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754Y1 - 영아용 웃옷 - Google Patents

영아용 웃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754Y1
KR200193754Y1 KR2020000006452U KR20000006452U KR200193754Y1 KR 200193754 Y1 KR200193754 Y1 KR 200193754Y1 KR 2020000006452 U KR2020000006452 U KR 2020000006452U KR 20000006452 U KR20000006452 U KR 20000006452U KR 200193754 Y1 KR200193754 Y1 KR 200193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by
clothes
armp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순
Original Assignee
이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순 filed Critical 이인순
Priority to KR2020000006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05Babies overalls, e.g. bodysuits or bib overal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갓 태어난 영아에게 입히는 웃옷인 배냇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아의 겨드랑이 습진, 무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웃옷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끈으로 묶어 고정시키는 영아용 웃옷에 있어서, 일측 혹은 양측 겨드랑이 부분에 구멍을 내고, 상기 끈을 각각의 구멍에 끼워 통과시킨 후 영아의 몸에 맞게 조이고 묶어줌으로써, 영아의 팔과 몸통 사이의 겨드랑이에도 옷이 들어가 땀 등을 흡수하게 하고 영아의 겨드랑이 부분에 자주 발생하는 습진, 무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아용 웃옷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아용 웃옷{The upper cloth for a newborn baby}
본 고안은 갓 태어난 영아에게 입히는 웃옷인 배냇 저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아의 겨드랑이 습진, 무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영아용 웃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갓 태어난 영아의 경우 오랜시간 어머니의 자궁 속에서 몸을 웅크리고 있었기 때문에 팔과 다리를 곧게 펴지 못하는 웅크린 자세를 취하게 되고, 특히 팔은 팔꿈치를 몸쪽으로 구부린 상태로 몸에 붙이고 있는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런 자세를 취하는 영아는 팔을 의도적으로 벌려주지 않는 이상 팔을 몸에 계속 붙이고 있으므로 몸과 팔이 닿는 부분은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보온을 위해 입은 옷이나 이불 등에 의해 땀 등으로 습하게 되기 쉽다.
그런데 종래의 영아용 웃옷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기의 팔을 끼운 후 끈(1)으로 묶어주어 옷을 입히는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영아의 이러한 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웃옷의 팔과 몸체를 이어주는 부분이 어른의 웃옷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데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아기들에게 이런 옷을 입히면, 팔과 몸이 연결되는 겨드랑이 부분에는 옷이 제대로 입혀지지 못하여 팔과 몸이 직접 닿아있게 되고, 이로 인해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는 습진이나 무름 등이 자주 발생하여 보호자가 아기의 건강을 위하여 영아용 분, 크림 등을 수시로 발라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영아용 웃옷을 입히는 경우에는 영아의 몸에 맞는 옷을 입히지 않고 영아의 몸보다 조금 큰 사이즈의 옷을 입혀 영아의 움직임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영아의 겨드랑이 부분은 옷이 닿지 않게 되고 땀 등으로 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영아용 웃옷은 상기 끈(1)으로 묶어준다 하더라도 옷이 아기의 몸에 고정되지 않게 되어 아기들이 움직이면 옷이 아기들의 배를 제대로 덮어주지 못하므로 보온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아기가 웅크린 자세에서 팔을 펴는 자세로 바꿔지기까지 시일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영아용 웃옷에서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습진이나 무름 등이 덜 발생하도록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의 땀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영아용 웃옷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영아용 웃옷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22, 23 : 끈
11, 20, 21 : 구멍
이하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2는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은 영아에게 옷을 입힌 후 끈(10)을 묶어 고정시키는 구성을 가지며, 이는 종래의 영아용 웃옷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웃옷은 겨드랑이의 일측에 구멍(11)을 형성하고, 이 구멍(11)이 형성된 일측의 반대편에 끈(10)을 연결하여 상기 구멍(11)에 끈(10)을 통과시킨 후 다른 끈(12)과 함께 잡아당겨 아기의 몸통에 둘러준 후 묶어줌으로써 아기의 몸에 꼭맞게 옷을 입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끈들(10)(12)은 아기의 몸통을 둘러준 후 묶어져야 하므로 그 길이가 종래의 끈에 비해 길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은 상기 끈(10)을 상기 구멍(11)에 넣고 잡아당겨 조이게되면 웃옷이 아기의 몸체에 맞도록 조여지게 되고, 특히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옷이 들어가게 되므로 아기가 땀을 흘리더라도 웃옷이 이 땀을 흡수하여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해주며 종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던 겨드랑이의 습진과 무름을 방지하게 된다.
첨부한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웃옷의 겨드랑이 부분 양측에 각각 구멍(20)(21)을 형성하고, 이 2개의 구멍(20)(21)에 통과시킨 후 묶어주는 각각의 끈(22)(23)을 연결한 것이다.
이와 같이 겨드랑이의 양측에 구멍(20)(21)을 형성하고 이 2개의 구멍(20)(21)에 끈(22)(23)을 통과시켜 묶기 위해서는 한개의 끈(23)은 웃옷의 내측면에 달아야 하며, 이와 같이 겨드랑이의 양측 구멍(20)(21)에 끈(22)(23)을 통과시킨 후 잡아당겨 묶어주게 되면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옷이 제대로 들어가 입혀질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에는 아기에게 웃옷을 입힌 후 이 웃옷을 고정시키기 위한 끈을 필요에 따라 다수개 다는 것이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는 생략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영아용 웃옷에 의하면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옷이 들어가게 하여 아기의 팔이 몸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아기의 겨드랑이 부분에 자주 발생하는 습진, 무름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옷이 아기의 몸에 꼭맞게 입혀지도록 옷을 끈으로 조여주므로 영아들이 무의식적으로 자세를 웅크림으로써 배를 보온하지 못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고, 아기들이 웅크린 자세에서 벗어나 팔을 몸체에서 자유스럽게 분리시키는 자세의 교정이 빨리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영아용 웃옷에 있어서, 일측 혹은 양측 겨드랑이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각각의 구멍에 통과시킨 후 잡아당겨 묶기 위한 끈을 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용 웃옷.
KR2020000006452U 2000-03-08 2000-03-08 영아용 웃옷 KR200193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52U KR200193754Y1 (ko) 2000-03-08 2000-03-08 영아용 웃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452U KR200193754Y1 (ko) 2000-03-08 2000-03-08 영아용 웃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754Y1 true KR200193754Y1 (ko) 2000-08-16

