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561Y1 - 쌍을 이루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쌍을 이루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561Y1
KR200193561Y1 KR2020000009061U KR20000009061U KR200193561Y1 KR 200193561 Y1 KR200193561 Y1 KR 200193561Y1 KR 2020000009061 U KR2020000009061 U KR 2020000009061U KR 20000009061 U KR20000009061 U KR 20000009061U KR 200193561 Y1 KR200193561 Y1 KR 200193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voice
protective cover
hous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리언성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리언성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리언성산
Priority to KR2020000009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장신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신구에는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세지를 출력시키는 음원파트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장신구에는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파트를 내장시켜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접촉될 경우에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내장된 장신구에 음성 녹음 장치를 더 포함시켜 음성 녹음 장치와 음원파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을 음원파트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장신구를 콤팩트화시켜 장신구의 미적 가치를 중시하고 장신구의 기능적 측면을 강화시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쌍을 이루는 장신구{A pair of ornaments}
본 고안은 쌍을 이루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음성 메시지를 수시로 저장하고 전원이 공급될 때 저장된 임의의 음성 메세지를 출력하는 음원파트와,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파트를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음원파트와 전원파트를 접촉시켜 저장된 임의의 음성 메시지를 재생시키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지, 목걸이, 핸드폰 줄 및 열쇠고리 등과 같은 장신구들은 미적 가치만을 중시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도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반도체 칩이 경량화, 박형화 및 소형화되고 있고, 수요자들이 독특한 개성이나 기능을 연출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함에 따라 액세서리나 인형 등에 기능적이 측면이 접목되어 수요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신구가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음성이 수시로 저장되고 저장된 소정의 음성이 재생되는 음원파트와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파트를 쌍으로 구성하여 두개의 장신구에 각각 내장시키고, 쌍을 이루는 두개의 장신구들을 결합시킬 때 저장된 음성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장신구에 기능성을 부여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은 고안의 전원 공급 파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성 녹음 파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와 음성 녹음 파트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장신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신구에는 소정의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세지를 출력시키는 음원파트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장신구에는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파트를 내장시켜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접촉될 경우에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내장된 장신구에 음성 녹음 장치를 더 포함시켜 음성 녹음 장치와 음원파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을 음원파트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발생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핸드폰 장식물이나 팬던트와 같은 소정의 장신구 두개를 하나의 세트로 만드는데, 하나의 장신구(도시 안됨)는 전원이 공급될 때 임의의 음성 메세지를 녹음시키거나 녹음된 임의의 음성 메세지를 재생시키는 음원파트(100)이며, 다른 하나의 장신구(도시 안됨)는 음원파트(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파트(200)이다.
실시예로서 목걸이를 예시하였으며, 제 1 실시예에 의한 음원파트(100)는 도 1 내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0), 음성 재생부(130), 음성 녹음부(150), 보호커버(170) 및 절연부(190)로 구성된다.
제 1 하우징(1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음성 재생부(130)의 플러스측과 전원 공급 파트(200)의 플러스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일면이 개방되어 음성 녹음부(150) 및 음성 재생부(130)를 수납하고 보호하는 수납실(115)이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하우징(110)의 수납실(115)에 수납되는 음성 재생부(130)는 크게 도전성 패턴들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31), 인쇄회로기판(131)에 실장되어 녹음된 소정의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소정의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원 칩(140), 도전성 패턴들 및 와이어(149)를 통해 음원 칩(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원 칩(140)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48)로 구성된다.
이들 부재들 중에서 인쇄회로기판(131)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는 보호커버(170)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홈(132)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단자 체결홈(132)을 포함하여 단자 체결홈(132)의 주변에는 마이너스 전극 패턴(134)이 형성되는데, 마이너스 전극 패턴(134)은 도전성 패턴을 통해 음원 칩(140)의 마이너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플러스 전극 패턴(1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15)의 기저면과 마주보는 인쇄회로기판(1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데, 플러스 전극 패턴(136)은 제 1 하우징(110)과 접촉되고 비아홀(138)을 통해 음원 칩(140)의 플러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1 하우징(110)과 음원 칩(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 수납실(115)의 기저면과 플러스 전극 패턴(136) 사이에는 도전성 재질의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139)이 설치되어 제 1 하우징(110)과 플러스 전극 패턴(136)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킨다.
