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496A -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496A
KR20240069496A KR1020220151054A KR20220151054A KR20240069496A KR 20240069496 A KR20240069496 A KR 20240069496A KR 1020220151054 A KR1020220151054 A KR 1020220151054A KR 20220151054 A KR20220151054 A KR 20220151054A KR 20240069496 A KR20240069496 A KR 2024006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back
vinyl
cutter
roller
suppor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연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조경연
조성태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연, 조성태 filed Critical 조경연
Publication of KR2024006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4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92Delivering
    • B31B70/98Delivering in stacks or bundles
    • B31B70/988Assembling or block-forming of bags; Loading bags on a mand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8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5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blowing means, e.g.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40Shafts, cylinders, drums, spindles
    • B65H2404/43Rider rol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비닐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비닐을 권취하는 지관홀더가 설치되는 롤백권취부; 상기 롤백권취부의 일단에서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롤러축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비닐을 절단하는 커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Roll bag cutter device of vinyl roll bag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다수의 비닐백(vinyl bag)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필요 시 낱개로 뜯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비닐 롤백을 제조할 때, 지관에 감겨지는 비닐을 커팅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비닐 롤백은 절취선과 실링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비닐백을 원통형의 지관(紙管))에 롤(roll) 상으로 권취한 것으로, 필요 시 지관으로부터 풀어서 절취선을 따라 낱장으로 절취함으로써 한 장씩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사용하는 일종의 비닐 봉투이다.
일반적으로 비닐 롤백은 압출기에서 원통형 필름 형태로 압출하여 평편하게 냉각한 튜브(tube)상의 비닐원단을 보빈(bobbin)에 감아준 뒤, 보빈으로부터 비닐원단을 풀어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융착과 부분절단 가공 및 지관에의 권취를 연속으로 행함으로써 제조하고 있다.
즉, 보빈형태의 공급롤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원단에 실링선과 절취선을 형성한 다음 롤백권취부로 이송되어 지관에 권취되며, 지관에 권취가 완료되면 지지롤러에 의해 지관 하단의 비닐원단을 눌러서 지지한 상태에서 커터에 의해 컷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권취가 완료된 지관은 이동하여 배출되고, 다른 지관이 공급되어 계속해서 비닐원단을 권취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인 커터장치에서는 새로 공급된 지관에 컷팅된 비닐원단의 단부가 원활하게 감겨지지 않아서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성의 장치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기계의 부피가 커지고 복잡해지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공개특허 10-2021-002233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닐원단이 안정적으로 컷팅될 수 있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컷팅된 비닐원단이 새로 공급되는 지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감겨져서 신속한 공정이 이어질 수 있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비닐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비닐을 권취하는 지관홀더가 설치되는 롤백권취부; 상기 롤백권취부의 일단에서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롤러축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비닐을 절단하는 커터; 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롤러는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일정 각도만큼 탄성적인 유격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는, 커터가 지지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대에 함께 설치되어 지지롤러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도록 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는, 지지롤러의 중간에 에어공급부가 마련되고 이 에어공급부에 에어호스가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에어공급부의 일측으로 롤러에어분사구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에어공급부는 롤러축에 고정되고, 지지롤러는 상기 에어공급부의 양 측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는, 커터의 내부로 에어공급통로가 형성되어 에어호스가 연결되고, 커터의 일측으로 상기 에어공급통로로부터 연결되는 커터에어분사구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비닐원단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컷팅하여 원활한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지지롤러와 커터에서 공급되는 에어의 분사에 따라 비닐원단의 단부가 지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겨져서 안정된 공정을 도모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롤백 제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롤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롤백권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롤백권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커터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커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지지롤러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커터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12는 지지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동일명칭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롤백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닐 롤백(1)은 일정길이의 낱장으로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비닐백(4)이 연이어서 형성된 튜브형 비닐원단(2)을 원통형의 지관(3)에 롤 상으로 권취하여 구성된다.
비닐백(4)은 비닐원단(2)에 그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실링선(5)이 비닐원단(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형성되고, 각 실링선(5)에 인접하여 비닐원단(2)을 폭방향으로 부분절단한 절취선(6)이 형성됨으로써 절취선(6)을 따라 낱장으로 절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닐 롤백 제조기의 전체 공정중 롤백권취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롤백권취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4의 분리 사시도로서 롤백권취부(200)는 전체적으로 외곽의 프레임(10)에 지지되며, 비닐원단(2)을 안내하는 안내롤러(30)가 여러 위치에 다수 설치될 수 있다.
