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814B1 -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814B1
KR100898814B1 KR1020070109549A KR20070109549A KR100898814B1 KR 100898814 B1 KR100898814 B1 KR 100898814B1 KR 1020070109549 A KR1020070109549 A KR 1020070109549A KR 20070109549 A KR20070109549 A KR 20070109549A KR 100898814 B1 KR100898814 B1 KR 10089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inner tube
shaft
drum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792A (ko
Inventor
양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엠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엠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엠앤에스
Priority to KR102007010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8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2Joining tubular articles, bars or profiled elements
    • B29C66/522Joining tubular articles
    • B29C66/5221Joining tubular articles for forming coaxial connections, i.e. the tubular articles to be joined forming a zero angle relativ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5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 B29C65/56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mechanical means or mechanical connections, e.g. form-fits involving interference fits, e.g. force-fits or press-f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결합되어 긴밀성이 우수한 이중스트로 및 성형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중스트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단계에서 미리 주름부(13)가 형성된 상태로 공급되는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고 타단에 축관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는 내관체(12)의 일단에 확관부(15)를 형성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공급하는 호퍼(31)와, 상기 호퍼(31)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그 원주면을 따라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회전되는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가조립드럼(32,33)과, 이 가조립드럼(32,33)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일단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축관성형수단(50)과 이 확축관성형수단(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외관체(11)의 일측에 노치부(17)를 형성하는 노치성형수단(60)이 구비된 제1성형드럼(35)과, 이 제1성형드럼(35)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1차 성형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를 완전삽입시키는 완조립드럼(36)과, 이 완조립드럼(36)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완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의 타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는 축경성형수단(70)이 구비된 제2성형드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70109549
이중스트로, 성형장치, 조립드럼, 성형드럼, 성형블록, 성형수단

Description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Double straw and the forming apparatus there of}
본 발명은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결합되어 긴밀성이 우수한 이중스트로 및 성형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중스트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 또는 팩 형상으로 시판되는 음료용기에는 음료를 빨아 마시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스트로가 포장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스트로에는 가요성(可撓性) 주름을 형성되어 방향에 상관없이 소정의 각도로 구부릴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 와서는 일부 음료캔이나 팩 등의 길이에 맞도록 스트로의 길이를 조절하기 편리한 이중스트로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이중스트로와 이를 형성하기 위한 종래의 장치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스트로(10)는 전단계에서 미리 주름부(13)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외관체(11)와 이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는 내관체(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는 전단계에서 별도로 제작되어 후술되는 성형장치에 의해 하나의 이중스트로(10)로 제작되는 것으로, 성형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가 형성되고, 타단에 내관체(12)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축관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체(12)의 일단에는 확관부(15)가 형성되어 상기 축관부(14)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체(11)에는 축관부(14)에 근접된 위치에 노치부(17)가 형성되어 상기 내관체(12)가 밀려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이중스트로(1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20)는 일측에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공급하는 호퍼(21)가 구비되고, 이 호퍼(21)의 직하방에는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제1이송드럼(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드럼(22)의 하부에는 이송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개별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제1이송 스크류(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이송 스크류(23)의 전방에는 가조립된 외관체(11) 및 내관체(12)가 이송되는 제2이송드럼(24) 및 이 제2이송드럼(24)에 접하여 이송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축관성형기(2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축관성형기(25)의 전 방에는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이송되도록 제2이송 스크류(26)가 구비되고, 이 제2이송 스크류(26)의 전방에는 상기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는 축경성형기(27)가 구비되어 이중스트로(10)의 성형을 완료하게 되며,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완성된 이중스트로(10)는 제3이송 스크류(28)에 의해 후단의 포장기(29)로 이송되어 포장되어 진다.