한편, 음원파트(100)를 구성하는 부재들 중에서 음원 칩(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파트(100)를 전제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41)와, 음성 녹음부(150)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보상부(144), 보상부(144)에서 전달된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1),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메모리(145), 메모리(145)에서 출력시킨 음성 데이터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6)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켜 스피커(148)로 출력하는 증폭부(147)로 구성된다.
세 번째로, 음성 녹음부(150)는 제 1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소정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151)와, 마이크(151) 및 음원 칩(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녹음 스위치(153)로 구성된다. 여기서, 녹음 스위치(1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51)와 음원 칩(140) 사이에서 개회로와 폐회로를 형성하는 제 1 접점패드들(154a)과 제 2 접점패드들(154b)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4), 인쇄회로기판(154)에 결합되는 몸체(155), 인쇄회로기판(154)과 몸체(155)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접점패드(154a)와 제 2 접점패드(154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판 스프링(156) 및 몸체(155)에 결합되고 일단이 판 스프링(156)의 상부면에 접촉되며 타단이 제 1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판 스프링(156)을 가압하는 녹음 버튼(157)으로 구성된다.
보호 커버(170)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131)과 결합되어 음성 재생부(130) 및 음성 녹음부(150)를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커버(170)의 하부면에는 음성 재생부(130) 및 음성 녹음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보호커버(170)의 하부면 중 단자 체결홈(162)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단자 체결홈(132)에 끼워지는 접속단자(172)가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보호커버(170)를 인쇄회로기판(131)에 체결시킬 뿐만 아니라 보호커버(170)와 마이너스 전극 패턴(13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스피커(148)와 마주보는 보호커버(170)의 상부면에는 음성 메세지가 보호커버로 유입되거나 방출되는 홀(174)이 형성된다. 여기서, 홀(171)이 형성되는 보호커버(170)의 상부면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실(115)의 외부로 돌출되는데, 이는 스피커(148)와 보호커버(170)의 상부면 사이를 소정간격 이격시켜 스피커(148)에서 출력되는 음성 메세지를 충분히 공진시킴으로써 음성 메세지의 볼륨을 키우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재생부(130)와 전원 공급 파트(200)의 상부면이 접속되었을 때 전원 공급 장치(200)에 의해 홀(174)이 완전히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절연부(190)는 제 1 하우징(110)과 보호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플러스 전류가 흐르는 제 1 하우징(110)과 마이너스 전류가 흐르는 보호커버(170)를 절연시킨다. 이러한 절연부(190)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 보호커버(170)의 외측면을 감싸는 내측 절연 테이프(192)와 내측 절연 테이프(192)와 제 1 하우징(110) 사이에 설치되어 장신구의 미적 기능을 증대시키는 외측 절연 커버(194)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17과 과 177과 193 및 195는 녹음 버튼(157)을 제 1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버튼 노출홀들이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의한 전원 공급 파트(2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210), 건전지(230), 스위칭용 스프링(250), 보호커버(270) 및 절연부(290)로 구성된다.
제 2 하우징(2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고 건전지(250)의 플러스측과 제 1 하우징(1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건전지를 수납, 보호하기 위한 수납실(215)이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건전지(230)에는 플러스 전극(236)과 마이너스 전극(234)이 구비되어 있어 플러스 전극(236)은 제 2 하우징(210)에 접촉되고 마이너스 전극(234)은 보호커버(270)에 접촉된다. 바람직하게, 건전지(230)의 플러스 전극(236) 수납실(215)의 기저면 사이에는 도전성 재질의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239)이 설치되어 제 2 하우징(210)과 건전지(230)의 플러스 전극(236)을 안정적으로 접촉시킨다.
