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271Y1 -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271Y1
KR200194271Y1 KR2020000010288U KR20000010288U KR200194271Y1 KR 200194271 Y1 KR200194271 Y1 KR 200194271Y1 KR 2020000010288 U KR2020000010288 U KR 2020000010288U KR 20000010288 U KR20000010288 U KR 20000010288U KR 200194271 Y1 KR200194271 Y1 KR 200194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forming
transfer
tub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9/17007Shutter boxes; Details or component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성형되는 이중 스트로우의 불량율을 감소시킴은 물론 성형 작업 속도를 향상시킨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동시에 2개의 이중 스트로우를 성형할수 있는 스트로우의 내외관들을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제1이송드럼과 길이조정 가이드가 설치된 제1이송스크류를 경유하여 스트로우 내외관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하고, 그 내외 관이 결합된 스트로우들은 상기 제1이송스크류들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 제2 이송드럼들에 의하여 그 스트로우 내외관의 단부에 확축관부를 형성하는 수개의 확축관 성형지그가 안내 가이드에 의해 설치된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측으로 전달되게 하고, 또한 확축관 성형기로부터 나오는 스트로우들은 제2이송스크류를 통해 회전하는 드럼형상의 회전원판에 수개의 마구리 성형지그가 취부된 마구리 성형 기 측으로 이송하여 마구리를 형성후, 포장기측으로 이송되어 포장되게 한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작업속도의 향상에 따른 스트로우의 불량율을 감소시키어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Double Straw Forming Appartus}
본 고안은 음료용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에 관 한 것으로, 특히 동시에 2개의 스트로우를 성형할수 있게 하면서 확축관 성형기와 길이조정 가이드와의 사이에는 그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스트로우를 신속하고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게한 드럼의 채택과 아울러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는 물론 마구리 성형기는 생산성을 높일수 있는 구조로서 개량한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로우는 음료의 기능이나 특성에 맞도록 사용하기 위해 스트레이트 스트로우와 신축을 자유 자재롭게 한 이중(Double) 스트로우로 구분하여 제조 하는데, 근자에는 사용의 편리성으로 이중 스트로우를 각종 음료 제품에 많이 사용함에 따라 이중 스트로우에 대한 제조장치 역시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그 제조장치에 대한 일예가 일본 공개특허 공보(소 59-197215.84.11.8공개, 소 62-183717 .87.8.12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선행기술들은 오직 1개의 이중 스트로우만을 제조할수 있는 구성만이 나타나 있어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선행 기술들은 스트로우 성형용 재료들을 이송 스크류에 의해서 직접 확축관 성형용 드럼 측으로 이송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스트로우를 이송스크류에 의해 확축관 성형용 드럼 측으로 이송시 스트로우 제품의 이송각도의 상이로 인해, 스트로우가 확축관 성형 드럼측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스트로우 성형기계에서 트러블(Trouble)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송 스크류에 의한 스트로우의 전달은 상기 확축관 드럼의 대략 상부로부터 1/3 정도되는 부위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만큼 확축관 성형 드럼의 작업 회동거리를 짧게 하지 않으면 안되는 드럼 행정길이의 제약을 받게되는 문제가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짧은 구간내에서 스트로우의 확축관 성형을 속히 진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스트로우의 확축관 성형시 불량율을 많게 하는 요인이되고있다.
또 기존의 스트로우 제조장치는 상기 선행기술에 나타난 바와같이, 스트로우의 확축관 성형부와 마구리 성형부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제조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이거니와 그만큼 정비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상기 선행기술에 나타난 확축관 성형부에 채용된 확축관 성형용 지그 샤프트는 단지 드럼에만 지지된 상태로서 이동되면서 스트로우에 확관 혹은 축관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작동시 회동으로 인한 오 작동 발생의 우려가 있게되는 폐단이 있다. 또 마구리 성형에 있어서는 마구리의 성형 작업량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동시에 2개의 이중 스트로우를 성형하여 안가로 대량 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스트로우의 이송시 스트로우 성형기계의 트러블 요인을 없게함으로써 이중 스트로우의 이송을 항시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여, 이중 스트로우의 생산성을 향상 시킨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로우의 확축관 성형부와 마구리 성형부의 구조를 개량 변형하여, 구조의 간결화에 의한 기계의 안정적 작동과 아울러 스트로우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수 있 게 한 이중스트로우의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는 청구항 1의 발명과 관련된 다수 개로 구획된 수용 실을 구비하여 기체(機體)의 어느 일 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실의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스트로우를 성형할 수 있는 복수개소에 주름부가 설치된 다수개의 스트로우 외관들과 그리고 스트로우 내관들을 수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트로우 성형관 공급호퍼와, 원통체로서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트로우 관들을 하나씩 수용하기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호퍼의 직 하방에서 기체에 회전되게 축지지되어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이송 낙하되는 스트로우 성형용 관들을 상기 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하여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드럼과, 상기 제1이송드럼의 어느 일 측의 스트로우 외관의 주름부들 사이와의 대응 부위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기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스트로우 관중 외관의 주름부들의 사이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칼날부를 갖는 스트로우 외관 절단기와, 상기 스트로우 관들을 이송하기 위한 나선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기 및 제1이송드럼의 하부위치에서 기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되 기체의 중앙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드럼에서 이송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서 절단된 외관들의 각각에 대하여 내관들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스트로우 관들을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이송드럼과 같이 원통체로서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트로우 관들을 하나씩 수용하기 위한 이송홈들이 설치되며,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와 