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282Y1 -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282Y1
KR200195282Y1 KR2020000009614U KR20000009614U KR200195282Y1 KR 200195282 Y1 KR200195282 Y1 KR 200195282Y1 KR 2020000009614 U KR2020000009614 U KR 2020000009614U KR 20000009614 U KR20000009614 U KR 20000009614U KR 200195282 Y1 KR200195282 Y1 KR 200195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ir
molding
tread por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태
Original Assignee
권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태 filed Critical 권기태
Priority to KR2020000009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5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5Using chambers to apply heat and pressure, e.g. autoclaves for curing the retreaded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52Unvulcanised treads, e.g. on used tyres; Retreading
    • B29D30/54Retreading
    • B29D2030/549Means for holding the tyre on a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의한 재생타이어 성형장치는, 외주면에 재생용 트레드부 및 균일한 가압력 유지를 위한 고무막이 부착된 복수의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가 배치된 원통형 성형챔버; 성형챔버의 내벽을 따라 배치된 가열수단; 성형챔버내의 압력 유지를 위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에어펌프; 에어펌프에 의한 압력 작용시 트레드부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있는 공기를 미세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 및 원통형 지지부의 복수의 타이어의 사이 사이에 개재되어 가열수단에 의한 타이어의 가열 성형시 타이어의 측면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공기배출수단은 트레드부와 고무막 사이의 공간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원통형 지지부로 연결되는 직물지로 구성된다. 단열부재는 단열과 동시에 그 양측에 위치된 고무막을 타이어의 측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이에 의하면, 타이어의 측면에는 열이 전달되지 않고, 타이어의 트레드부에만 고온의 열이 전달되면서 트레드부를 타이어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타이어의 측면이 고온에 노출되어 열화됨으로써 발생되는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Apparatus for molding reproductive tire}
본 고안은 마모가 심한 타이어의 트레드부분만을 재생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용 타이어는 노면과 항상 접촉하는 트레드부분이 쉽게 마모되며, 이에 따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타이어의 트레드부분이 마모되었다고 하여 타이어 전체를 교환하는데는 큰 비용부담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타이어의 마모가 심한 트레드부분만을 재생하여 사용하는 재생 타이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가 고안되어 재생 타이어를 제작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의 전형적인 한 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밀폐된 성형챔버(1)를 구비한다. 이 성형챔버(1)의 상하부에는 내부를 소정의 성형온도로 조성하기 위한 히터(2)(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성형챔버(1)의 일측에는 내부를 소정의 성형압력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공기주입구(3)를 포함하는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타이어(10)는 마모된 트레드부분이 연마되어 있으며, 이 연마부분에는 새로운 트레드부(11)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이 트레드부(11)를 포함하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는 얇은 외피(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타이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무튜브(13)는 일정압력의 공기가 충진되어 있다. 이와 같이된 타이어(10)는 중앙부의 휠(14)이 부착된 상태로 도면에서와 같이, 성형챔버(1)의 상부 일측에 복수개가 매달려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드부(11)와 고무막(12)과의 사이의 공간에는 성형챔버(1)내의 압력 작용시 이 공간의 공기를 미세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구(1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누르면, 히터(2)(2')가 작동하여 성형챔버(1)의 내부 온도를 약 120℃ 내지 140℃로 가열하여 유지시킴과 동시에 에어펌프의 작동으로 성형챔버(1)의 내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게된다. 이에 의해 타이어(1)의 외주면에 부착된 트레드부(11)에는 고무튜브(13)에 의한 압력과 성형챔버(1)에 가해지는 압력이 양측에서 동시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타이어(1)에 완전히 부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2)는 성형챔버(1)에 작용하는 압력이 트레드부(11)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압력의 작용시 트레드부(11)와 외피(12)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공기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되며, 이에 의해 외피(12)는 최종적으로 트레드부(11)에 완전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트레드부(11)는 타이어(1)의 외주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 때, 성형시간은 2 내지 3시간 이며, 상기 고무튜브(13)의 압력은 대략 5kg/cm2이고, 상기 성형챔버(1)내의 압력은 대략 4kg/cm2이다.
