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973B1 -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 Google Patents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973B1
KR100326973B1 KR1019990057480A KR19990057480A KR100326973B1 KR 100326973 B1 KR100326973 B1 KR 100326973B1 KR 1019990057480 A KR1019990057480 A KR 1019990057480A KR 19990057480 A KR19990057480 A KR 19990057480A KR 100326973 B1 KR100326973 B1 KR 10032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ound
insertion body
speak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6063A (ko
Inventor
김남균
송철규
Original Assignee
김남균
휴먼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균, 휴먼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남균
Priority to KR1019990057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9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6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연질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귀 입구에 안착되는 안착몸체(11) 및 귓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몸체(12)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삽입몸체(12)에는 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0)가 내장되고 삽입몸체(12)의 단부에는 발생된 음이 통과되는 음통과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몸체(11)에는 전지(B)가 수납되는 전지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전지(B)가 끼어진 상태에서 안착몸체(11)의 전지수납홈(11a)에 밀봉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덮개(40)와; 전지수납홈(11a)에 내장되어 스피커(20)와 연결되며,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 보드(30)와; 삽입몸체(12)에 형성되어 그 삽입몸체(12)를 귓구멍에 밀착시키는 슬리브(1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수중은 물론 격렬한 운동경기중에도 착용하여 음악을 들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MP3 waterproof-earphone}
본 발명은 수중은 물론 격렬한 운동을 하면서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크기가 작고 경량이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고음질을 만들기 위하여 큰 크기의 헤드폰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이어폰 크기를 가지면서 과거의 헤드폰과 같은 고음질의 구현이 가능하여 졌다.
한편, 인터넷과 컴퓨터의 보급으로 인하여 데이터의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음악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록한 후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MP3 는 일종의 메모리 장치로서 입력된 압축데이터를 기록한 후, 압축을 풀어 음악을 재생한다.
그런데, 반도체의 기술 발달로 인하여, 작은 사이즈를 가지면서 기록량이 커지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의하여 MP3 의 크기도 점차로 작아지게 되고, 다양한 기기에 MP3 를 적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추세를 반영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귀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에 MP3 플레이어를 내장시키고, 더 나아가 방수가 되어 수영을 하면서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조립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이 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채용되는 MP3 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전지 10 ... 몸체
11 ... 안착몸체 11a ... 전지수납홈
12 ... 삽입몸체 12a ... 음통과홀
13 ... 슬리브 14 ... 모드스위치
15 ... 너트부 20 ... 스피커
21 ... 코어 22 ... 코일
23 ... 다이아프램 30 ... MP3 보드
31 ... PCB 기판 32 ... 반도체
33 ... 접촉단 34 ... 입력부
35 ... 메모리 36 ... 음성처리부
37 ... 음성출력부 38 ... 단자
38a ... 전지단자 40 ... 덮개
41 ... 금속층 42 ... 커버층
42a ... 밀봉돌기 42b ... 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은, 연질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귀 입구에 안착되는 안착몸체(11) 및 귓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몸체(12)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몸체(12)에는 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0)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몸체(12)의 단부에는 발생된 음이 통과되는 음통과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몸체(11)에는 전지(B)가 수납되는 전지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전지(B)가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몸체(11)의 전지수납홈(11a)에 밀봉되게 끼어짐 및 분리 가능한 덮개(40)와; 상기 전지수납홈(11a)에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20)와 연결되며,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 보드(30)와; 상기 삽입몸체(12)에 형성되어 그 삽입몸체(12)를 귓구멍에 밀착시키는 슬리브(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통과홀(12a)의 직경은 0.6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MP3 보드(30)는, 일측에 다수의 반도체(32)가 설치되는 PCB 기판(32)과, 상기 PCB 기판(32)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B)의 일극과 접촉되며 상기 반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단(33)과, 상기 PCB 기판(31)상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와 상기 스피커(20) 및 모드스위치(1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단자(38);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이 귀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은, 몸체(10)와, 스피커(20)와, MP3 보드(30)와, 덮개(4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연질 재질, 예컨데 실리콘 고무등으로 된 것으로서, 귀 입구에 안착되는 안착몸체(11) 및 귓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몸체(12)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삽입몸체(12)의 단부에는 후술할 스피커에 의하여 발생되는 음이 빠져나오기 위한 음통과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몸체(12)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삽입몸체(12)를 귓구멍에 밀착시키기 위한 슬리브(13)가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20)는 삽입몸체(12)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어(21)에 코일(22)이 감겨지고, 코어(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코어에서 발생되는 자장에 의하여 진동함으로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다이아프램(23)으로 구성된다. 스피커(20)에서 발생된 음향은 음통과홀(12a)을 통과하여 고막(미도시)으로 전달되어 사람이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는 통상적인 이어폰에 마련되는 것을 채용한다.
