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66Y1 - 치매환자복 - Google Patents

치매환자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66Y1
KR200429666Y1 KR2020060020461U KR20060020461U KR200429666Y1 KR 200429666 Y1 KR200429666 Y1 KR 200429666Y1 KR 2020060020461 U KR2020060020461 U KR 2020060020461U KR 20060020461 U KR20060020461 U KR 20060020461U KR 200429666 Y1 KR200429666 Y1 KR 200429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pper
patient
dementia
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숙
Original Assignee
김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숙 filed Critical 김문숙
Priority to KR202006002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9Donning facilities, e.g. characterized by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2Loops or hooks for hanging-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매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입원환자 보호용 환자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편리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치료시의 필요한 환부를 편리하게 노출 및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의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하의의 경계를 안전지퍼로 연결하여 일체화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의 앞쪽 중앙을 지퍼로 연결하여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의에는 겨드랑이 부분에 체온계구멍을 형성하고, 양쪽 쇄골부위에 개폐식덮개가 부착된 산소줄 또는 위관영양줄용 줄구멍을 형성하며, 손부위에는 손싸개가 있고; 하의에는 양쪽에 유치도뇨관구멍을 형성하며, 이는 덮개에 의해 보호 및 커버되도록 구성한다.
치매환자복, 중등증, 안전지퍼, 체온계, 위관영양줄, 유치도뇨관