인접된 이송 스크류들의 끝단 양측 위에서 이와 대응 위치된 이송스크류들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체에 회전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결합된 스트로우 관들을 상기 이송홈에 하나씩 수용하여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이송드럼과, 상기 제2이송드럼들과의 각 인접위치에서 기체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제2이송드럼들로부터 이송되는 내 외관들이 하나로 결합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서 스트로우 내관들의 어느 일측 단에는 확관부를 그리고 상기 확관부와 반대 측 스트로우 외관의 단부에는 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드럼형상의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와, 상기 확축관 성형기와의 인접 위치에서 기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확축관 성형기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스트로우 관들을 마구리 성형 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하는 제2 이송 스크류와, 상기 제2이송 스크류와의 인접위치에서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로부터 이송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 상기 스트로우 외관들의 축관부들과의 반대 단들에 내관 이탈 방지용 마구리를 성형하기 위한 스트로우관들의 마구리 성형기와, 상기 마구리 성형기와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마구리 성형기로부터 이송되어온 이중 스트로우 관들을 비닐지 내에 낱개로 진공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에서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는 기체의 폭 방향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 상의 중앙과 그리고 양측 단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된 캠 경사면을 갖는 원판캠들과, 상기 원판 캠들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원판 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됨과 아울러 둘레 면을 따라 내 외관이 결합된 상기 스트로우의 관을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된 이송드럼들과, 상기 이송드럼과 원판 캠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이송드럼들과 원판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형의 회전판들과, 상기 회전판들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회전판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상기 원판캠의 캠 경사면에 구름접촉하고, 타단에는 상기 이송드럼에 수용된 스트로우들의 각 외관 및 내관 단부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상기 축관부 및 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확축관 지그들을 구비한 사각 단면을 갖는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관의 마구리 성형기는 기체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마구리 성형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 상의 양측 단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된 캠 경사면을 갖는 마구리 성형 원판캠들과, 상기 원판 캠들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원판 캠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됨과 아울러 둘레 면을 따라 내 외관이 결합된 상기 스트로우의 관을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된 마구리 성형 이송드럼들과, 상기 이송드럼과 원판 캠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이송드럼들과 원판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형의 마구리 성형 회전판들과, 상기 회전판들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회전판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상기 원판캠의 캠 경사면에 구름접촉하고, 타 단은 상기 이송드럼에 수용된 스트로우 외관들의 축관부와의 반대 단부들 측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스트로우 내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구리 부를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 성형 지그들을 구비한 사각 단면을 갖는 마구리 성형지그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에서 확축관 및 마구리 성형 지그 샤프트들의 이동시 회동방지를 위해 그 확축관 성형지그 샤프트들의 사각 단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ㄷ형 상의 고정 안내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의 축관 성형 지그들과의 인접위치에는 상기 스트로우 외관의 축관부에 스트로우 내관의 수축 방지용 스톱퍼를 형성하기 위한 스톱퍼 지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 지그는 상하로 대응 배치된 한쌍의 칼날형 지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를 측면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이중스트로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호퍼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1의 A부분을 위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 만에 대한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표시 D부분의 확축관 성형 지그에 대해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F 부분 만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화살표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E부분의 마구리 성형 지그에 대하여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중스트로우 성형장치 110 : 호퍼
120 : 제1이송드럼 130 ; 절단기
140 : 제1이송스크류 145: 길이조정 가이드
150 : 제2이송드럼 160 : 확축관 성형기
165 : 스톱퍼 성형지그 170 : 제2이송스크류
180 : 마구리 성형기 175 : 제3이송스크류
190 : 포장기 200 : 이중 스트로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를 측면에서 보아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면부호(100)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100)은 기체(機體)(102)상에 도1에서 보아 우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 스트로우 재료 공급호퍼(110)과, 상기 호퍼(110)의 직하방에 설치된 제1이송드럼(120)과, 그 제1이송드럼(120)에 인접하여 설치된 절단기 (130)과,상기 제1이송드럼(120) 및 절단기(13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이송스크류 (140)과,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상의 일단에 설치된 스크류이송용 제2이송드럼 들(150)과, 상기 제2이송드럼들(150)의 상부에 그 제2이송드럼(150)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된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과,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측으로부터 나오는 스트로우를 후술하는 스트로우 마구리 성형기(180)측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스크류(170)과, 상기 제2이송 스크류(170)에 의해 이송된 스트로우의 어느 일단에 마구리를 형성하는 마구리 성형기(180) 및 제3이송스크류(175)에 의하여 이송된 스트로우를 최종적으로 포장하는 포장기(190)으로부터 이루어 져 있다.