공급롤(20)로부터 공급되는 튜브형의 비닐원단(2)은 롤백형성부에서 실링선(5)과 절취선(6)을 형성한 다음 롤백권취부(200)로 이송되는데, 롤백형성부는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다.
롤백권취부(200)는 프레임(10)의 내측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제1지지대(201) 및 제2지지대(202)가 설치되고, 제1지지대(201)와 제2지지대(202) 사이의 상측에는 지관을 공급하는 호퍼(203)가 설치된다.
롤백권취부(200)의 중간에는 프레임(10)에 양 단이 지지되면서 상기 제1지지대(201)와 제2지지대(202)를 관통하는 회전축(205)이 제1모터(M1)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제1지지대(201)와 제2지지대(202)에는 상기 회전축(205)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판(210)과 제2회전판(2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202)와 프레임(10)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205)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고정판(230)이 설치되며, 이 고정판(230)은 일측 가장자리에 절취된 가변구간(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0)의 내측에는 상기 가변구간(231)에 대응되는 가변캠(232)이 설치된다.
가변캠(232)은 별도의 공압실린더에 의해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판(230)의 가변구간(231)에 결합되어 원판을 이루거나 후퇴하여 가변구간을 열어서 빈 공간으로 만들게 된다.
가변캠(232)은 후술하는 가동밀대(221)의 바퀴(222)가 이동하는 궤적의 일부를 차지하여 가동밀대(221)를 밀어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가동밀대(221)의 원활한 복귀를 위해 도 9에서와 같이 바퀴(222)의 진행방향으로 점차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판(210)의 내측으로 고정밀대(211)가 축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회전판(220)의 내측으로는 상기 고정밀대(211)와 마주하여 가동밀대(221)가 설치되어 회전축(205)에 의해 각 회전판과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각 고정밀대(211)와 가동밀대(221)는 마주하는 쌍을 이루어서 회전축(205)을 중심으로 두 쌍이 설치되며, 비닐원단 이송의 최종 위치인 선단부의 배출용 밀대부(A)와 후방 쪽의 대기용 밀대부(B)로 구분되고, 그 수는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배출용 밀대부(A)는 가동밀대와 고정밀대에 협지된 지관에 비닐원단이 권취되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밀대이며, 대기용 밀대부(B)는 배출용 밀대부(A)에서 비닐 롤백이 토출될 때까지 이송되는 비닐원단을 지지하면서 대기 상태로 있다가, 커터에 의해 비닐원단이 절단됨과 동시에 배출용 밀대부(A)로 공급되던 비닐원단이 대기용 밀대부(B)에 위치한 밀대에 이어서 감겨지면서 회전축(205)의 회전에 의해 자리를 바꿔서 배출용 밀대부의 자리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용 밀대부(A)에 있던 밀대는 권취된 비닐롤백을 토출한 다음 상기 회전축(205)의 회전에 의해 회동되면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새로운 지관을 홀딩하여 대기용 밀대부(B)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용 밀대부(A)와 대기용 밀대부(B)는 주기적으로 자리를 교체하게 되며, 대기용 밀대부(B)의 하측으로 커터장치(300)가 설치된다.
고정밀대(211)와 가동밀대(221)는 회전축(205)에 의한 각 회전판(210,22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동되며, 고정밀대(211)는 제2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자체적인 회전이 이루어져서 지관(3)에 비닐원단(2)을 권취하게 된다.
즉 가동밀대(221)는 회전축(205)에 의한 제2회전판(220)과 함께 공전만 하게 되고, 고정밀대(211)는 제1회전판(210)과 공전하면서 자전도 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M2)는 제1지지대(201)와 프레임(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체인에 의해 상기 고정밀대(211)들을 회전시킴으로써 비닐원단을 지관(3)에 권취시키게 된다.
각 모터의 구동 전달은 체인이나 벨트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밀대(211)와 가동밀대(221)의 마주하는 선단부는 원뿔형으로 이루어져서 지관(3)에 쉽게 결합되도록 된다.
