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768Y1 -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768Y1
KR200195768Y1 KR2020000010738U KR20000010738U KR200195768Y1 KR 200195768 Y1 KR200195768 Y1 KR 200195768Y1 KR 2020000010738 U KR2020000010738 U KR 2020000010738U KR 20000010738 U KR20000010738 U KR 20000010738U KR 200195768 Y1 KR200195768 Y1 KR 200195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rating
bracket
drain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순
Original Assignee
미강건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강건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강건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0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수구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그레이팅(Grating)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표면에 대해 110°이상으로 열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수구몸체의 상단입구부분에 일체로 마련되며 하단안쪽에 수평플랜지를 위치시킨 앵글부재(12)가 일체형 사각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모서리부분에 판형 앵커(14)가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재(12)의 한쪽내부에 호형장공(18)을 갖는 브래킷(16)이 형성된 프레임(10); 이 프레임(10)의 앵글부재(12) 내에 안착되며 수 십여 개 이상의 장방형구멍(24)이 형성되면서 프레임(10)의 브래킷(16)을 수용하는 브래킷설치홈(22)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설치홈(22)의 측면으로부터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체결부재(26)로 관통 연결되어 프레임(10)의 브래킷(16)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마련되는 그레이팅(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이다.

Description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Grating Assembly for Drain}
본 고안은 배수로의 그레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구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그레이팅(Grating)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표면에 대해 110°이상으로 열어 개방시킬 수 있는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구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배수구는 배수구를 갖는 콘크리트몸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의 콘크리트몸체에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프레임에는 주철제의 그레이팅이 안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배수구는 콘크리트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주철제의 그레이팅을 단순히 올려놓은 것으로 아무런 분실방지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분실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배수구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그레이팅(Grating)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표면에 대하여 110°이상의 각도로 열어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정된 각도의 개방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의 분실염려 없이 열어놓고 배수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분해사시도,
도 2는 프레임에서 그레이팅을 열어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그레이팅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2: 앵글부재 14: 판형 앵커 16: 브래킷 18: 호형장공 20: 그레이팅 22: 브리킷설치홈 24: 장방형구멍 26: 체결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수구 상단입구부분에 일체로 마련되며 하단안쪽에 수평플랜지를 위치시킨 앵글부재가 일체형 사각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모서리부분에 판형 앵커가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재의 한쪽내부에 호형장공을 갖는 브래킷이 형성된 프레임; 이 프레임의 앵글부재 내에 안착되며 수 십여 개 이상의 장방형구멍이 형성되면서 프레임의 브래킷을 수용하는 브래킷설치홈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설치홈의 측면으로부터 브래킷의 호형장공을 체결부재로 관통 연결되어 프레임의 브래킷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마련되는 그레이팅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에서 그레이팅을 열어 회전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그레이팅을 닫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은 하단안쪽에 수평플랜지를 위치시킨 앵글부재(12)가 일체형 사각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모서리부분에 판형 앵커(14)가 형성되면서 앵글부재(12)의 한쪽 내부에 호형장공(18)을 갖는 2개의 브래킷(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형 앵커(14)는 프레임(10)을 고정시키도록 콘크리트인 배수구몸체를 거푸집에서 양생시킬 때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부분이다.
그레이팅(20)은 주철에 의해 주조되고 프레임(10)의 앵글부재(12) 내에 안착되면서 한쪽에 브래킷(16)을 수용하는 브래킷설치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 십여 개 이상의 장방형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그레이팅(20)은 브래킷설치홈(22)의 측면으로부터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체결부재(26)로 관통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브래킷(16)에 호형장공(28)을 형성시킨 이유는 그레이팅(20)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열어 세울 때 그레이팅(20) 하단의 체결부재(26)가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되므로 프레임(10)의 표면에 대해 110°이상의 각도로 열어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를 제조하고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은 후 그 상단에 프레임(10)을 올려놓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킴으로써 배수구몸체에 견고하게 고정한 다음 프레임(10)의 브래킷(16)을 감싸도록 그레이팅(20) 한쪽의 브래킷설치홈(22)에 끼워 넣고 이 브래킷설치홈(22)의 측면으로부터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관통하도록 체결부재(26)로 연결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 완료한 후 배수구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그레이팅(20)의 한쪽끝단을 잡고 잡아당기면서 들어올리면 그레이팅(20)하단의 체결부재(26)가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따라 이동되면서 그레이팅(20)하단의 체결부재(26)를 중심으로 하여 그레이팅(20)이 회전되게 된다.
상기 그레이팅(20)이 호형장공(18)을 따라 당겨지면서 회전되므로 프레임(10)의 표면에 대해 110°이상의 각도로 개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그레이팅(20)의 무게중심이 프레임(10)의 외측후방에 위치되어 그레이팅(20)이 닫힐 염려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레이팅(20)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그레이팅(20)의 닫힘 걱정 없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는 배수구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그레이팅(Grating)을 단순히 올려놓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배수구몸체 상단의 프레임에 그레이팅(Grating)을 연결하여 프레임의 표면에 대하여 110°이상의 각도로 열어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렇게 그레이팅의 분실염려 없이 열어놓고 배수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수구몸체의 상단입구부분에 일체로 마련되며 하단안쪽에 수평플랜지를 위치시킨 앵글부재(12)가 일체형 사각으로 형성되고 그 외면모서리부분에 판형 앵커(14)가 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재(12)의 한쪽내부에 호형장공(18)을 갖는 브래킷(16)이 형성된 프레임(10);
    이 프레임(10)의 앵글부재(12) 내에 안착되며 수 십여 개 이상의 장방형구멍(24)이 형성되면서 프레임(10)의 브래킷(16)을 수용하는 브래킷설치홈(22)이 형성되고 이 브래킷설치홈(22)의 측면으로부터 브래킷(16)의 호형장공(18)을 체결부재(26)로 관통 연결되어 프레임(10)의 브래킷(16)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으로 열거나 닫을 수 있게 마련되는 그레이팅(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20000010738U 2000-04-17 2000-04-17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KR200195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38U KR200195768Y1 (ko) 2000-04-17 2000-04-17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38U KR200195768Y1 (ko) 2000-04-17 2000-04-17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768Y1 true KR200195768Y1 (ko) 2000-09-15