또한 도면부호(165)는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에 의해 스트로우에 확축관을 성형시 그 스트로우에 스톱퍼를 설치하는 스톱퍼 지그(165)를 표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표시의 이중 스트로우 성형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이중스트로우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중 스트로우(200)은 외관(210)과 그 외관(210)의 내부에 신축자재하게 삽입된 내관(2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트로우 외관(210) 및 내관(220)의 어느 일단에는 도 1표시의 확축관 성형기(160)에 의하여, 상기 외관(210)에는 상기 내관 (220)의 이탈 방지를 위한 축관부(212)를 그리고 상기 내관(220)에는 상기 외관 (210)의 축관부(212)에 걸리도록 한 확관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외관(210)의 축관부(212)와의 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내관(220)이 상기 외관(210)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에서 그 외관(210)으로부터 이탈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구리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의 마구리부(214)는 도 1표시의 마구리 성형기(180)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에 있어서 상기 외관(210)의 축관부(212)와의 인접 부위에는,상기 스트로우(200)을 사용하려고 상기 내관(220)을 상기 외관(210)으로부터 신장 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로우(200)의 사용도중 상기 내관(220)이 외관(210)의 내부로 수축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216)이 형성되는데, 상기 스톱퍼(216)은 도 1표시의 스톱퍼 지그(165)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면부호 (230)은 주름부를 나타낸 것인데, 주름부(230)은 본 발명의 장치와는 무관한 별도의 기계에의하여 사전에 형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 스트로우(200)을 성형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도3내지 도 11의 스트로우 성형장치의 각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호퍼만을 분리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호퍼(110)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기가 동시에 2개의 스트로우를 성형할수 있는 재료를 공급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적어도 3개로서 완전히 독립적으로 구획된 수용실들(112a~112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호퍼(110)의 양측 수용실들 (112a,112c)에는 스트로우 내관(220)들이 수용되고, 그 중앙의 수용실(112b)의 내부에는 상기 내관(220)들에 대하여 각각 결합할수 있게 복수개로 절단되어서 사용될 크기를 갖는 외관(210)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관(210)이 수용되는 수용실(112b)는 상기 내관(220)의 수용실들(112a,112c)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은 도 1의 A부분에 대한 개략 평면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같이 설명한다.
제1이송드럼(120)은 호퍼(110)으로부터 낙하되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용 내외관들(210,220)을 다음 작업 공정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도 1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제1이송드럼(120)은 호퍼(110)의 직 하방에서 기체(102)에 회전 가능하게 축(124)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드럼(120)은 원통체를 이루며, 그 드럼(120)의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트로우 내외관들(210,220)을 하나씩 수용하기위한 수용홈(122)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드럼(120)에 설치된 수용홈(122)는 상기 드럼(120)이 회전 할 때 마다 호퍼(110)의 출구에 일치되게 위치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20)의 회전시 상기 호퍼(110)으로부터 자연 낙하되는 스트로우 성형용 내외관들(210,220)은 상기 수용홈(122)내에 각각 수용되어 다음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이송드럼(120)의 어느 일 측의 이중 스트로우 외관(210)의 주름부 (230)사이와의 대응 부위에 인접한 위치에는 예리한 칼날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갖는 이중 스트로우 외관 절단기(130)이 기체(10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기(130)은 제1이송드럼(1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중 스트로우 내외관 들 (210,220)중 외관(210)의 주름부(230)의 사이를 절단하여 상기 내관(220)에 상응하는 2개의 관을 이루게 한다. 상기 절단기(130)에 의하여 절단된 외관(210)들과 그리고 내관(220)들은 도 1및 도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이송드럼 (120)에 의하여 그 하부에 배치된 제1이송 스크류(14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1이송 스크류(140)은 상기 절단기(130) 및 제1이송드럼(120)의 하부위치에서 기체(102)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도 4에서 보아 기체(102)의 중앙부위(P)를 기준점으로 하여 좌측에 배치된 이송스크류들은 화살표 a방향으로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이송스크류는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되게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송드럼(120)으로부터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측으로 이송된 스트로우 성형용 내외관들(210,220)은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의 서로 다른 회전력에 의하여 도4의 화살표 c방향과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의 일단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후술하는 제2이송드럼(150)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에서 제1이송드럼(120)과 제1이송스크류(140)의 회전 구동은 미도시한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데, 이러한 구동수단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스트로우 내외관들(210,220)이 상기 제1이송 스크류(140)에 의하여 화살표 c방향과 화살표 d방향으로 이송되는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B부분만에 대한 이송스크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이송스크류(140)에는 전 길이에 걸쳐서 이송 나선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b방향(도4참조)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상에 제1이송드럼(120)(도 1및 도4참조)에 의해서 상기 스트로우 내외관들(210,220)이 이송되면, 그 스트로우 내외관들 (210,220)은 제1이송스크류(140)의 이송 나선부(142)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 된다.
