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638B1 - 차양용 몰딩 - Google Patents

차양용 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638B1
KR101689638B1 KR1020160073496A KR20160073496A KR101689638B1 KR 101689638 B1 KR101689638 B1 KR 101689638B1 KR 1020160073496 A KR1020160073496 A KR 1020160073496A KR 20160073496 A KR20160073496 A KR 20160073496A KR 101689638 B1 KR101689638 B1 KR 101689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ar
jaw
fastener
awning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만
Original Assignee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판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서로 인접된 차양판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차양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중앙바를 중심으로 한 쌍의 고정판이 중앙바의 양쪽 측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중앙바와 고정판의 연결부에는 중앙바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양프레임에 중앙바를 체결시키는 고정구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구 걸림턱에 의하여 저지되어, 고정구가 중앙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용 몰딩{Moulding for Sunshade}
본 발명은 차양판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서로 인접된 차양판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차양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중앙바를 중심으로 한 쌍의 고정판이 상기 중앙바의 양쪽 측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상기 중앙바와 고정판의 연결부에는 중앙바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양프레임에 중앙바를 체결시키는 고정구의 헤드부가 상기 고정구 걸림턱에 의하여 저지되어, 고정구가 중앙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관중석이나 처마, 건물과 건물 사이, 주차장 입구, 지하도입구, 급수대, 자전거 보관대, 차량승강장 등에는 햇빛, 눈 및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을 설치한다.
종래 차양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지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도록 상기 기둥의 상부에 지지되는 차양프레임과, 상기 차양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차양판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차양프레임이 기둥에 의해 충분한 지지가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에는 연결바(bar)나 와이어(wire) 등으로 기둥과 차양프레임을 연결하여 보강 지지한다.
그리고 종래 차양은 상기 기둥을 설치하지 않고 건물에 직접 차양프레임을 일정한 높이로 지지시키는 구조로 시공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차양에 있어서는 상기 차양판을 폴리카보네이트 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것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일정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복수 개를 연이어 설치하며, 차양판과 차양판이 인접하는 연결부분에 대한 마감이 필요하므로 몰딩을 이용하여 연결부의 마감을 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몰딩은 주로 긴 막대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양판과 차양판이 서로 인접하는 부분 상부를 감싸 덮도록 설치하고 나사못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차양프레임에 고정된다.
다음은 차양용 몰딩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383호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차양용 몰딩바에 관한 것으로서, 각형의 다수개의 벤딩재와, 상기 벤딩재 상부에 제2패킹이 형성되고 결합핀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편이 형성된 제1프로파일과, 상기 제1프로파일 상부에 안착되는 각각의 지붕재와, 상기 지붕재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프로파일에 형성된 결합핀과 결착되는 요홈부를 형성한 제2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지붕재 이음부의 마감과 수축과 팽창에 의한 이음부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차양판이 흔들려 휘어지는 경우에, 차양판을 고정체결시키는 상기 제2프로파일이 쉽게 흔들리고, 그 결과 차양판이 몰딩에서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5383호(2012.09.1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3565호(2010.07.2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6205호(2000.07.05.)
본 발명은 차양용 몰딩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차양용 몰딩은 서로 연결되는 차양판들의 측부 일부분을 단순히 상호 고정체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하여 차양판이 흔들리는 경우에 차양판을 고정체결시키는 홀더(본 발명의 중앙바 및 고정판)가 쉽게 흔들리고, 그 결과 홀더를 차양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나사볼트와 같은 고정구가 쉽게 홀더 및 차양프레임에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차양용 몰딩의 구성품들이 복잡하여, 차양판들의 연결을 위한 시공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차양용 몰딩의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차양프레임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중앙바와; 상기 중앙바의 양쪽 측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중앙바의 연결부에는 중앙바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차양프레임에 중앙바를 체결시키는 고정구의 헤드부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통공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 걸림턱 사이에 형성된 통공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한 후 고정구 걸림턱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양용 몰딩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몰딩은 중앙바와 고정판의 연결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구 걸림턱에 의하여 차양프레임에 중앙바를 고정체결시킨 고정구의 헤드부가 하방으로 저지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차양판이 흔들리는 경우에도 고정구가 중앙바 및 차양프레임에서 빠지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차양용 몰딩의 구성품들이 단순하여, 차양판들의 연결을 위한 시공공정이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염가의 비용으로 차양용 몰딩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을 이용하여 시공된 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의 고정구의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에 보조 걸림턱이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에 보조 걸림턱이 구성되는 경우의 고정구 체결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에 보조 걸림턱의 외측면 경사각을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양용 몰딩에 구성된 보조 걸림턱의 외측면의 경사각이 고정부 걸림턱의 경사진 말단면과 평행하게 경사진 경우를 나타내는 부분 정단면도.
