 縦葺き屋根構造
JP2006125091A (ja) 目地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