상기 스피커(20)는 MP3 보드(30)의 후술할 음성출력부(37)와 연결된다. 여기서, 스피커(20)와 대응되게 형성된 음통과홀(12a)의 직경은 0.6mm∼1.0mm 이고, 바람직하게는 0.8mm 이다. 이는, 직경이 0.8mm 이상일 경우에는 음향의 감쇄가 적어 더 잘들릴 수는 있으나 방수를 보장하기 어렵고, 0.8mm 이하일 때에는 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음통과홀(12a)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방수가 확실히 된다.
안착몸체(11)는 귀 입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안착시 귀 입구에 밀착된다. 안착몸체(11)의 내부에는 전지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전지수납홈(11a)에는 전지(B) 및 MP3 보드(30)가 수납된다. 또, 안착몸체(11)의 주위에는 MP3 보드(30)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스위치(14)가 마련되어 있다. 모드스위치(14)는 4개의 멤브레인 스위치로서, 안착몸체(11)에 방수가 될 수 있도록 몰딩된다.
덮개(40)는 전지(B)가 수납된 상태에서 전지수납홈(11a)에 결합된다. 덮개(40)는 2층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전지(B)와 접촉되며 외주면 둘레에 나사가 형성된 금속층(41)과, 금속층(41)의 상부에 일체화된 커버층(42)으로 구성된다. 금속층(41)의 둘레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전지수납홈(11a)의 너트부(15)에 나사결합된다. 커버층(42)은 몸체(10)와 같이 연질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둘레 외주면에는 밀봉돌기(42a)가 돌출되어 있고, 그 상부면에는 손톱등이 끼어지는 홈(42b)이 형성된다. 홈(42b)에 손톱등을 넣고 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것에 의하여, 덮개(40)는 전지수납홈(11a)에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MP3 보드(30)는, PCB 기판(31)에 다수의 메모리를 포함한 각종 반도체(32)가 설치되어 구현된다. 반도체(32)의 반대편 PCB 기판(31)에는 전지(B)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단(33)이 마련되어 있다. 접촉단(33)은 전지(B)의 일극과 확실히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예로써 스프링이 있다. 이러한 MP3 보드(30)는 접촉단(33)이 전지(B)를 향하도록 전지수납홈(11a)의 내부에 완전히 끼어진다. 이때, MP3 보드(30)에는 반도체(32)와 연결된 여러개의 단자(38)가 돌출되어 있는데, MP3 보드(30)를 전지수납홈(11a)에 끼우게 되면 단자(38)는 모드스위치(14) 또는 스피커의 코일(22)과 연결된 단자(39)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PCB 기판(31)의 외주면에는 반도체(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단자(38a)가 마련되어 있으며, MP3 보드(30)를 전지수납홈(11a)에 끼우면 이들 전지단자(38a)는 전지수납홈(11a)의 내주면에 마련된 전지단자(39a)와 접촉된다. 전지(B)가 수납된 상태로 덮개(40)를 전지수납홈(11a)에 결합시키면 전지(B)의 다른극은 39a 전지단자 → 38a 전지단자를 통하여 반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드(30)에 마련된 MP3 의 구성을 블록도로서 설명하면, MP3 는 컴퓨터를 통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34)와, 입력부(34)에 의하여 입력된 압축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5)와, 메모리(35)로부터 압축데이터를디코딩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처리부(36)와, 음성처리부(36)에 의하여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7)로 구성된다. 음성출력부(37)는 상기한 스피커(20)의 코일(22)과 연결된다. MP3 는 안착몸체(11)에 설치된 모드스위치(14)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MP3 에 채용되는 메모리는 32MB 플래쉬램인 것이 바람직하고, 음성처리부(36)는 음원저장 재생전용 칩인 IVM 170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음향 기록/재생 방수이어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을 귀에 삽입하게 되면 삽입몸체(12)가 귓구멍으로 삽입되고 동시에 슬리브(13)에 의하여 귓구멍에 밀착된다. 그리고, 안착몸체(11)가 귀의 입구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안착몸체(11)에 있는 모드스위치(14)를 조작하면, 음성처리부(36)는 메모리(35)에 저장된 압축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출력부(37)로 전송하고, 이후 스피커(20)를 통하여 음악이 발생되고, 음통과홀(12a)을 경유하여 고막으로 전달된다.