본 발명은 차양판(30)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서로 인접된 차양판(30)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것으로서,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중앙바(10)와; 상기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한 쌍의 고정판(20)과 상기 중앙바(10)의 연결부에는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11)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차양프레임(100)에 중앙바(10)를 체결시키는 고정구(40)의 헤드부(41, 이하, '고정구 헤드부(41)'라 칭함.)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한 후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양용 몰딩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몰딩은 상호 인접되어 연속 결합되는 복수 개의 차양판(30)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복수 개의 차양판(30)의 측부를 상호 연결시켜 차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몰딩은 평평한 형태의 차양 또는 굴곡된 형태의 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차양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고, 만들어지는 차양의 형태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몰딩을 구성하는 구성품들이 직선 또는 곡선의 형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차양판(30)들은 차양판(30)의 측부 각각이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차양판(30)의 전방부와 후방부 각각이 연결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고, 이하에서는 차양판(30)의 측부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양용 몰딩은 거시적으로 차양프레임(100)에 체결되는 중앙바(10), 상기 중앙바(10)에서 양쪽 측부로 각각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고정판(20) 및, 상기 고정판(20)과 중앙바(10)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어 차양프레임(100)에 중앙바(10)를 체결시키는 고정구 헤드부(41)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고정구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중앙바(10)는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차양용 몰딩을 차양프레임(100)에 고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중앙바(10)는 상호 연결되는 차양판(30) 측부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가 형성되어 차양판(30)의 측부 길이 전체를 아우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차양프레임(100)과 나사못 또는 볼트 등과 같이 몸체부(42)의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구(40)에 의하여 고정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40)는 공구가 맞춰져 공구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헤드부(41)와, 상기 헤드부(41)의 하부에 연결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41)는 몸체부(42)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양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차양판(30)의 상호 연결에 의하여 형성된 차양을 일정의 높이에 위치시키는 구조물의 일부분으로서, 지면에 하부가 고정된 기둥(110)의 상부에 상호 연결되는 상태로 복수 개로 구비되고, 차양판(30) 간의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지의 구성을 한다.