한편,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의 양측으로는 상기 내외관들(210,220)을 결합 이송하면서 그 결합된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정 가이드(145)와 조절용 스톱퍼(146)이 구비되어 있는데, 양측이 모두 동일하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4에서보아 우측에 위치된 것만을 설명한다. 상기 길이조정 가이드(145)는 대략 판형태로서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의 일측에서 그 이송스크류(140)의 전길이를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정 가이드(145)는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의 나선부(142)에 의해서 이송되는 스트로우 내관(220)들이 외측으로 이탈됨이 없이 상기 가이드(145)의 안내를 받으면서 직진 이동만 실행되는 반면, 상기 내관(220)과 같은 방향으로 나선부(142)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외관(210)은 상기 내관(220)들과는 달리 상기 나선부(142)의 회전력에 의하여 계속적으로 상기 내관(220)측을 향해 이동되므로 상기 외관(210)의 내부로는 상기 내관(220)이 자동적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내관(220)이 경유하는 어느 일단부 상에는 상기 내관(220)의 진행에 장해를 받지않는 상태로서 그 내관(220)의 표면에만 접촉되게 한 상태로 하여 상기 길이조정 스톱퍼(146)이 설치되어 있다(도1참조). 이 때문에 상기 외관(210)은 상기 길이조정 스톱퍼(146)에 의해 더 이상의 이송이 억제되면서 내관(210)의 일측단부에 만 삽입된 상태로 하여 후술하는 제2이송드럼(15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이송드럼(150)에 대해서는 다시 도1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스크류(140)로 부터 이송되는 내외관이 결합된 이중 스트로우(200)을 이송홈(152)에 하나씩 수용하여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160)측으로 이송하는 것인데,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0)의 일단 양측에 배치하되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과의 하측으로 인접 되게 하여 상기 회전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도4참조). 상기 제2이송드럼(150)들은 모두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4에서보아 좌측에 배치된 것만을 일 예로 들어 살명한다.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제1이송드럼(120)과 같은 직경의 원통체를 이루며, 그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외관들이 결합된 이중 스트로우(200)을 하나씩 수용하기 위한 이송홈(152)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이송드럼 (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0)들과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체(102)에 회전되게 축(154)지지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0)상에서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의 중심에서 하측으로 위치되게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로 하여금 회동 작업거리를 크게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또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이송스크류(140)들과 각각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체(102)에 회전되게 축(154)지지되어 있기 때문에(도1및 도4참조), 상기 제2이송드럼(150)은 상기 제1이송스크류(140)으로부터 정확하게 내외관이 결합된 이중 스트로우(200)을 전달받아서 후술하는 확축관 성형기(160)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I-I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 표시 D부분의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에 대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도 1을 참조하여 같이 설명한다.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은 상기 제2이송드럼(150)들로부터 이송되는 내 외관들이 하나로 결합된 스트로우(200)에 있어서,그 스트로우(200)의 내관(220)들의 어느 일측 단에는 확관부(222)를 그리고 상기 확관부(222)와 반대 측 스트로우 외관(210)의 단부에는 축관부(212)를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이중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은 제2이송드럼(150)들과의 인접위치에서 기체(102)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164)지지된 것으로, 상기 제2이송드럼(150)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은 상기 제2이송드럼 (150)으로부터 트러블이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내외관이 결합된 이중 스트로우(200)을 전달받아서 확축관부를 형성할수가 있다. 이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은 기체(102)의 폭 방향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상기 회전축(16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64)는 미 도시한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164)에는 그 회전축(16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164)의 중앙과 그리고 양측 단에 베어링들(161a~161c)를 개재하여 캠 경사면들(162a~162c)를 갖는 원판캠들(163a~163c)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64)의 상기 원판 캠들(163a~163c)의 사이에는 그 캠들(163a ~163c)과 같은 직경을 이루는 원통상의 이송드럼들(164a.164b)가 상기 회전축(164)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드럼들(164a.164b)의 둘레 면을 따라서는 상기 제2이송드럼(150)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내 외관이 결합된 이중 스트로우(200)의 관을 각각 하나씩 수용 지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165a ,165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송드럼들(164a.164b)와 원판캠들(163a~163c)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드럼들(164a.164b)와 원판캠들(163a~163c)과 대략 같은 직경을 이루게 한 원형의 회전판들(166a ~ 166d)가 상기 회전축(164)에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판들(166a ~ 166d)의 둘레를 따라서는 일정 간격을 두고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67a~167d)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67a~167d)는 상기 회전판(166a ~ 166d)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상기 원판캠들(163a~163c)의 캠 경사면들(162a~162c)에 구름 베어링들(108a~108d)에 구름 접촉되어 있다.