각 가동밀대(221)의 후단부는 제2지지대(202)를 관통하여 그 단부에 바퀴(222)가 설치되며, 이 바퀴(222)는 상기 고정판(230)에 접촉된다. 따라서 회전축(205)의 회전에 의해 각 회전판이 회전하게 되면, 가동밀대(221)의 후단부는 바퀴(222)에 의해 고정판(230)의 가장자리를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가동밀대(221)의 후단부에는 밀대스프링(223)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밀대스프링(223)은 가동밀대(221)를 제2지지대(202)에 대하여 후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게 된다.
따라서 가동밀대(221)는 고정판(230)에 가압되는 상태로 접촉된다.
고정판(230)의 후단부에도 프레임(10)에 대한 탄성을 갖도록 고정판스프링(236)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커터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커터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지지롤러의 일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이송 공급되는 비닐원단을 절단하는 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터장치(300)는 지지롤러(310)와 커터(320)로 대별된다.
지지롤러(310)는 대기용 밀대부(B)의 하측에서 대기용 밀대부에 협지되는 지관(3)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롤러용 공압실린더(311)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된다.
지지롤러(310)는 롤러용 공압실린더(311)에 의해 상승하였을 때 지관(3)과 밀착될 수 있다.
지지롤러(310)는 롤러축(31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롤러축(312)은 롤러축홀더(313)에 의해 롤러지지대(314)에 지지되고, 롤러지지대(314)는 롤러용 공압실린더(311)에 연결된다.
지지롤러(310)는 중앙에 에어공급부(315)가 구성되고, 이 에어공급부(315)의 양 측에서 지지롤러(3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에어공급부(315)는 롤러축(312)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으므로 양 측 지지롤러(310)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성됨으로써 지관과의 접촉 시 지지롤러의 회전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에어공급부(315)의 양 단부에는 양 측 지지롤러(310)의 내측으로 베어링(316)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베어링(316)은 롤러축(312)에 대하여 지지롤러(31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에어공급부(315)에는 내부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는 공간부(317)가 마련되고, 외부로부터 공간부(317)에 연통하도록 에어호스(h)가 연결된다.
에어공급부(315)의 일측으로는 롤러에어분사구(318)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된다.
롤러에어분사구(318)는 공간부(317)로부터 외부로 관통된 미세한 구멍 형태로 될 수 있다.
롤러에어분사구(318)는 지지롤러의 외부에서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롤러(310)가 상승하여 지관과 접촉할 때, 지관을 향해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컷팅된 비닐원단의 단부가 지관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롤러에어분사구(3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터(320)는 롤러지지대(314)에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함께 설치되는 경우에는 커터플레이트(322)가 롤러지지대(314)에 고정 설치되며, 이 커터플레이트(322)에서 커터(320)가 커터용 공압실린더(321)에 의해 승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커터(320)는 지지롤러(310)와 함께 승강될 수 있으면서 독립적으로도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커터(320)가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커터용 공압실린더(321)의 피스톤로드(323) 양 측으로 지지로드(32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커터(320)는 상승하면서 비닐원단을 절단하게 되므로 상단부가 점차 얇아지거나 뾰족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커터(320)의 몸체 내부에 측방으로부터 에어공급통로(325)가 형성되어 에어호스(h)가 연결되고, 커터(320)의 일측으로 상기 에어공급통로(325)로부터 연결되는 커터에어분사구(326)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커터에어분사구(326)는 롤러에어분사구(318)와 마찬가지로 비닐원단의 단부가 지관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역시 지관(3)을 향해 에어가 분사되는 방향과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1은 커터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로서 도 9는 지지롤러와 커터가 함께 상승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C'부분 확대도로서 지지롤러가 비닐원단 및 지관을 눌러서 접촉하는 상태를 보여주며, 도 11은 지지롤러와 함께 상승한 커터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면서 비닐원단을 절단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공급롤(20)로부터 공급되는 비닐원단은 롤백형성부에서 실링선의 형성과 절취선의 형성이 이루어지면서 롤백권취부(200)로 이송되어 제2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지관(3)에 권취되고, 커터(320)에 의해 절단된 후 권취가 완료된 지관이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지관은 배출용 밀대부(A)와 대기용 밀대부(B)의 두 곳에 홀딩되어 배치되고, 그 중 배출용 밀대부(A)에 홀딩된 지관에 비닐원단이 권취되는 것이며, 배출용 밀대부(A)의 지관에 비닐원단(2)이 권취가 완료되어 배출되면서 대기용 밀대부(B)의 지관에 비닐원단의 권취가 이어서 개시되고, 회전축(205)의 회전에 따른 회전판(220)의 회전에 의해 대기용 밀대부 및 그에 홀딩된 지관은 배출용 밀대부의 위치로 이동하고, 배출된 가동밀대와 고정밀대는 호퍼로부터 새로운 지관을 홀딩하여 대기용 밀대부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배출용 밀대부(A) 및 대기용 밀대부(B)에 홀딩된 각 지관(3)은 제1모터(M1)에 의해 함께 회전하는 상태이며, 비닐원단은 대기용 밀대부(B)의 지관에 접촉 지지되어 배출용 밀대부(A)의 지관에 권취된다.