Family

ID=1964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52U KR200193754Y1 (ko) 2000-03-08 2000-03-08 영아용 웃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7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6604B2 (ja) 人間工学的な乳児おくるみ用ブランケット
AU2016259453B2 (en) Baby sleeping garment
US7111344B2 (en) Infant sleeping system
US20160113331A1 (en) Pajama Swaddl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NZ571423A (en) Infant safety suit comprising at least one pocket which extends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front half of torso
CN111954472A (zh) 具有可调整包覆件的襁褓装置
US20180325281A1 (en) Neonate medical wraps for a baby and parent, and related methdos
US10358056B1 (en) Infant travel swaddle
KR200193754Y1 (ko) 영아용 웃옷
KR200429666Y1 (ko) 치매환자복
KR20110065778A (ko) 영아용 배냇저고리
TWM559665U (zh) 親子育兒袋
JP3113405U (ja) 下肢拘束衣服
JP7437072B2 (ja) 弄便防止衣
JP5027327B1 (ja) 育児用防寒具およびその着用方法
AU2016101975A4 (en) Baby swaddle
JPS5940007Y2 (ja) 保温具
JPH0351290Y2 (ko)
JP3102582U (ja) おくるみ
KR100387084B1 (ko) 안전 포대기
KR200361924Y1 (ko) 유아와 어린이 배싸개
TWM608825U (zh) 方便嬰兒肢體伸展的嬰兒包巾
JP4365767B2 (ja) カバーリングシャツ
KR200183706Y1 (ko) 탈착가능한 턱받이가 부착된 유아용 복대
KR20230002279U (ko) 신생아 속싸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신생아 쿠션, 신생아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