성형이 끝난 후, 타이어를 꺼내어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외피(12)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에 의하면, 성형챔버(1)의 내부 전체에 걸쳐 히터(2)(2')에 의한 고온이 작용하기 때문에, 타이어(1)의 고온이 필요한 부분인 트레드부분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측면에까지 고온이 전달되어, 고온에 의해 타이어의 측면이 열화되어 매우 취약하게 됨으로써 성형 불량이 야기되고 있고, 소비자의 주된 클레임 원인이 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타이어의 재생을 위한 성형시 타이어의 측면으로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아, 고온으로 인한 타이어 측면의 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성형불량을 개선시킬 수 있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의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의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단열부재가 타이어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성형챔버 110;원통형 지지부
120;가열부 130;공기주입구
140;타이어 141;트레드부
142;고무막 150;단열부재
160;직물지 170;튜브공기주입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외주면에 재생용 트레드부 및 균일한 가압력 유지를 위한 외피가 부착된 복수의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가 형성된 성형챔버를 구비한다. 상기 성형챔버의 내벽에는 챔버내부를 소정의 성형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성형챔버의 내부에는 에어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에어가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성형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성형챔버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트레드부와 외피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미세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피가 트레드부에 밀착하여 트레드부를 타이어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성형챔버의 고온이 타이어의 측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열부재가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타이어의 사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개재된다. 이에 의해 타이어의 측면에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아, 이 부분이 고온에 의해 열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트레드부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원통형 지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외부로 미세하게 배출하는 직물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는 이에 고정되는 각 타이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셋팅하기 위하여 타이어에 삽입되는 튜부의 공기주입구를 위치결정핀으로 사용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타이어의 외형과 대응되는 측면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단열부재는 타이어 측면의 열전달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무막이 타이어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역할도 한다.
이에 의하면, 재생 타이어의 성형시 타이어의 측면으로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타이어의 측면이 열화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의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인 단열부재가 타이어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성형챔버이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성형챔버(100)의 일측벽(101)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일단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개구된 원통형 지지부(11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챔버(100)의 내벽에는 챔버내부를 성형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파이프(120)가 감겨 있으며, 성형챔버(100)의 상부 및/또는 하부 일측에는 챔버내부를 성형압력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구(130)가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기주입구(130)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펌프 등과 같은 펌핑수단과 연결되어 있다.
타이어(140)의 외주면,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마모된 트레드부분이 연마된 부분에는 새로운 재생을 위한 트레드부(141)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트레드부(141)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외부에는 트레드부(141)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한 고무막(142)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복수의 타이어(140)는 상기 원통형 지지부(110)에 끼워진 채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어(140)의 내부 고무튜브(143)에는 소정압력의 공기가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지지부(110)에 끼워진 복수의 타이어(140)의 사이 사이에는 고온의 작용시 타이어(140)의 측면으로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단열부재(150)가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타이어(140)의 트레드부(141) 부분에만 고온의 열이 전달되면서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150)는 고온의 열이 타이어의 측면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외피(142)가 타이어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역할도 겸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챔버내부의 압력 작용으로 외피(142)가 타이어(140)의 외주면과 밀착하면서 트레드부(141)를 가압할 때, 트레드부(141)과 외피(142)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하는 바, 이러한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공간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원통형 지지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공간부의 공기를 외부로 미세하게 배출되게 하는 직물지(16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지지부(110)에는 이에 고정되는 각 타이어(140)의 위치를 쉽게 셋팅하여 주기 위하여 원통지지부에 형성된 절개부(111)를 관통하는 튜부공기주입구(170)를 위치결정핀(170)을 역할을 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의한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는, 우선, 타이어(140)의 고무튜브(143)에 일정압력(대략 5kg/cm2)의 공기를 채운 후, 외주면에 트레드부(141)과 고무막(142)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준비된 복수의 타이어(140)를 성형챔버(100)의 일측벽을 이탈시킨 후, 원통형 지지부(110)에 차례로 끼워 설치한다. 이 때, 타이어와 타이어 사이에 단열부재(150)를 개재하여 설치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본 고안의 위치결정핀(170)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정확하면서 쉽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누르면, 열파이프(120)의 내부에 열매체가 흐르면서 챔버 내부를 소정의 성형온도로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주입구(130)를 통하여 에어가 주입되면서 챔버내부가 성형압력 조건으로 조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외피(142)는 타이어(14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며, 그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구(170)을 통하여 외부로 미세하게 배출되게 된다.