하지만, 종래의 이중스트로(10)는 축관부(14)와 확관부(15)가 하나씩 형성되어 결합부위의 긴밀성이 약해 음료가 샐 수 있는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가 쉽게 밀려들어가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성형장치(20)는 호퍼(21)로부터 공급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성형하여 전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이송드럼(22,24) 또는 각 성형기(25,27) 사이에는 이송 스크류(23,24)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각 이송 스크류(23,26,28)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판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뿐만 아니라 그 길이방향의 전체 길이에 상기 외관체(11) 또는 내관체(12)가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이송 스크류(23,26,28)는 제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스크류(23,26,28)가 이송드럼(22,24) 또는 각 성형기(25,27)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성형장치(2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져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를 넓게 차지하게 되고, 고장시에 유지보수가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구성들간의 오차가 발생되기 쉽고, 이에 의해 외관체(11) 또는 내관체(12)의 이송과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이중스트로(10)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성에 따른 고장 또는 유지보수의 빈도수가 많아져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위의 긴밀성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확관 및 축관되는 이중스트로를 제공하고, 또한 성형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다수의 드럼이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드럼 상에서 이송 및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성형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불량률의 감소 및 생산성의 증대를 이룰 수 있으며,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이중스트로 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전단계에서 미리 주름부(13)가 형성된 상태로 공급되는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고 타단에 축관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는 내관체(12)의 일단에 확관부(15)를 형성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공급하는 호퍼(31)와, 상기 호퍼(31)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그 원주면을 따라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회전되는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가조립드럼(32,33)과, 이 가조립드럼(32,33)에 외 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일단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축관성형수단(50)과 이 확축관성형수단(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외관체(11)의 일측에 노치부(17)를 형성하는 노치성형수단(60)이 구비된 제1성형드럼(35)과, 이 제1성형드럼(35)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1차 성형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를 완전삽입시키는 완조립드럼(36)과, 이 완조립드럼(36)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완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의 타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는 축경성형수단(70)이 구비된 제2성형드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확축관성형수단(5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각각 상기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관부(14)를 형성하는 축관성형수단(51)과 상기 내관체(12)의 일단에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관성형수단(52)으로 구비되며, 상기 확축관성형수단(50)은 각각 캠홈(54)이 형성된 회전캠(53)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55,56)과 이 성형블록(55,56)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55,56)에는 각각 상기 축관부(14)와 확관부(15)에 대응되는 성형홈(58) 또는 성형핀(5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성형홈(58)과 성형핀(59)은 각각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축경부(58a,58b)와 이중확경부(59a,59b)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축관부(14)와 상기 확관부(15)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노치성형수단(6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일측에 위치되어 캠홈(62)이 형성된 회전캠(61)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63)과 이 성형블록(63)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63)에는 외관체(11)의 일단으로 삽입되며 선단에 근접되어 성형홈(66)이 형성된 지지핀(65)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근접된 위치에는 실린더(6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성형날(67)이 구비되며, 상기 성형날(67)은 상기 성형홈(66)에 대응되어 외관체(11)의 일측에 노치부(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축경성형수단(70)은 캠홈(72)이 형성된 회전캠(71)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73)과 이 성형블록(73)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73)에는 단부의 직경이 축소되는 요 홈(75)이 형성되고, 이 요홈(75)에 외관체(11)의 일단이 삽입되어 축경단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성형드럼(35,37) 그리고 완조립드럼(36)에는 성형 또는 조립시에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잡아주는 지지수단(80)이 구비되며, 이 지지수단(80)은 실린더(83)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받침대(81)와 지지대(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길이방향의 일측에 주름부(13)가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직경이 축소되는 축경단부(16)와 축관부(14)가 형성된 외관체와, 상기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며 일단의 직경이 확장된 확관부(15)가 형성된 내관체(12)로 이루어지는 이중스트로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14)와 확관부(15)는 각각 그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조립하여 이송 및 성형한 후에 이중스트로(10)를 만들기 위해 다수의 조립드럼(32,33,36)과 성 형드럼(35,37)을 서로 외접하도록 구비하여 각 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이송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성형드럼(35,37)의 원주면에 근접되도록 구비된 각 성형수단(50,60,70)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처럼 별도의 이송스크류와 같은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게 되므로 장치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드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작동불량이나 오차가 종래의 복잡한 구성들에 의해 오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이중스트로(10)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의 단순화에 따른 장치의 고장 또는 유지보수의 빈도수가 적어져 장치의 가동율을 높일 수 있어 이중스트로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조립드럼(32,33)은 한 쌍으로 구비될 뿐만 아니라 각 드럼의 양측에는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그 간격이 점자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가조립이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이송 스크류가 길게 구비되지 않더라도 원하는 정도의 가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성형드럼(35,37)에는 회전캠(53,61,71)을 따라 전후진되는 성형블록(55,56,63,73)이 구비되고, 이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성형블록(55,56,63,73)이 가이드레일(57,64,74)에 