그리고, 건전지(230)의 마이너스 전극(234)과 보호 커버(270) 사이에 스위칭용 스프링(250)이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칭용 스프링은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가 분리되어 있을 경우 마이너스 전극(234)과 보호커버(270) 사이를 이격시켜 건전지(230)와 보호커버(270)를 절연시키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가 서로 접촉되어 보호커버(27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 스위칭용 스프링(250)이 압축되어 마이너스 전극(234)과 보호커버(270)를 접촉시켜 건전지(230)의 수명을 증대시킨다.
한편, 보호 커버(270)는 스위칭용 스프링(25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마이너스 전극(23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건전지(230)를 보호하는 것으로, 건전지(230)의 마이너스 전극(234)과 대향되는 보호커버(270)의 하부면에는 접촉용 돌출부(272)가 형성되어 스위칭용 스프링(250)에 끼워진다. 바람직하게 보호 커버(270)의 상부면은 음원파트(110)의 보호커버(170)와 동일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연부(290)는 제 2 하우징(210)과 보호커버 사이에 설치되어 플러스 전류가 흐르는 제 2 하우징(210)과 마이너스 전류가 흐르는 보호커버(270)를 절연시킨다. 이러한 절연부(290)는 건전지(230)의 마이너스 전극(234)의 소정부분에서부터 건전지(230)의 측면을 따라 플러스 전극(236)의 가장자리까지 감싸는 내측 절연 테이프(292)와, 내측 절연 테이프(294)와 제 2 하우징(210) 사이에 설치되어 제 2 하우징(210)과 보호커버(270)를 절연시킴과 아울러 장신구의 미적 가치를 증대시키는 외측 절연 커버(294)로 구성된다.
만약, 스위칭용 스프링(250)의 탄성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스위칭용 스프링(250)을 도전성 재질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 전극(234)에서 접촉용 돌출부(272)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내측 절연 테이프(292)로 감싸 스위칭용 스프링(250)과 마이너스 전극(234)을 절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에 의한 한쌍의 장신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원 칩(140)에 저장된 음성을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또는 음원 칩(140)에 소정의 음성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를 접속시켜 음원파트(100)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이때, 플러스 극성을 갖는 음원파트(100)의 제 1 하우징(110)과 전원 공급 파트(200)의 제 2 하우징(210)이 접속되고,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보호커버들(170,270)이 상호 접속된다. 그러면, 보호커버들(170,270)과 제 1 및 제 2 하우징(210)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므로 전원 공급 파트(200)의 보호커버(270)와 건전지(230) 사이에 설치된 스위칭용 스프링(250)이 압축된다. 이와 같이 외력에 의해 스위칭용 스프링(250)이 압축되면 스위칭용 스프링(250)에 삽입된 보호커버(270)의 접촉용 돌출부(272)가 건전지(230)의 마이너스 전극(234)에 접촉되어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 사이에 전원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즉,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 사이에는 건전지(230)의 플러스 전극(236)으로부터 시작되어 스프링(239)을 통해 플러스 전극(236)과 연결된 제 2 하우징(210), 제 2 하우징(210)과 접촉된 제 1 하우징(110), 제 1 하우징(110)과 스프링(139)을 통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31)의 플러스 전극 패턴(136), 플러스 전극 패턴(13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원 칩(140)의 전원부(142), 음원 칩(140)의 전원부(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31)의 마이너스 전극(234), 접속단자(172)를 통해 마이너스 전극(234)과 연결된 보호커버(170), 보호커버(170)와 접촉된 보호커버(270), 보호커버(270)와 접촉된 마이너스 전극(234)에 이르는 전원의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경로를 통해 음원 칩(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41)는 마이크(151)와 음원 칩(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 1 접점패드(154a)와 제 2 접점패드(154b)의 단락으로 마이크(151)와 음원 칩이 적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41)는 메모리(145)에 음성을 출력하라는 신호를 전달한다.