Description

치매환자복{CLOTHES FOR DEMENTIA PATIENT}
도 1은 본 고안의 치매환자복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상의 및 하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의 3-하의
5-안전지퍼 5a,7a-지퍼고리덮개
7-지퍼 9-체온계구멍
11-줄구멍 11a-개폐식덮개
13-손싸개 15-유치도뇨관구멍
15a-보호덮개 17-억제고리
본 고안은 치매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입원환자 보호용 환자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착용이 편리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치료시의 필요한 환부를 편리하게 노출 및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치매환자복에 관한 것이다.
환자복은 자의로 움직일 수 없는 불편한 장기 입원환자 또는 지적능력을 상 실하여 일상생활과 활동에 장애가 있는 환자가 입기 편하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병원에서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고 치료 및 갈아입기 편리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환자복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8-12332호(1998. 05. 25)에서는 상의 좌우측 팔소매를 접착분리 되도록 하고, 바지는 허리부분에 찍찍이로 접착,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환자복 상의 및 바지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73722호(2005. 07. 18)에는 치매정도가 심하여 자기손으로 의식없이 자해를 하거나 병상에서 함부로 돌아다니는등의 증세가 있는 환자에게 착용시켜 자기손으로 자해를 하거나 위험스런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고 병상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옷을 만들어 환자를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상의 양측 소매 끝을 봉합하여 내부에 손보호구를 삽입케 하고 상의 양측에 고정끈을 부착하여서 구성되는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국특허 및 실용에서는 환자복의 착탈 및 일부개폐가 용이 하도록 한 것과 치매환자를 위한 자해 방지 손보호구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끈이 부착된 것이다.
한편 미국 특허 6,216,270호(2000. 03. 10)에는 건강관리자가 환자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접근성을 강화한 것으로서, 팔과 어깨부분을 지퍼 등으로 개폐가 용이하게 하고 환자에게는 주머니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 접근이 용이한 환자복이 개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접근이 용이한 환자복은, 몸덮개가 몸통부분과 몸통에 고정된 쌍의 두 개의 소매부분으로 되어있고, 앞쪽과 뒤쪽을 가지며, 다수의 잠금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열고 닫는 다수의 긴 개구부가 있고, 상기 몸통부분에는 목개구부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전술한 종래의 환자복들은 착탈 및 일부 개폐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며, 자해 방지 손보호구와 필요시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끈을 부착하고, 환자에게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8-12332호는 착용성이 뛰어나고, 공개특허공보 제 2005-73722호는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기능이 뛰어난 반면, 착용 상태에서 치료시 필요한 환부를 노출 및 은폐시키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6,216,270호는 환자에게 접근성이 뛰어난 반면, 착용 및 갈아입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중등증이상의 치매환자는 자해나 의식 없는 행동으로 인해 자신은 물론 주변사람들에게도 상당한 피해를 주는 위험한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이들은 2~3가지 합병증으로 인해 복합적인 신체적, 정서적 치료 및 간병을 필요로 하는데, 이들이 일반 환자복을 착용시에는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치매환자 중에서도 중등증이상의 환자를 위한 것이며, 환자 보호를 기본으로 하면서 착용이 편리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한 환부를 편리하게 노출 및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최대한 환자의 자존감을 살리며 다양한 위험들로부터 환자를 보호할 수 있고, 간병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중등증 이상 치매환자복을 제안한다. 특히 환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옷을 쉽게 벗을 수 없도록 하였고, 손싸개로 환자의 손가락 사용을 둔화시켜 위관영양줄이나 산소줄 및 유치도뇨관 등을 만지기는 하여도 뺄 수 없도록 하며, 치료와 간병을 위한 장치를 안전하게 유지시켜 불식간에 제거되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치매환자복은 상하의가 일체로 된 것이며, 이는 환자가 쉽게 옷을 벗을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기저귀 교환이나 욕창치료 등을 위해서 상의와 하의를 안전지퍼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의의 손부위는 손싸개로 손을 감쌀 수 있게 하였으며, 앞쪽 중앙을 지퍼로 개폐 수 있도록 하고, 위관영양줄과 산소줄 등의 정리를 위하여 개폐식고리가 부착된 줄구멍을 형성하고, 체온계구멍을 뚫었다. 하의 부분에는 유치도뇨관과 연결된 소변주머니를 침상 아래로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상하의 모두에는 필요한 경우 환자를 침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억제고리를 형성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치매환자복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상의 및 하의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매환자복은 상의(1)와 하의(3)를 일체로 연결하여 환자가 쉽게 벗을 수 없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의(1)와 하의(3)의 중간 경계에는 안전지퍼(5)를 설치하여 연결하고, 상기 안전지퍼(5)의 개폐에 따라 일체화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안전지퍼(5)의 끝단에는 지퍼 고리를 가릴 수 있도록 지퍼고리덮개(5a)를 설치하므로서 환자가 스스로 안전지퍼(5)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의(1)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메인 지퍼(7)를 설치한다. 메인 지퍼(7)는 상의(1)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 편리하도록 한 것이며, 끝단(상단)에는 지퍼 고리를 가릴 수 있도록 지퍼고리덮개(7a)를 설치하므로서 환자가 스스로 지퍼(7)를 개방할 수 없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지퍼고리덮개(5a)(7a)는 각각 지퍼 고리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서 대략 1 x 3 cm 로 형성하고 벨크로화스너를 이용한다.
상의(1)에는 겨드랑이 부분에 온도계을 삽입할 수 있는 체온계구멍(9)을 형성하고, 양쪽 쇄골 부위에는 위관영양줄 또는 산소줄을 삽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줄구멍(11)을 형성한다. 줄구멍(11)은 개폐식덮개(11a)를 이용하여 덮거나 개방하고, 이러한 개폐식덮개(11a)는 일단을 박음질하고 타단에 벨크로화스너를 부착하여 구성한다.
상의(1)의 팔쪽 끝단에는 손싸개(13)를 설치한다. 손싸개(13)는 유아용 옷 이나 베넷저고리에 통상적으로 채용하는 구조로서, 평상시에는 개방되고, 손싸개(13)를 뒤집으면 팔쪽 끝단을 막는 구조로 형성한다. 손싸개(13)의 구조에서 손바닥이 접촉되는 부분에는 얇은 패드를 넣어 누빈 것으로 한다.
하의(3)는 좌우측의 길이를 1:1로 나뉘어 가랑이를 형성하고, 허벅지 혹은 대퇴부위에 유치도료관을 삽입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유치도뇨관구멍(15)을 형성한다.
유치도뇨관구멍(15)은 다리 양측에 약 20cm의 크기로 형성하며, 보호덮개(15a)를 이용하여 커버한다. 보호덮개(15a)는 일단을 박음질하고, 타단에 3개의 벨크로화스너를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위치는 벨크로화스너로 조절할 수 있으며, 대략 바지 폭의 바깥 1/3 에 한다. 보호덮개의 박음질은 안쪽에 위치시킨다.
한편, 중등증 이상의 치매환자는 필요시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묶어둘 필요성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위하여 상의(1)의 양쪽 팔 부위와 허리, 그리고 하의(3)의 다리 끝 쪽에 억제고리(17)를 부착하며, 필요시 이곳에 끈이나 억제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치매환자복은 중등증 이상의 환자를 위한 것이며, 환자 보호를 기본으로 하면서 착용이 편리하고,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한 환부를 편리하게 노출 및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수십년 동안 직접 치매환자를 간호한 경험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중등증 치매환자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위관영양줄, 산소줄 및 유치도뇨관 등을 적당한 위치에 고정하게 하고, 체온계를 사용할 수 있는 구멍을 이용하여 환자간호에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손싸개를 이용하여 환자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인해 흔히 억제되는 양손의 사용을 자유롭게 하였으며, 덮개를 이용하여 환자가 이를 임의로 제거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최대한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하의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하의의 경계를 안전지퍼로 연결하여 일체화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의 앞쪽 중앙을 지퍼로 연결하여 입고 벗을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의에는 겨드랑이 부분에 체온계구멍을 형성하고, 양쪽 쇄골부위에 개폐식덮개가 부착된 산소줄 또는 위관영양줄용 줄구멍을 형성하며, 손부위에는 손싸개가 있고;
    하의에는 양쪽에 유치도뇨관구멍을 형성하며, 이는 덮개에 의해 보호 및 커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지퍼 및 상의 중앙 지퍼의 끝단에 지퍼고리덮개를 설치하고, 유치도뇨관구멍을 대퇴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의의 양쪽 팔 부위와 허리, 그리고 하의의 다리 끝 쪽에 억제고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복.
KR2020060020461U 2006-07-28 2006-07-28 치매환자복 KR200429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61U KR200429666Y1 (ko) 2006-07-28 2006-07-28 치매환자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61U KR200429666Y1 (ko) 2006-07-28 2006-07-28 치매환자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66Y1 true KR200429666Y1 (ko) 2006-10-26