반면에 타단은 상기 이송드럼들(164a.164b)에 수용된 이중 스트로우(200)들의 각 외관(210) 및 내관(220)단부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상기 축관부(212) 및 확관부(222)를 형성하기 위한 확관 성형 지그들(104a,104b)및 축관 성형지그들(105a,105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164)가 회전되면 그 회전축(164)와 일체로 된 상기 이송드럼들(164a,164b)는 상기 스트로우(200)을 수용홈들(165a,165b)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하고, 반면에 상기 회전판들(166a ~166d)는 상기 확축관 성형지그 샤프트 들(167a~167d)과 같이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들 (167a~167d)의 그름 베어링들(108a~108d)가 상기 회전축(16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 상태로 있는 상기 원판캠들(163a~163c)의 캠 경사면들(162a~162c)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 순간 상기 회전판들(166a ~166d)에 이동되게 위치된 상기 지그 샤프트들(167a~167d)는 스프링들(106a~106d)에 저항하면서 이와 대면되게 위치된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의 내관(220)단부와 그리고 외관(210)의 단부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그 샤프트들(167a~167d)가 이동하는 순간 그 샤프트들(167a~167d)의 확관 성형 지그들(104a,104b)는 상기 스트로우(200)의 내관(220)의 내부로, 그리고 축관 성형 지그들(105a,105b)의 내부로는 상기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이 삽입된다(도 7참조).
따라서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의 내관(220)의 어느 일측 단부와 그리고 외관(210)의 어느 일측 단부에는 확관 성형지그들(104a,104b)와 그리고 축관 성형지그들(105a,105b)와 같은 형상의 확축관부들(222,212)이 형성되게 된다(도 7참조).
한편 상기 회전판들(166a ~166d)의 회전으로 상기 샤프트들(167a~167d)의 베어링들(108a~108d)가 상기 원판캠들(163a~163c)의 캠 경사면들(162a~162c)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샤프트들(167a~167d)는 상기 수축된 스프링들(106a~106d)의 복원력에 의하여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작업은 도 1에서 보아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이 상기 제2이송드럼(150)에서 이중 스트로우(200)를 전달받게되는 지점부터 시작하여 후술하는 제2이송스크류(170)의 근접되는 위치까지 회동되는 거리에서 진행되므로, 그만큼 상기 원판캠들(163a~163c)의 행정길이가 길게되어 상기 스트로우(200)의 확축관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에서 확축관부들(222,212)이 형성된 이중 스트로우들(200)은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의 계속되는 회전으로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의 이송드럼들(164a,164b)의 수용홈들(165a,165b)로부터 이탈되어져서 상기 제2이송스크류(170)상으로 순차적으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 제2이송스크류(170)은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과의 인접 위치에서 기체(10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확축관 성형기 (160)으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이중 스트로우(200)들을 후술하는 마구리 성형기 (180)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에 의해서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에 확축관부들(222,212)이 형성되는 동안,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의 상기 축관부(212)와 인접 위치에는, 그 축관부(212)와 대응하여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의 이송드럼들(164a,164b)측에서 상하로 배치된 한쌍의 스톱퍼 성형지그(165)에 의하여 스톱퍼(216)이 형성된다. 상기 스톱퍼(216)은 상기 스트로우 내관(220)이 스트로우 외관(210)으로부터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내관(220)이 외관(210)의 내부로 쉽게 수축하는 상태를 방지한다. 상기 스톱퍼(216)의 형성은 도 9의 표시와 같이 상기 스톱퍼 성형 지그(165)의 사이로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의 이송드럼들(16 4a,164b)측에서 수용되어 회전되는 이중 스트로우(200)이 통과 될시 눌리면서 돌기와 같은 형태로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 지그 샤프트들(167a~167d)의 확관 성형지그들(104a,104b)과 그리고 축관 성형지그들(105a,105b)이 설치된 회전판들(166a ~166d)에는 상기 이중 스트로우 (200)의 확축관부들(222,212)의 설치를 용이하기 위한 히터(109a~109d)가 설치되는데, 상기 히터(109a~109d)의 설치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6표시의 F 부분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지그 샤프트들(167a~167d)의 확축관 성형 지그들(104a,104b)(105a,105b)와의 반대 단부에 형성된 사각 단면부위에는, 상기 확축관 성형로드들(167a~167d)의 이동시 회동방지를 위한 ㄷ형 상의 고정 안내구(109)가 결합되어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의 