메모리(145)는 제어 신호에 따라 기 저장된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6)로 출력시키고,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6)는 메모리(145)에서 전달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킨 후에 음성 데이터를 증폭부(147)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증폭부(147)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146)에서 인가된 음성 데이터를 증폭시켜 스피커(148)로 출력시키게 된다.
증폭부(147)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스피커(148)는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으로 재생시킨다. 이때, 스피커(148)의 외부로 출력된 음성은 스피커(148)와 보호커버(170)의 상부면 사이의 공간에서 공진된 후에 보호커버(17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174)을 통해 음원파트(100)의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제어부(141)의 판단 결과 마이크와 음원 칩(14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제어부(141)는 마이크(151)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를 메모리(145)에 저장시킨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원 칩(140)에 전원이 공급된 후에 사용자가 소정의 음성의 녹음을 위해 제 1 하우징(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녹음 버튼(157)을 누른 경우, 녹음 버튼(157)에 의해 판 스프링(156)이 눌려진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156)이 눌려지면 제 1 접점 패드(154a)와 제 2 접점 패드(154b)가 판 스프링(15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마이크(151)와 음원 칩(140) 사이는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음성이 보호커버(17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174)을 통해 보호커버(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마이크(151)에 전달되고, 마이크(151)는 이 음성을 집음하여 소정의 음성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 다음 음원 칩(140) 쪽으로 출력시킨다.
마이크(151)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음원 칩(140)의 보상부(144)로 전달되고, 보상부(144)는 마이크(151)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한 후에 필터링하여 소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3)로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3)는 보상부(144)에서 전송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메모리(145)로 전달시킨다. 그러면, 메모리(145)는 제어부(14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리(145)에 이미 저장되어 있던 음성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음성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고, 기존의 음성 데이터와 새로운 음성 데이터를 함께 저장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제 2 실시예는 음원파트(100)로부터 음성 녹음부(150)를 분리시킨 것으로, 쌍을 이루는 장신구에 삽입되는 음성 발생 장치는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 및 음성 녹음 파트(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들 각각에 내장되고 음성 녹음 파트(300)는 장신구들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가 녹음을 원할 경우에만 음원파트(100)에 접속된다.
제 2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파트는 제 1 실시예의 전원 공급 파트(20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지므로 전원 공급 파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음원파트(100)와 음성 녹음 파트(3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음성 녹음 파트에 대해서 설명하면, 음성 녹음 파트(300)는 크게 인쇄회로기판(310), 마이크(320), 녹음 스위치(330) 및 커버(340)로 구성된다.
인쇄회로기판(310)의 일측면 소정부분에는 음성 녹음 파트(300)를 음원파트(100)에 접속시키는 수커넥터(312)가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10)의 상부면에는 도전성 패턴들과 제 1 및 제 2 접점 패드들(도시 안됨)이 형성되는데, 도전성 패턴들은 수커넥터(312)까지 연장된다.
녹음 스위치(330)는 마이크(320)와 음원파트(100)의 음원 칩(1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310)의 상부면 중에서 제 1 및 제 2 접점패드들과 대응되는 부분에 실장되는 몸체(332), 인쇄회로기판(310)과 몸체(332) 사이에 설치되어 제 1 접점패드와 제 2 접점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판 스프링(도시 안됨) 및 몸체(332)에 결합되고 일단이 판 스프링의 상부면에 접촉되며 타단이 커버(34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판 스프링을 가압하는 녹음 버튼(334)으로 구성된다.