아울러 상기 차양프레임(100)은 합성수지재, 금속재 또는 목재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재질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차양프레임(100)은 중앙바(10)를 차양프레임(100)에 고정체결시키는 고정구(4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재질 또는 구조를 가져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상기 차양프레임(100)은 차양판(30)의 측부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각형의 프레임관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또한 상기 고정판(20)은 상기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서, 중앙바(10)의 양쪽 측부 각각에 차양판(30) 측부의 일부분을 고정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한 쌍의 고정판(20)은 도 2와 같이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서 측방으로 폭을 형성하며 돌출 형성되고, 중앙바(10)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와 한 쌍의 고정판(20) 각각의 하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는 차양판(30) 측부의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공간은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와 고정판(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중앙바(10)와 차양프레임(100) 간의 고정체결시에 가해지는 고정구(40)의 가압력으로 이격공간의 높이가 낮아져 이격공간에 내입된 차양판(30) 측부의 일부분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격공간의 높이는 중앙바(10)의 높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중앙바(10)의 측부에서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판(20)의 형태가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에 대하여 상향 굴절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격공간의 높이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고정판(20) 각각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리브(21)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리브(21)는 이격공간에 끼워진 차양판(30) 측부의 일부분을 직접적으로 상부에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고정판(20) 하부의 일정부분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리브(21)는 이격공간으로 내입된 차양판(30) 측부의 일부분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는 구성이면, 고정판(20)에 대한 다양한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면서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리브(21)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더불어 본 발명의 주안점은 차양프레임(100)에 중앙바(10)를 고정체결시키는 고정구(40)가 차양의 흔들림에 의하여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상기 중앙바(10)와 상기 고정판(20)의 연결부에서 돌출 형성된 고정구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 헤드부(41)를 상부에서 저지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판(20)과 상기 중앙바(10)의 연결부에는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11)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차양프레임(100)에 중앙바(10)를 체결시키는 고정구 헤드부(41)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한 후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구(4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부(42)와 상기 몸체부(42)의 상부에 연결되어 공구가 체결될 수 있는 헤드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고정구(40)를 공구로서 회전시키면, 상기 몸체부(42)는 도 3과 같이 중앙바(10) 중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며 차양프레임(100)에 고정체결되고, 몸체부(42)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헤드부(41)는 중앙바(1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가져 헤드부(41)와 차양프레임(100) 사이에 중앙바(10)가 견고하게 고정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도 3과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판(20)과 상기 중앙바(10)의 연결부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돌출 방향은 중앙바(10)의 중심에 위치하는 수직 중심축 방향(중앙바(10)의 길이방향 및 폭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의 가상의 중심축 방향)을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돌출 방향을 가지는 고정구 걸림턱(11)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대한 고정구(40)의 체결을 위한 삽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고,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고정구(40)의 몸체부(42)가 고정체결된 상태에서는 고정구 헤드부(41)의 상부 일부분을 덮으며 고정구 헤드부(41)가 상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저지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중앙바(10)를 중심으로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판(20)과 중앙바(10)의 연결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각각의 연결부에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된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사이는 빈 공간인 통공(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공(13)은 중앙바(10)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중앙바(10)의 폭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폭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고, 고정구(40)가 체결되는 중앙바(10)의 일정부분에 원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며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통공(13)의 폭은 도 3과 같이 고정구 헤드부(41)의 직경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고정구(40)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체결된 상태에서는 고정구 헤드부(41)의 일부분이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 일부분에 상호 간섭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구(40)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체결될 때에는, 상기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의 하부는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일부분의 상부 및 말단면(11a)과 상호 걸림이 형성된다. 