의해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성형시에는 이 가이드레일(57,64,7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에서 이중스트로(10)의 성형이 이루어져 장치의 흔들림과 같은 작동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성형불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성형드럼(35,37)에는 성형시에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잡아줄 수 있는 받침대(81)와 지지대(82)로 이루어진 지지수단(80)이 더 구비되어 전술된 장치의 작동오차 뿐만 아니라 이중스트로(10) 자체의 흔들림을 없앨 수 있어 이에 따른 성형불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중스트로(10)는 외관체(11)에 형성되는 축관부(14)는 이중축관부(14a,14b)가 형성되고, 내관체(12)에 형성되는 확관부(15)는 이중확관부(15a,15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는 보다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음료가 새거나 내관체(12)가 외관체(1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0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장치의 구성 및 그에 의해 성형된 이중스트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 임(30) 상에 각 구성들이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는 도 1에 의해 이미 기술된 주름부(13)가 형성된 외관체(11)와 이 외관체(11)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 내관체(12)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31)가 구비되고, 이 호퍼(31)의 직하방에는 상기 호퍼(31)로부터 공급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어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가조립드럼(32,3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조립드럼(32,33)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다단계에 걸쳐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가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조립드럼(32,33)의 전방에는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원주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1성형드럼(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1성형드럼(35)에는 성형시에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잡아주는 지지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8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내외부에 각각 위치되는 받침대(81)와 지지대(8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대(81)와 지지대(82)는 각각 실린더(83)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데, 이 지지수단(8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 상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수단(80)은 후술되는 각 성형수단(50,60,70)에 대응된 위치와 상기 완조립드럼(36)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전방에는 1차 성형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완전 조립시키는 완조립드럼(36)이 외접되어 있고, 이 완조립드럼(36)의 전방에는 후술될 축경성형수단(70)이 원주상에 위치되어 완조립된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형드럼(37)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성형드럼(37)를 거친 이중스토로(10)는 성형을 완료하게 되며, 이후에는 완성된 이중스트 로(10)가 컨베이어에 의해 포장장치(40)로 이송되어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각 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38)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38)은 인덱스모터나 서보모터와 같이 드럼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성형동작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세부 구성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외접하는 다수의 드럼이 공정순서에 따라 일직선 상으로 위치되어 이중스트로(10)의 이송 및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가조립드럼(32,33)은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있다. 각 가조립드럼(32,33)의 양측에는 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그 간격이 점자 축소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34)에 의해 가조립드럼(32,33) 상에 안착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는 다단계에 걸쳐 원하는 정도로 가조립된 상태가 되어 전방의 제1성형드럼(35) 상으로 전달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드럼(35)에는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일단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기 위한 확축관성형수단(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확축관성형수단(50)은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에 대응되도록 서로 대향 위치된 축관성형수단(51)과 확관성형수단(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축관성형수단(51)과 확관성형수단(52)은 각각 캠홈(54)이 형성된 회전캠(53)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55,56)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에 상기 성형블록(55,56)의 일측은 가이드레일(5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블록(55,56)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원주상의 외관체(11)와 내관체(12)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가 형성되는데, 상기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각 성형블록(55,56)에는 외관체(11)와 내관체(12)에 각각 대응된 성형홈(58)과 성형핀(5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블록(55,56)에는 히팅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어 열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홈(58)에는 성형시에 외관체 내로 삽입되어 열에 의해 성형되는 축관부(14)가 형태의 변형됨이 없이 보다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삽입핀(58c)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핀(59)는 그 단부가 확경된 핀형상으로 구비되어이에 대응된 확관부(16)가 형성되며, 성형시에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실린더(83)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지지수단(8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원주상에는 전술된 확축관성형수단(50)의 전방에 노치성형수단(6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노치성형수단(60)은 외관체(11)의 일측에 V자형 홈형태의 노치부(17)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노치성형수단(60)은 전술된 확축관성형수단(50)에 구비된 것과 유사한 캠홈(62)이 형성된 회전캠(61)에 의해 제1성형드럼(35) 측으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6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성형블록(63)은 그 일측에 지지된 가이드레일(64)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성형블록(63)에는 축관부(14)가 형성된 외관체(11)의 일단에 대응된 위치에 지지핀(6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핀(65)의 선단부 일측 둘레에는 성형홈(6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핀(65)이 외관체(11)에 삽입된 후에 노치부(17)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성형날(67)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성형날(67)은 실린더(68)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핀(65)의 성형홈(66)에 대응되어 외관체(11)에 노치부(1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전방에는 1차 성형된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를 완전히 밀어 넣기 위한 완조립드럼(36)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완조립드럼(36)의 일측에는 전술된 바와 유사한 캠홈(42)이 형성된 회전캠(41)에 의해 드럼의 측면에서 전후진되는 조립블록(43)이 구비되어 있다. 이 조립블록(43)은 완조립드럼(36) 측으로 전진되면서 내관체(12)의 일단에 접촉되어 외관체(11)의 내부로 완전하게 밀어 넣게 된다.