배출용 밀대부(A)의 지관(3)에 비닐원단(2)이 충분히 권취되면 대기용 밀대부(B)의 하측에 위치한 지지롤러(310)와 커터(320)가 도 10에서와 같이 롤러용 공압실린더(311)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지지롤러(310)가 대기용 밀대부(B)에 홀딩된 지관과 접촉하여 지관과 지지롤러(310) 사이의 비닐원단(2)을 가볍게 눌러주게 된다.
이 때에도 비닐원단은 계속해서 이송되어 배출용 밀대부(A)측의 지관에 권취되고 있는 상태이며, 따라서 지지롤러(310)는 비닐원단(2)의 이송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접촉되는 상태이다.
이렇게 비닐원단(2)을 지지롤러(310)가 가볍게 압박하는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커터용 공압실린더(321)가 작동하여 커터(320)가 추가적으로 상승하면서 대기용 밀대부(B)에 홀딩된 지관에 근접된 위치의 비닐원단(2)을 순간적으로 컷팅하게 된다.
이 때 컷팅된 비닐원단의 잘려진 선단부의 나머지는 배출용 밀대부(A)에 홀딩된 지관에 계속해서 감겨지게 되고, 비닐원단의 잘려진 후단부는 대기용 밀대부(B)에 홀딩된 지관에 감김을 시작하게 되는데, 지지롤러(310)가 회전중인 지관(3)의 하측에서 비닐원단(2)을 접촉하여 밀면서, 롤러에어분사구(318)에서 에어를 분사하여 비닐원단(2)이 지관(3)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커터(320)에서도 커터에어분사구(326)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잘려진 비닐원단(2)의 단부가 지관(3)에 감겨지면서 밀착되게 된다.
이렇게 잘려진 비닐원단(2)은 지지롤러(3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순간적인 에어의 분사에 의해 지관에 밀착되면서 권취를 시작하게 되고, 지지롤러(310)와 커터(320)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비닐원단의 컷팅이 이루어진 직후에는 제1모터(M1)가 구동되어 회전축(205)이 회전되면서 제1회전판(210)과 제2회전판(220) 및 고정밀대(211)와 가동밀대(221)들이 함께 회동되며, 가변캠(232)와의 작용에 의해 배출용 밀대부(A)에 있던 지관은 롤백(1)으로 완성되어 토출되고 새로운 지관을 홀딩하면서 대기용 밀대부(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대기용 밀대부(B)에 있던 지관은 비닐원단을 권취하면서 배출용 밀대부(A)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회전축(205)의 회전과 가변캠(232)의 구동 및 고정밀대(211)의 구동 등은 설정된 센서와 모터에 의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측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지지롤러(310)의 롤러축(312) 양단을 지지하는 롤러축홀더(313)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롤러축홀더(313)의 하단은 롤러지지대(314)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롤러축홀더(313)의 일단에는 핀(331)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핀(331)과 대응되는 롤러지지대(314)의 측면에 장공(332)이 형성되어 상기 핀(331)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핀(331)은 장공(332)의 길이만큼 장공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이 이동거리만큼 롤러축홀더(313)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장공(332)은 롤러축홀더(313)의 회동에 맞도록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331)에는 탄성부재(333)의 일단이 연결되고, 탄성부재(333)의 타단이 롤러지지대(314)의 일단에 연결 고정된다. 따라서 탄성부재(333)가 롤러축홀더(313)를 장공(332)의 일측으로 당기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롤러(310)는 일정 각도만큼 탄성적인 유격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롤러(310)는 비닐원단의 컷팅을 위해 상승하는 경우에, 지관과 접촉하면서 탄성부재(333)의 탄력에 저항하여 장공(332)의 범위 내에서 탄성부재의 당김과 반대 방향으로 밀리면서 접촉하게 되고, 하강함에 따라 지관과의 접촉이 해소되면 탄성부재(333)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지지롤러(310)가 상측의 지관과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지관(3)이나 비닐원단(2)이 지지롤러(310)의 접촉으로 인한 접촉 충격을 최소화하여 비닐원단의 이송과 절단 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비닐 롤백 2 : 비닐원단
3 : 지관 4 : 비닐백
5 : 실링선 6 : 절취선
10 : 프레임 20 ; 공급롤
30 : 안내롤러 200 : 롤백권취부
201 : 제1지지대 202 : 제2지지대
203 : 호퍼 205 : 회전축
210 : 제1회전판 211 : 고정밀대
220 : 제2회전판 221 : 가동밀대
222 : 바퀴 223 : 밀대스프링
230 : 고정판 231 : 가변구간
232 : 가변캠 300 : 커터장치
310 : 지지롤러 311 : 롤러용 공압실린더
312 : 롤러축 313 : 롤러축홀더
314 : 롤러지지대 315 : 에어공급부
316 : 베어링 317 : 공간부
318 : 롤러에어분사구 320 : 커터
321 : 커터용 공압실린더 322 : 커터플레이트
323 : 피스톤로드 324 : 지지로드
325 : 에어공급통로 326 : 커터에어분사구
331 : 핀 332 : 장공