대략 2 내지 4시간이 경과하면, 고무막(142)는 타이어(140)의 외주면에 완전 밀착하게 되고, 따라서 트레드부(141)는 타이어(140)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성형방법은 종래와 다를바 없으나, 본 고안에서는 타이어의 측면에 단열부재(150)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측면으로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열부재(150)에 의해 타이어 측면의 외피가 보다 효과적으로 타이어에 밀착되게 되므로, 트레드부의 견고한 부착을 기대할 수 있다.
성형이 완료된 후, 타이어를 꺼내어 그 외부에 밀착된 외피를 제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재생 타이어 성형방법에서 성형온도, 성형압력 및 성형시간 등과 같은 성형 조건은 종래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재생 타이어의 성형시, 각각의 타이어의 사이에 단열부재가 위치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측면으로는 고온의 열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이어의 측면이 고온에 의해 열화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성형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클레임 소지를 일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햐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외주면에 재생용 트레드부 및 균일한 가압력 유지를 위한 외피가 부착된 복수의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 지지부가 배치된 성형챔버;
    상기 성형챔버의 내벽에 배치되어 챔버내부를 소정의 성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성형챔버내의 압력 유지를 위하여 에어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를 포함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에 의한 압력 작용시 상기 트레드부와 고무막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미세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 복수의 타이어의 사이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한 타이어의 가열 성형시 타이어의 측면으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트레드부와 고무막 사이의 공간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원통형 지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의 공기를 원통형 지지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지지부에는 이에 고정되는 각 타이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셋팅하기 위하여 튜브의 공기주입구를 위치결정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 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성형챔버의 내벽을 따라 코일처럼감긴 열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열파이프의 내부에는 열전도율이 높은 열매체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타이어 성형장치
KR2020000009614U 2000-04-04 2000-04-04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KR200195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14U KR200195282Y1 (ko) 2000-04-04 2000-04-04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614U KR200195282Y1 (ko) 2000-04-04 2000-04-04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282Y1 true KR200195282Y1 (ko) 2000-09-01

Family

ID=1965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14U KR200195282Y1 (ko) 2000-04-04 2000-04-04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52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0176C (fi) Foerfarande foer regummering av fordonsdaeck
US4052496A (en) Method of making a tire by first molding a tread and then molding separate sidewalls onto the tread
RU99116973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рмования и вулканизации шин для колес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858566A (en) Tire curing press
KR102044811B1 (ko) 타이어 가황 기구 및 방법
KR200195282Y1 (ko) 재생 타이어 성형장치
JP3860345B2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および加硫金型の加熱装置
US3868284A (en) Tire retreading apparatus and method
EP3266599B1 (en) Tire vulcanizing apparatus
FI59551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pneumatiskt daeck
JP2005153318A (ja) 無端ベルト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JP3745876B2 (ja) ゴム成型用内型及び加硫装置及び加硫方法
JPH0159887B2 (ko)
JP3875796B2 (ja) 伝動ベルトの加硫装置
KR200158590Y1 (ko) 타이어 가류장치
KR200179468Y1 (ko) 재생타이어 성형용 금형
JPS5825949A (ja) タイヤの製造方法
US1417551A (en) Chusetts
JPH11156857A (ja) ベルトスリ−ブ等の加硫装置及び加硫方法
SU89147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улканизации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KR200203445Y1 (ko) 타이어 가류기의 비드링구조
JP4063961B2 (ja) 伝動ベルトの加硫装置
KR100577051B1 (ko) 타이어 가류기 센터 메커니즘의 노즐헤드 구조
KR0160079B1 (ko) 재생타이어 제조용 엔벨로프 성형장치
JP4234160B2 (ja) タイヤ加硫金型の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