또한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조립드럼(36)의 전방에는 상기 외관체(11)의 타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기 위한 제2성형드럼(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2성형드럼(70) 상부의 측면에는 상기 외관체(11)에 대응되는 요홈(75)이 형성된 성형블록(73)이 구비되어 있다. 이 성형블록(73)은 전술된 확축관성형수단(50) 또는 노치성형수단(60)과 마찬가지로 캠홈(72)이 형성된 회전캠(71)에 의해 드럼의 측면에서 전후진되면서 상기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75)의 단부에는 축소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삽입된 외관체(11)의 단부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성형블록(73)에는 히팅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열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조립드럼(32,33,36)과 성형드럼(35,37)이 서로 외접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이송 및 성형이 이루어지고, 각 성형블록(55,56,63,73) 또는 조립블록(43)은 각 드럼의 곡률에 대응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1공정당 대략 20개 정도의 외관체(11) 또는 내관체(12)의 성형과 조립을 행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축관성형수단(50)의 각 성형블록(55,56)에 구비되는 성형홈(58)와 성형핀(59)은 각각 그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형성된 이중축경부(58a,58b)와 이중확경부(59a,59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외관체(11)에 형성되는 축관부(14)는 이중축관부(14a,14b)가 형성되고, 내관체(12)에 형성되는 확관부(15)는 이중확관부(15a,15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는 보다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의해 음료가 새거나 내관체(12)가 외관체(1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보다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스트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성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도 5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스트로를 도시한 단면도

Claims (6)

  1. 전단계에서 미리 주름부(13)가 형성된 상태로 공급되는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고 타단에 축관부(14)를 형성하며, 상기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는 내관체(12)의 일단에 확관부(15)를 형성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를 공급하는 호퍼(31)와, 상기 호퍼(31)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그 원주면을 따라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도록 구비되며 회전되는 방향의 양측으로 가이드(34)가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가조립드럼(32,33)과, 이 가조립드럼(32,33)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가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와 내관체(12)의 일단에 각각 축관부(14)와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축관성형수단(50)과 이 확축관성형수단(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외관체(11)의 일측에 노치부(17)를 형성하는 노치성형수단(60)이 구비된 제1성형드럼(35)과, 이 제1성형드럼(35)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그 원주면에 1차 성형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기 외관체(11)의 내부로 내관체(12)를 완전삽입시키는 완조립드럼(36)과, 이 완조립드럼(36)에 외접하도록 구비되어 완조립된 외관체(11)와 내관체(12)가 안착되며 상부 일측에 상기 외관체(11)의 타단에 축경단부(16)를 형성하는 축경성형수단(70)이 구비된 제2성형드럼(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확축관성형수단(5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양측에 대향되도록 위치되어 각각 상기 외관체(11)의 일단에 축관부(14)를 형성하는 축관성형수단(51)과 상기 내관체(12)의 일단에 확관부(15)를 형성하는 확관성형수단(52)으로 구비되며, 상기 확축관성형수단(50)은 각각 캠홈(54)이 형성된 회전캠(53)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55,56)과 이 성형블록(55,56)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55,56)에는 각각 상기 축관부(14)와 확관부(15)에 대응되는 성형홈(58) 또는 성형핀(59)가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58)과 성형핀(59)은 각각 직경을 달리하는 이중축경부(58a,58b)와 이중확경부(59a,59b)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축관부(14)와 상기 확관부(15)는 각각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성형수단(60)은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일측에 위치되어 캠홈(62)이 형성된 회전캠(61)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63)과 이 성형블록(63)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63)에는 외관체(11)의 일단으로 삽입되며 선단에 근접되어 성형홈(66)이 형성된 지지핀(65)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성형드럼(35)의 근접된 위치에는 실린더(68)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한 쌍의 성형날(67)이 구비되며, 상기 성형날(67)은 상기 성형홈(66)에 대응되어 외관체(11)의 일측에 노치부(1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경성형수단(70)은 캠홈(72)이 형성된 회전캠(71)에 의해 상기 제1성형드럼(35) 측면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되는 성형블록(73)과 이 성형블록(73)이 지지되면서 슬라이드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성형블록(73)에는 단부의 직경이 축소되는 요홈(75)이 형성되고, 이 요홈(75)에 외관체(11)의 일단이 삽입되어 축경단부(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성형장치.