Family

ID=4177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61U KR200429666Y1 (ko) 2006-07-28 2006-07-28 치매환자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6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134B1 (ko) 2011-12-06 2012-04-20 조정현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KR101525577B1 (ko) * 2013-09-23 2015-06-04 박성문 대장내시경용 환자복
KR20200001543U (ko) * 2018-12-28 2020-07-09 (주)애니테크 말벌방호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134B1 (ko) 2011-12-06 2012-04-20 조정현 침대고정용 환자 보호복
KR101525577B1 (ko) * 2013-09-23 2015-06-04 박성문 대장내시경용 환자복
KR20200001543U (ko) * 2018-12-28 2020-07-09 (주)애니테크 말벌방호복
KR200491983Y1 (ko) 2018-12-28 2020-07-14 (주)애니테크 말벌방호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55114C (en) Recovery garment
US20150374048A1 (en) Medical garment
US6216271B1 (en) Garment for a patient
US6877167B2 (en) Protective guard for catheter exit site
US20150101102A1 (en) Medical garment
US20090031464A1 (en) Restraint free garment
CA2398145A1 (en) Garment with zippers enabling easy access
KR100816778B1 (ko) 치매환자 보호용 환자복
US20190014836A1 (en) Hospital garment
US20150158663A1 (en) Maternity kit including delivery and hospital gown with magnetic fasteners
US4451932A (en) Infant restraint
US20100325776A1 (en) Hand-Covering Garment
KR200429666Y1 (ko) 치매환자복
US20200397073A1 (en) Bed garment
JP5237481B1 (ja) 自立支援用衣服
WO2015175650A1 (en) Accessible fashion wear
KR200418858Y1 (ko) 환자복
KR20210036520A (ko) 환자복
CN202050973U (zh) 保护性约束衣
KR102373788B1 (ko) 환자 결속구
CN216315679U (zh) 一种分娩室孕产妇专用服装
CN212488630U (zh) 一种病号服
CN219962027U (zh) 上肢骨折患者术后保暖病员服
CN214016150U (zh) 一种上肢外伤骨折用病员服
US20200360676A1 (en) Patient Mitt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