각 회전판(166a)에서 보울트(119)로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확축관 성형로드들(167a~167d)는 상기 ㄷ형상의 고정 안내구(109)의 조절에 의해서 어느 정도의 각도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도 1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일부를 생략하고 표시한 확대 단면도 이고, 도 11은 도 10표시의 E부분 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마구리 성형기(190)은 상기 제2이송 스크류(170)과의 인접위치에서 기체 (10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160)으로부터 상기 제2이송 스크류(170)에 의해서 이송된 이중 스트로우(200)들에 있어 그 이중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의 축관부(212)와의 반대 단에 내관(220)이탈 방지용 마구리(214)를 성형하는 것으로, 이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트로우 외관(210)의 마구리 성형기(180)은 기체(102)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회전축(1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84)상에는 그 회전축(18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184)의 양측 단에 베어링 들(181a,181b)를 개재하여 캠 경사면들(182a,182b)를 갖는 마구리 성형 원판캠 들(183a,183b)를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마구리 성형 원판캠들(183a,183b)에 대응하여 그 원판 캠들(183a,183b)과 거의 같은 직경을 이루게 형성된 마구리 성형 이송드럼들(184a,184b)를 상기 회전축(184)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하고 있다.또한 상기 이송드럼들(184a,184b)에는 둘레 면을 따라 상기 이중 스트로우 (200)을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185a,185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송드럼들(184a,184b)과 원판캠들(183a,183b)의 사이에는 상기 원판 캠들(183a,183b)과 거의 같은 직경을 이루게 형성한 원형의 마구리 성형 회전판들(186a,186b)가 상기 회전축(184)와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들(186a,186b)에는 그 회전판들(186a,186b)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마구리 성형지그 샤프트들(187a,187b)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마구리 성형 지그 샤프트들(187a,187b)는 상기 회전판들(186a,186b)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구름 베어링들(118a,118b)를 개재하여 상기 원판캠들(183a,183b)의 캠 경사면들(182a,182b)에 구름 접촉되어 있고, 타 단은 상기 이송드럼들(184a,184b)에 수용홈들(185a,185b)에 수용된 이중 스트로우(200)의 축관부(212)와의 반대 단부들 측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스트로우(200)의 내관(2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마구리 부(214)를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 성형 지그들(114a,114b)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은 상기 확축관 성형기(160)과 거의 유사하게 작동하는데, 먼저 미 도시한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84)가 회전되면 그 회전축(184)와 일체로 된 상기 이송드럼들(184a,184b)는 상기 스트로우(200)을 수용홈들(185a,185b)에 수용한 상태로 회전한다. 반면에 상기 회전판들 (186a,186b)는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87a,187b)와 같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87a,187b)의 구름 베어링들 (118a,118b)가 상기 회전축(184)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고정상태로 있는 상기 원판캠들(183a,183b)의 캠 경사면들(182a,182b)를 따라서 이동하는 순간 상기 회전판들 (186a,186b)에 이동되게 위치된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87a,187b)는 스프링들(186a,188b)에 저항하면서 이와 대면되게 위치된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의 내관(220)의 확관부(22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확축관 성형 지그 샤프트들(187a,187b)가 이동하는 순간 그 샤프트들 (187a,187b)의 마구리 성형 지그들(114a,114b)의 내부로는 상기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이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고(도11참조), 따라서 상기 이중 스트로우 (200)의 외관(220)의 단부에는 상기 마구리 성형 지그들(114a,114b)와 같은 형상의 마구리부(214)가 형성되게 된다(도 11참조). 상기에서 지그 샤프트들(187a,187b)의 마구리 성형 지그들(114a,114b)의 내부로 상기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이 삽입되는 순간 상기 샤프트들(187a ,187b)의 선 단부는 상기 내관(220)의 확관부(222)측에 먼저 닿으면서 상기 내관(220)을 상기 외관(210)의 내부로 몰입되게 강제적으로 밀어 넣는다. 따라서 상기 내관(220)은 외관(210)의 내부로 수축된 상태에서도 그 외관의 외부로 이탈됨이 없게된다.