한편, 커버(340)는 인쇄회로기판(310)에 체결되어 마이크(320)와 녹음 스위치(330)를 보호하는 것으로, 마이크(32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음성 입력홀들(342)이 형성되고, 녹음 버튼(334)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녹음 버튼(334)을 커버(34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홀(34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8을 참조하여 음원파트(100)에 대해 설명하면, 음원파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0)과, 제 1 하우징(110)에 수납되며 상부면에는 도전성 패턴들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31), 인쇄회로기판(131)에 실장되어 저장된 소정의 음성 메세지를 재생하는 음원 칩(140), 도전성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커넥터(312)가 삽입되어 음성 녹음 파트(300)와 음원파트(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암커넥터(160)와, 도전성 패턴들과 와이어(175)를 통해 음원 칩(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원 칩(140)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148)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131)과 결합되어 음원 칩(140) 및 스피커(148)를 보호하는 보호커버(170) 및 보호커버(170)와 제 1 하우징(110) 사이에 설치되어 극성이 서로 다른 보호커버(170)와 제 1 하우징(110)을 절연시키는 절연부(19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하우징(110)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음성 재생부(130)의 플러스측과 전원 공급 파트(200)의 플러스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인쇄회로기판(131) 및 스피커(148)를 수납하고 이들을 보호하는 수납실(115)이 소정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암커넥터(160)와 대향되는 제 1 하우징(110)의 측면 소정부분에는 암커넥터(160)가 삽입되는 삽입홀(118)이 형성된다.
음원파트(100)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상술한 제 1 하우징(110)을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 즉 인쇄회로기판(131), 음원 칩(140), 스피커(148), 보호커버(170) 및 절연부(190)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들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다.
이하, 음성 녹음 파트와 음원파트 및 전원 공급 파트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음원파트에 소정의 음성이 녹음되는 과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음성을 음원 칩(14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삽입홀을 통해서 제 1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암커넥터(160)에 음성 녹음 파트(300)의 수커넥터(312)를 접속시킨다.
이후에, 음원파트(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파트(200)를 음원파트(100)에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음원파트(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 녹음 파트(300)에 설치된 녹음 버튼(334)을 누른다. 그러면, 녹음 버튼(334)에 의해 판 스프링이 눌려져 판 스프링이 제 1 및 제 2 접점 패드에 접촉되어 제 1 접점패드와 제 2 접점패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음성 녹음 파트(300)와 음원파트(100)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음성이 보호커버(17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174)을 통해 보호커버(170)의 내부로 유입되어 마이크(151)에 전달되고, 마이크(151)는 이 음성을 집음하여 소정의 음성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 다음 음원 칩(140) 쪽으로 출력시킨다.
마이크(151)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는 음원 칩(140)의 보상부(144)로 전달되고, 보상부(144)는 마이크(151)에서 입력된 음성 신호를 증폭한 후에 필터링하여 소정 대역의 주파수만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3)로 전달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3)는 보상부(144)에서 전송한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 후에 메모리(145)로 전달시킨다. 그러면, 메모리(145)는 제어부(14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한편, 음성 녹음 파트(300)를 음원파트(100)에 접속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하우징(110)과 제 2 하우징(210), 보호커버들(170,270)이 상호 접촉되도록 음원파트(100)와 전원 공급 파트(200)를 접촉시키면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음원파트(100)의 외부로 음성이 출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장신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신구에는 소정의 음성 메세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성 메세지를 출력시키는 음원파트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장신구에는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파트를 내장시켜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접촉될 경우에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음원파트와 전원 공급 파트가 내장된 장신구에 음성 녹음 장치를 더 포함시켜 음성 녹음 장치와 음원파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을 음원파트에 저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장신구를 콤팩트화시켜 장신구의 미적 가치를 중시하고 장신구의 기능적 측면을 강화시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소정깊이의 제 1 수납실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수납실에 수납되어 일측 전원 수용단자가 상기 제 1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재생부,
    상기 제 1 수납실에 덮여져 상기 음성 재생부를 보호하고 상기 음성 재생부의 타측 전원 수용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보호커버 및
    상기 제 1 보호커버와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보호커버와 상기 제 1 하우징을 절연시키는 제 1 절연체로 구성된 음원파트;
    소정깊이의 제 2 수납실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수납실에 수납되어 일측 전극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재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 2 수납실을 덮어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며, 하부면이 상기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보호커버,