이때, 작업자에 의한 고정구(40)의 회전 가압력이 가해지면 고정구 헤드부(41)는 고정구 걸림턱(11)의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구 걸림턱(11)과의 걸림 부분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구 걸림턱(11)이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하며 상기 통공(13)을 통과하여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로 위치 이동된다. 더불어 상기에서 하방으로 휘어진 고정구 걸림턱(11)은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통과한 이후에는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로 위치 이동된 고정구 헤드부(41)는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중앙바(10)의 일정부분 위치되고, 설사 차양의 흔들림에 의하여 고정구(40)의 몸체부(42)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의 상부로 빠지려하더라도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의 상부에 배치된 고정구 걸림턱(11)에 고정구 헤드부(41)가 저지되어 고정구(40)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중앙바(10)에는 고정구 헤드부(41)가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로 위치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구 헤드부(41)가 안정적으로 중앙바(10)와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빈 공간(1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빈 공간(14)은 중앙바(10)가 폭 방향으로 복수 회 굴절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고정구(40)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체결될 때에는 고정구 헤드부(41)의 하부와 간섭되고,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통과하여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고정구 헤드부(41)의 상부와 간섭되어 고정구 헤드부(41)가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에 인접된 말단면(11a)이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통공(13) 방향에 해당하는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에 인접된 말단면(11a)이 하향하며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의 하부면이 상기 경사진 말단면(11a)을 따라 용이하게 하향하며 통공(13)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와 반대로 경사가 미형성된 평평한 상태의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면은 고정부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의 평평한 상부면과 평행한 상태로 간섭되어 고정부 헤드부(41)가 통공(13)을 통하여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강력하게 저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에 의하여 형성된 통공(13)은 상부가 하부보다 더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면(11a)이 하향하며 경사지도록 구성된 경우,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걸림턱(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도 5와 같이 중앙바(10)의 상부(빈 공간(14))와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된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상부 일부분을 하방으로 더욱 가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평평한 상태를 가지는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상기 고정구 걸림턱(11)과 같이 중앙바(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의 길이를 형성하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고정구 걸림턱(11)이 고정구(40)가 체결되는 부분에만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과 동일한 형태를 하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걸림턱(12)의 돌출 높이는 상기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이 중앙바(10)의 상부(빈 공간(14))와 보조 걸림턱(12)의 하부 사이에 내입될 수 있으면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구(40)가 차양프레임(100) 및 중앙바(10)에 체결될 때에는,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고정구 헤드부(41)의 하부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휘어지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휨에 의하여, 고정판(20)과 중앙바(1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부 측방으로 회전하며 위치 이동되고,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통과한 이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고정구 걸림턱(11)과 함께 상방으로 복귀되어 보조 걸림턱(12)의 하부가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의 상부면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 걸림턱(12)의 돌출 높이는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구성되어, 보조 걸림턱(12)이 고정판(20)과 중앙바(10)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부 측방으로 회전하며 위치 이동된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때, 보조 걸림턱(12)의 하부면 말단과 고정구 헤드부(41)의 상부 모서리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보조 걸림턱(12)은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외측면(12a)이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서 하향 돌출된 구성을 하기 때문에,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쪽의 내측면과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반대쪽의 외측면(12a)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반대쪽의 외측면(12a)이 도 7과 같이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지도록 구성되면, 고정구 헤드부(41)에 의한 가압력으로써 하방으로 휘어지는 고정구 걸림턱(11)의 휘어짐뿐만 아니라 고정구 걸림턱(11)에 대한 보조 걸림턱(12)의 휘어짐을 실현하여, 고정구 헤드부(41)가 더욱 용이하게 통공(13)을 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이 비경사지도록 구성되면,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면과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과의 경사각이 거의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면과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의 연결부분이 유연하지 못한 상태를 이루고, 그 결과 상기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하방으로 통과할 때, 상기 통공(13)은 고정구 걸림턱(11)의 휘어짐만으로 벌어진다.