Family

ID=1965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38U KR200195768Y1 (ko) 2000-04-17 2000-04-17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7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90B1 (ko) * 2006-06-23 2007-06-29 서일공영 주식회사 격자 구조물
KR101469889B1 (ko) * 2013-09-16 2014-12-08 김강 스틸그레이팅 고정장치
US11015331B1 (en) 2020-05-25 2021-05-25 Seungho KANG Drainage grating structur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90B1 (ko) * 2006-06-23 2007-06-29 서일공영 주식회사 격자 구조물
KR101469889B1 (ko) * 2013-09-16 2014-12-08 김강 스틸그레이팅 고정장치
US11015331B1 (en) 2020-05-25 2021-05-25 Seungho KANG Drainage grating structure
KR102301318B1 (ko) 2020-05-25 2021-09-13 강승호 배수용 그레이팅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0484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브라켓
KR101564013B1 (ko)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200195768Y1 (ko) 배수구의 그레이팅 어셈블리
US20090123227A1 (en) Dual lifting manhole cover
KR100362512B1 (ko) 뚜껑의 용이한 이탈방지 수단을 갖는 철개
KR20090001343A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SK286767B6 (sk) Cestné zariadenie a jeho krycí prvok
KR101257543B1 (ko) 도난방지용 스틸그레이팅
JP2002325316A (ja) 防水型ケース
KR200211315Y1 (ko) 소음 및 이탈방지용 배수로 측구 뚜껑
JP4169430B2 (ja) マンホール蓋における蓋板の貫通孔の閉止構造
JP2002285631A (ja) 蓋と受枠との連結構造
KR200375107Y1 (ko) 옥내 천장 배선용 접속함의 커버
KR100815193B1 (ko) 배수트랩조립체
KR200185850Y1 (ko) 맨홀용 덮개
JPS6233781Y2 (ko)
JP3396668B2 (ja) 蓋と受枠との連結構造
KR200431541Y1 (ko) 맨홀 덮개의 소음방지장치
KR100435079B1 (ko) 배수트랩
KR20070023327A (ko) 맨홀
JPH0444701Y2 (ko)
KR0129827Y1 (ko)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JPH0235870Y2 (ko)
JPH0412926Y2 (ko)
JPH09184157A (ja) 把手取付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