    상기 제 2 보호커버를 포함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외측면을 감싸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 2 보호커버를 상기 제 2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제 2 절연체로 구성된 전원 공급 파트;
    상기 음원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원파트의 외부에서 입력된 소정의 음성을 상기 음원 칩에 저장시키는 음성 녹음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 1 보호커버와 상기 제 2 보호커버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음원파트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상기 음원 칩에 기 저장된 음성 정보를 출력시키고, 음원파트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 녹음 파트를 상기 음원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음원 칩에 새로운 음성 정보를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는 플러스전극 패턴과 상기 보호전극과 연결되는 마이너스 전극 패턴 및 신호전송 패턴들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신호전송 패턴, 상기 플러스전극 패턴 및 상기 마이너스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원 칩;
    상기 신호전송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원 칩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정보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극과 대향되는 상기 제 2 보호커버의 하부면에는 접촉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극과 상기 보호커버 사이에는 스위칭용 탄성체가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제 2 보호커버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접촉용 돌출부가 상기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극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파트는 상기 음성 재생부와 함께 상기 음원파트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파트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내부로 유입된 소정의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
    상기 신호전달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의 음성을 상기 음원 칩에 저장시킬 때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음원 칩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녹음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파트는 상기 음원파트와 분리되어 상기 음원 칩에 새로운 음성 정보를 저장할 때 상기 음원파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파트에는 상기 음성 재생부와 상기 음성 녹음 파트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암커넥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우징(110)의 소정부분에는 상기 암터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녹음 파트는
    신호 전송 패턴들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소정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암커넥터에 접속되는 수커넥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소정영역에 실장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음성을 집음하는 마이크;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며 소정의 음성을 상기 음원 칩에 저장시킬 때 상기 마이크와 상기 음원 칩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녹음 스위치;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체결되어 상기 마이크 및 상기 녹음 스위치를 보호하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을 이루는 장신구.
KR2020000009061U 2000-03-30 2000-03-30 쌍을 이루는 장신구 KR200193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61U KR200193561Y1 (ko) 2000-03-30 2000-03-30 쌍을 이루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61U KR200193561Y1 (ko) 2000-03-30 2000-03-30 쌍을 이루는 장신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366A Division KR20010096476A (ko) 2000-09-08 2000-09-08 쌍을 이루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561Y1 true KR200193561Y1 (ko) 2000-08-16

Family

ID=19649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61U KR200193561Y1 (ko) 2000-03-30 2000-03-30 쌍을 이루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5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8752A (en) Miniature device for receiving and playing back sound with piezoelectric component as combination microphone/loud speaker
US20040114777A1 (en) Electroacoustic conversion of audio signals, especially voice signals
CN101588523A (zh) 耳机装置以及配备有该耳机装置的声音产生设备
KR20060110063A (ko) 케이블 접속형 스테레오 헤드 셋
US5201003A (en) High fidelity stereophonic reproduction system
KR200193561Y1 (ko) 쌍을 이루는 장신구
KR100822020B1 (ko) 보이스 레코더 펜
KR20010096476A (ko) 쌍을 이루는 장신구
US6909613B2 (e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element
KR200167784Y1 (ko) 음성 발생장치
JP3063746U (ja) 音声発生装置
KR200174934Y1 (ko) 음성 발생장치
KR200228445Y1 (ko) 이어플레이어
KR100326973B1 (ko)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JP3068602U (ja) 音声発生装置
KR200207901Y1 (ko) 음성 발생장치
KR200207900Y1 (ko) 음성 발생장치
CN216086980U (zh) 一种具有无线通讯功能的耳机盒及无线通讯设备
KR100350309B1 (ko) 녹음부 및 재생부 분리형 보이스 메모장치 및 그 녹음 및 재생방법
JP3673090B2 (ja) 録音・再生型音声カード及びマイクロフォン付きクリップ手段
CN216565554U (zh) 一种耳机声卡
KR200304364Y1 (ko) 마이크 없이 녹음 가능한 장식용 엑세서리
KR200399023Y1 (ko) 소형 휴대 단말기를 위한 휴대용 스피커
JP3246745U (ja) 音声再生装置型玩具
US20040028241A1 (en) Audio data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