이에 대하여, 도 7과 같이 상기와 같이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이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면,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면과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은 상기의 경우보다 더 유연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결과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통과할 때, 상기 고정구 헤드부(41)에 의한 하방으로의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면과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의 연결부분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통공(13)은 고정구 걸림턱(11)의 휘어짐 및 고정구 걸림턱(11)에 대한 보조 걸림턱(12)의 휘어짐으로 더욱 용이하게 벌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 걸림턱(12) 외측면(12a)의 경사각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나,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보조 걸림턱(12) 외측면(12a)이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면, 비평행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보다 고정구 걸림턱(11)의 휘어짐과 보조 걸림턱(12)의 휘어짐이 최대한 일체화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그 결과 고정구 헤드부(41)가 통공(13)을 하방으로 통과할 때 고정구 걸림턱(11) 및 보조 걸림턱(12)의 휘어짐이 용이하여 고정구 헤드부(41)가 보다 용이하게 통공(13)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와 같이 보조 걸림턱(12) 외측면(12a)이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면, 보조 걸림턱(12) 외측면(12a)의 상부는 고정구 헤드부(41)에서 먼 부분에 위치하고 보조 걸림턱(12)의 외측면(12a) 하부는 고정구 헤드부(41)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는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통공(13)을 통과하여 보조 걸림턱(12)의 하부에 위치된 고정구 헤드부(41)의 외측 일부분과 보조 걸림턱(12) 간의 간섭이 더욱 강력해져 통공(13) 상방으로의 고정구 헤드부(41)의 빠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중앙바 11 : 고정구 걸림턱
11a : 고정구 걸림턱의 말단면 12 : 보조 걸림턱
12a : 보조 걸림턱의 외측면 13 : 통공
14 : 빈 공간 20 : 고정판
21 : 리브 30 : 차양판
40 : 고정구 41 : 헤드부
42 : 몸체부 100 : 차양프레임
110 : 기둥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양프레임(100)의 상부에 고정체결되는 중앙바(10)와; 상기 중앙바(10)의 양쪽 측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판(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한 쌍의 고정판(20)과 상기 중앙바(10)의 연결부에는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구 걸림턱(11)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차양프레임(100)에 중앙바(10)를 체결시키는 고정구 헤드부(41)는,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의 폭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통과한 후 고정구 걸림턱(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은,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에 인접된 말단면(11a)이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하향하며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보조 걸림턱(1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중앙바(10)의 수직 중심축 방향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외측면(12a)이 상기 고정구 걸림턱(11)의 경사진 말단면(11a)과 평행하게 경사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구 걸림턱(11) 사이에 형성된 통공(13)은 중앙바(10)의 길이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걸림턱(12)은,
    상기 중앙바(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며 고정구 걸림턱(11)의 말단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용 몰딩.
KR1020160073496A 2016-06-14 2016-06-14 차양용 몰딩 KR101689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96A KR101689638B1 (ko) 2016-06-14 2016-06-14 차양용 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496A KR101689638B1 (ko) 2016-06-14 2016-06-14 차양용 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638B1 true KR101689638B1 (ko) 2016-12-26

Family

ID=5773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496A KR101689638B1 (ko) 2016-06-14 2016-06-14 차양용 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844A (ko) * 1996-10-28 1998-07-25 김영귀 볼트 이탈 방지구조
KR200196205Y1 (ko) 2000-04-04 2000-09-15 백정현 지붕재 이음구조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1185383B1 (ko) 2011-04-12 2012-09-24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844A (ko) * 1996-10-28 1998-07-25 김영귀 볼트 이탈 방지구조
KR200196205Y1 (ko) 2000-04-04 2000-09-15 백정현 지붕재 이음구조
KR100973565B1 (ko) 2010-05-06 2010-08-02 한국위스코주식회사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및 그를 이용한 차양구조물
KR101185383B1 (ko) 2011-04-12 2012-09-24 에버에스티 주식회사 차양용 몰딩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979B1 (ko) 차양구조물의 지붕 마감장치
JP6921645B2 (ja) 軒先唐草、及びそれを用いた軒先構造
KR101226170B1 (ko) 차양 지붕 패널 고정장치
JP6980426B2 (ja) 軒先構造
KR101689638B1 (ko) 차양용 몰딩
KR101651112B1 (ko) 차양용 몰딩
JP6445254B2 (ja) 独立構造体および隙間塞ぎ材の取付方法
KR101651113B1 (ko) 차양용 몰딩
CA2619878A1 (en) Ladder support
JP5998363B2 (ja) 屋根構造体
JP7171034B2 (ja) 軒先構造、及びその施工法
KR101285838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944790B1 (ko) 차양용 지붕체의 몰딩유닛
KR200460529Y1 (ko) 벽타일용 고정조절 장치
JP6740027B2 (ja) 簡易構造物
JP6253367B2 (ja) 庇の取付構造
JP4860282B2 (ja) 簡易屋根
JP6654441B2 (ja) 屋外用構造物及び屋外用構造物の施工方法
JP6719303B2 (ja) 簡易構造物の製造方法
JP7446891B2 (ja) 簡易建物
CN217712025U (zh) 遮阳篷的立柱与梁的连接机构及遮阳篷
KR200471738Y1 (ko)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140000543U (ko) 채광 패널 구조물
JP2000008529A (ja) 簡易構築物の屋根
JP2018204399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