  6. 길이방향의 일측에 주름부(13)가 형성되며 양단에 각각 직경이 축소되는 축 경단부(16)와 축관부(14)가 형성된 외관체와, 상기 외관체(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관체(11)에 삽입되며 일단의 직경이 확장된 확관부(15)가 형성된 내관체(12)로 이루어지는 이중스트로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14)와 확관부(15)는 각각 그 직경을 달리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이중축관부(14a,14b)와 이중확관부(15a,15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스트로.
KR1020070109549A 2007-10-30 2007-10-30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KR10089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549A KR100898814B1 (ko) 2007-10-30 2007-10-30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549A KR100898814B1 (ko) 2007-10-30 2007-10-30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92A KR20090043792A (ko) 2009-05-07
KR100898814B1 true KR100898814B1 (ko) 2009-05-22

Family

ID=4085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549A KR100898814B1 (ko) 2007-10-30 2007-10-30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58B1 (ko) * 2014-09-05 2016-02-15 (주)대성기계 음료에 맛을 더하는 빨대 및 그 제조장치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128A (ja) * 1996-10-23 1998-05-12 Toyo Cap Kk ダブルストロー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342135B1 (ko) * 2000-04-11 2002-06-26 김종인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128A (ja) * 1996-10-23 1998-05-12 Toyo Cap Kk ダブルストロー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342135B1 (ko) * 2000-04-11 2002-06-26 김종인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058B1 (ko) * 2014-09-05 2016-02-15 (주)대성기계 음료에 맛을 더하는 빨대 및 그 제조장치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792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5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ly coupling machines used for can making
CN106553863B (zh) 输送机装置及输送机装置的调节方法
JP2006271678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バルーンカテーテルの製造方法、バルーン部の翼片形成装置、及びバルーン部の巻回装置
KR100898814B1 (ko) 이중스트로 및 그 성형장치
ES2239949T3 (es) Maquina giratoria de moldeo por soplado y su molde.
CN103302839A (zh) 在旋转机中处理物体的系统及吹制或拉伸吹制瓶的设备
TWI580555B (zh) Handling device
KR100943409B1 (ko) 차량소음기 제조용 더블시밍장치
CN105248503A (zh) 一种单螺杆小型饺子机
KR100647403B1 (ko) 2실 튜브의 제조 방법 및 장치
JP6623308B2 (ja) 熱交換器用フィンの製造装置
CN103538913B (zh) 用于物体的正向和独立传输的间距增加装置
FI62482B (fi) Apparatur foer kontinuerlig formning av ett gjutstycke av termoplast
EP3130455B1 (en) Pressure device for tire constituent member, and tire forming apparatus
US5822954A (en) Method and unit for folding packing blanks along preformed bend lines
CN106471688A (zh) 护套管制造用模具和护套管制造方法
CN105309538A (zh) 一种双螺杆中型饺子机
IT201600104272A1 (it) Tamburo convogliatore e metodo per il trasporto ed il trasferimento di sigarette e/o filtri, semplici o composti per una macchina confezionatrice di prodotti del tabacco
CN210922127U (zh) 一种用于小麦专用配方肥的烘干装置
EP2014446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bellows type ho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H0471727A (ja) 曲管の成形装置
KR100820359B1 (ko) 램프 소성장치
KR200194271Y1 (ko) 이중 스트로우의 성형장치
KR20100095958A (ko) 에티켓 스트로우 제조장치
CN105248502A (zh) 一种单螺杆中型饺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