333 : 탄성부재 h : 에어호스
M1,M2 : 모터

Claims (6)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비닐의 이동을 안내 및 지지하는 안내롤러와, 상기 비닐을 권취하는 지관홀더가 설치되는 롤백권취부;
    상기 롤백권취부의 일단에서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고 롤러축에 지지되어 회전되는 지지롤러; 및
    상기 지지롤러에 근접하여 설치되고 공압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비닐을 절단하는 커터; 를 포함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탄성부재에 의해 일정 각도만큼 탄성적인 유격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지지롤러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대에 함께 설치되어 지지롤러의 승강시 함께 승강되도록 된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롤러는 중간에 에어공급부가 마련되고 이 에어공급부에 에어호스가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에어공급부의 일측으로 롤러에어분사구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부는 롤러축에 고정되고, 지지롤러는 상기 에어공급부의 양 측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의 내부로 에어공급통로가 형성되어 에어호스가 연결되고, 커터의 일측으로 상기 에어공급통로로부터 연결되는 커터에어분사구가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KR1020220151054A 2022-11-11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KR20240069496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496A true KR20240069496A (ko) 2024-05-2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9347C2 (ru) Перемотно-разрезной станок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рулонов из рул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улонов
US3848824A (en) Foil coiling machine
US20070176039A1 (en) Combined peripheral and central rewinding machine
US10112795B2 (en) Device for closing the tail end of a roll of web material, and method
BR122019014548B1 (pt) máquina de rebobinar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rolos de material de tela
US10494214B2 (en) Wind-up apparatus for a web material
EP3243777B1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winding of strips of web material with means for transversal cutting of the strips and anchoring of the strips to the winding core
US4368855A (en) Web-cutting apparatus
FI63200B (fi) Foerfarande samt laengsskaerare med dubbel baervals foer upprullning av aendloest tillfoerda banor
US10946993B2 (en) Wrapping device for a machine for winding-up a web material, and a machine for winding-up a web material including the wrapping device
KR20240069496A (ko) 비닐 롤백 제조기의 롤백 커터장치
US6427825B1 (en) Device f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rticle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S2832199T3 (es) Dispositivo de encolado de un borde extremo de un tronco y método de encolado relativo
US20030146334A1 (en)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581527B1 (ko) 비닐 롤백 제조장치
JP2002233988A (ja) チューブ状体切断装置、および切断機
JP4199917B2 (ja) ウエブ巻き付け装置
US9555993B2 (en)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a web into a roll
ITMI981515A1 (it) Sistema di introduzione anime nella culla di avvolgimento di una ribobinatrice di materiale in foglio
JPS6312115Y2 (ko)
JP2008194783A (ja) 管材搬送装置
IT8922368A1 (it)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manicotti di avvolgimento di nastro autoadesivo in macchine di riavvolgimento automatiche.
ITCO970016A1 (it) Procedimento e macchina per l'avvolgimento imballaggio di un nastro di tessuto in roto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