한편 상기 회전판들(186a,186b)의 회전으로 상기 샤프트들(187a ,187b)의 베어링들(118a,118b)가 상기 원판캠들(183a,183b)의 캠 경사면들(182a,182b)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지그 샤프트들(187a,187b)는 상기 수축된 스프링들(188a,188b)의 복원력에 의하여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에서 마구리부(214)가 최종적으로 형성된 이중 스트로우들(200)은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의 계속되는 회전으로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의 이송드럼들(184a, 184b)의 수용홈들(185a,185b)로부터 상기 제3이송스크류(175)상으로 순차적으로 옮겨져서 후술하는 포장기(190)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지그 샤프트들(187a,187b)의 마구리 성형지그들(114a,114b)와의 반대 단부에 형성된 사각 단면부위에는, 상기 도 8의 표시와 동일하게 샤프트들(187a, 187b)의 이동시 회동방지를 위한 ㄷ형 상의 고정 안내구(109)가 결합되어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의 각 회전판(186a,186b)에 보울트(119)로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지그 샤프트들(187a,187b)는 상기 ㄷ형상의 고정 안내구(109)의 조절에 의해서 어느 정도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도면부호(300)은 상기 지그 샤프트들(187a,187b)의 마구리 성형 지그들(114a,114b)에 의하여 이중 스트로우(200)의 외관(210)에 마구리부(214)를 성형시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이 상기 이송드럼들(184a,184b)의 상기 수용홈들 (185a,185b)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지지하여 주도록된 지지벨트(300)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3이송스크류(175)역시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과의 인접 위치에서 기체(10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마구리 성형기 (180)으로부터 나오는 도 2표시와 같은 최종 완제품인 이중 스트로우(200)들을 후술하는 마구리 성형기 (180)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한다.
상기 지그 샤프트들(187a,187b)이 설치된 상기 회전판들(186a,186b)에는 상기 이중 스트로우(200)에 마구리 부(214)의 설치를 용이하기 위한 히터(189a,189b) 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히터(189a,189b)의 설치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와 이격된 위치에는 포장기(190)들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마구리 성형기(180)으로부터 이송되어온 도 2표시와 같이 성형된 이중 스트로우(200)들은 미도시한 비닐지 내에 개별적으로 진공 포장된다(도1참조).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동시에 2개의 이중 스트로우를 성형할수 있는 구조의 채용으로 이중 스트로우를 안가(安價)로 대량 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확축관부 성형기 측으로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용 관들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드럼을 채용한 것에 의해 스트로우 관의 이송시 스트로우 성형기계의 트러블 요인을 없게하여 스트로우의 이송을 항시 안정적으로 이송할수 있게 한 효과로 이중 스트로우의 생산성을 높인 효과가 있고, 또 확축관 성형기에 있어서 캠의 작업 행정길이가 크게되어 확축관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스트로우의 확축관 성형부와 마구리 성형부의 구조를 개량 변형하여, 구조를 간결하게 한 것에 의해, 기계의 안정적 작동과 아울러 스트로우의 성형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수 있 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다수 개로 구획된 수용 실을 구비하여 기체(機體)의 어느 일 측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실의 각각에는 적어도 2개의 스트로우를 성형할 수 있는 복수개소에 주름부가 설치된 다수개의 스트로우 외관들과 그리고 스트로우 내관들을 수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스트로우 성형관 공급호퍼;
    원통체로서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트로우 관들을 하나씩 수용하기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되며, 상기 공급호퍼의 직 하방에서 기체에 회전되게 축지지되어 상기 공급호퍼로부터 이송 낙하되는 스트로우 성형용 관들을 상기 수용홈 내에 각각 수용하여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드럼;
    상기 제1이송드럼의 어느 일 측의 스트로우 외관의 주름부들 사이와의 대응 부위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기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이송드럼에 의해 이송되는 스트로우 관중 외관의 주름부들의 사이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칼날부를 갖는 스트로우 외관 절단기;
    상기 스트로우 관들을 이송하기 위한 나선 이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기 및 제1이송드럼의 하부위치에서 기체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되 기체의 중앙을 기점으로 하여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드럼에서 이송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서 절단된 외관들의 각각에 대하여 내관들을 각각 삽입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하면서 상기 스트로우 관들을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이송스크류;
    상기 제1이송드럼과 같이 원통체로서 둘레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스트로우 관들을 하나씩 수용하기 위한 이송홈들이 설치되며,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와 인접된 이송 스크류들의 끝단 양측 위에서 이와 대응 위치된 이송스크류들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기체에 회전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된 결합된 스트로우 관들을 상기 이송홈에 하나씩 수용하여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이송드럼;
    상기 제2이송드럼들과의 각 인접위치에서 기체의 전폭(全幅)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되고, 상기 제2이송드럼들로부터 이송되는 내 외관들이 하나로 결합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서 스트로우 내관들의 어느 일측 단에는 확관부를 그리고 상기 확관부와 반대 측 스트로우 외관의 단부에는 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드럼형상의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
    상기 확축관 성형기와의 인접 위치에서 기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확축관 성형기로부터 나오는 복수개의 스트로우 관들을 마구리 성형 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회전 이송력을 부여하는 제2 이송 스크류;
    상기 제2이송 스크류와의 인접위치에서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며,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로부터 이송된 스트로우 관들에 있어 상기 스트로우 외관들의 축관부들과의 반대 단들에 내관 이탈 방지용 마구리를 성형하기 위한 스트로우관들의 마구리 성형기; 및
    상기 마구리 성형기와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마구리 성형기로부터 이송되어온 이중 스트로우 관들을 비닐지 내에 낱개로 진공 포장하기 위한 포장기들을 포함하여 된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는 기체의 폭 방향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 상의 중앙과 그리고 양측 단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된 캠 경사면을 갖는 원판캠들과, 상기 원판 캠들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원판 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됨과 아울러 둘레 면을 따라 내 외관이 결합된 상기 스트로우의 관을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된 이송드럼들과, 상기 이송드럼과 원판 캠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이송드럼들과 원판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형의 회전판들과, 상기 회전판들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회전판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상기 원판캠의 캠 경사면에 구름접촉하고, 타단에는 상기 이송드럼에 수용된 스트로우들의 각 외관 및 내관 단부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상기 축관부 및 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확축관 성형 지그들을 구비한 사각 단면을 갖는 확축관 성형지그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관의 마구리 성형기는 기체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회전되게 축 지지된 마구리 성형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는 무관하게 그 회전축 상의 양측 단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고정 설치된 캠 경사면을 갖는 마구리 성형 원판캠들과, 상기 원판 캠들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원판 캠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취부됨과 아울러 둘레 면을 따라 내 외관이 결합된 상기 스트로우의 관을 각각 하나씩 수용하여 이송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된 마구리 성형 이송드럼들과, 상기 이송드럼과 원판 캠과 같은 직경을 이루며 상기 이송드럼들과 원판캠들의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원형의 마구리 성형 회전판들과, 상기 회전판들의 둘레를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또한 회전판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일단은 상기 원판캠의 캠 경사면에 구름접촉하고, 타 단은 상기 이송드럼에 수용된 스트로우 외관들의 축관부와의 반대 단부들 측에 대면하게 위치하여 이들의 단부에 스트로우 내관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구리 부를 성형하기 위한 마구리 성형 지그들을 구비한 사각 단면을 갖는 마구리 성형지그 샤프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축관 및 마구리 성형 지그 샤프트들의 이동시 회동방지를 위해 그 확축관 성형지그 샤프트들의 사각 단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에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 ㄷ형 상의 고정 안내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 확축관 성형기의 축관 성형 지그들과의 인접위치에는 상기 스트로우 외관의 축관부에 스트로우 내관의 이탈 방지용 스토퍼를 형성하기 위한 스톱퍼 성형 지그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톱퍼 성형 지그는 상하로 대응 배치된 한쌍의 칼날형 지그들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스트로우 성형 장치.
KR2020000010288U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KR2001942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993A KR100342135B1 (ko)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93A Division KR100342135B1 (ko)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271Y1 true KR200194271Y1 (ko) 2000-09-01

Family

ID=196635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288U KR200194271Y1 (ko)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KR1020000018993A KR100342135B1 (ko)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93A KR100342135B1 (ko) 2000-04-11 2000-04-11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42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14B1 (ko) * 2007-10-30 2009-05-22 주식회사 선진엠앤에스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KR100984113B1 (ko) * 2009-01-06 2010-10-01 권진영 깃발 자동 게양장치
CN109895458B (zh) * 2019-04-04 2024-03-26 温州峰明机械有限公司 纸吸管弯头成型夹具转盘机构
KR102291705B1 (ko) * 2019-09-25 2021-08-20 주식회사 서일 신축형 종이 빨대의 제조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695A (ko) 2001-11-07
KR100342135B1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45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without a winding core
US7219790B2 (en) Star-shaped conveyor for feeding or discharging empty plastics containers or bottles to or from a machine and orienting and algining machine having said star-shaped conveyor
US4044659A (en) Apparatus for making composite filter plugs
KR200194271Y1 (ko)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US6523331B1 (en) Machine for setting heat-shrinkable sleeves on objects from a continuous sheath
KR20080026046A (ko) 압연기 제품 취급 시스템
CN1078156C (zh) 用于生产卷烟盒的包装机
US3813972A (en) Cutting means
SE444534B (sv) Anordning for framstellning och overforing av behallarbottnar till en bottenanbringningsstation
HUE026257T2 (en) dosing System
CN1015880B (zh) 把叠平的纸筒折成筒形的装置
JPS5836380A (ja) フイルタ装着機械の間隔形成装置
EP1780127B1 (en) Packing wheel
US3696910A (en) Arrangement for re-orientating rod-shaped objects
KR102581527B1 (ko) 비닐 롤백 제조장치
JPH10100097A (ja) ストロー用筒部材の切断装置
JPS5824255B2 (ja) ひだ付ストロ−製造装置
US20090014906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bellows type ho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EP0512493B1 (en) Variable speed transferring device for a cigarette wrapping apparatus
US4630724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 row of filter-tip cigarettes
JPH05254866A (ja) ガラス管素材供給装置
JP6994026B2 (ja) 薄膜材料に折目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240069496A (ko)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CA1100539A (en) Container bottom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JPH0736998B2 (ja) ウエブロール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