한편,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악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때에는, MP3 와 연결된 입력단자(미도시)를 컴퓨터(미도시)와 연결시킨다. 그러면,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압축데이터는 그대로 메모리(35)에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메모리(35)에 저장된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작을 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은 귀에 착용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경량이고 소형이므로, 수영이나 격렬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도 음악을 들을 수 있다. 특히, 운동이 직업인 사람에게는 이러한 방수 이어폰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컴퓨터를 통하여 파일을 전송받아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을 업데이트할 수 있음으로써, 계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질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귀 입구에 안착되는 안착몸체(11) 및 귓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몸체(12)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몸체(12)에는 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20)가 내장되고 상기 삽입몸체(12)의 단부에는 발생된 음이 통과되는 음통과홀(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몸체(11)에는 전지(B)가 수납되는 전지수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전지(B)가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안착몸체(11)의 전지수납홈(11a)에 밀봉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덮개(40)와;
    상기 전지수납홈(11a)에 내장되어 상기 스피커(20)와 연결되며,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MP3 보드(30)와;
    상기 삽입몸체(12)에 형성되어 그 삽입몸체(12)를 귓구멍에 밀착시키는 슬리브(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통과홀(12a)의 직경은 0.6mm ∼ 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P3 보드(30)는,
    일측에 다수의 반도체(32)가 설치되는 PCB 기판(32)과, 상기 PCB 기판(32)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B)의 일극과 접촉되며 상기 반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단(33)과, 상기 PCB 기판(31)상에 설치되어 상기 반도체와 상기 스피커(20) 및 모드스위치(1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단자(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KR1019990057480A 1999-12-14 1999-12-14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KR10032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80A KR100326973B1 (ko) 1999-12-14 1999-12-14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480A KR100326973B1 (ko) 1999-12-14 1999-12-14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63A KR20010056063A (ko) 2001-07-04
KR100326973B1 true KR100326973B1 (ko) 2002-03-13

Family

ID=1962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480A KR100326973B1 (ko) 1999-12-14 1999-12-14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494B1 (ko) 2012-10-05 2013-09-09 이철재 양쪽 스피커끼리 부착이 가능한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2975B3 (de) * 2005-03-21 2006-08-3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hilfevorrichtung mit Musikwiedergabeeinrichtung
GB0708664D0 (en) * 2007-05-04 2007-06-13 Walsh Duncan C Headphones
CN201138572Y (zh) * 2007-11-30 2008-10-22 钟国豪 防水音乐播放器
KR101006711B1 (ko) * 2008-09-30 2011-01-10 주식회사 예일전자 방수이어폰
CN111510815B (zh) * 2020-04-30 2022-02-15 江西立讯智造有限公司 一种防水运动型蓝牙耳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494B1 (ko) 2012-10-05 2013-09-09 이철재 양쪽 스피커끼리 부착이 가능한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6063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7033B2 (en) Loudspeaker apparatus
US7388960B2 (en)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US11272292B2 (en) Loudspeaker apparatus
WO2020140453A1 (zh) 一种扬声器装置
JP4966201B2 (ja) 音響再生用のイヤホン
MY134555A (en) Earphone
CN101588523A (zh) 耳机装置以及配备有该耳机装置的声音产生设备
JP2006024241A (ja) 再生システム、両耳装着型音情報伝達機器、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729611A (zh) 耳機裝置
KR100326973B1 (ko) 음향 기록/재생 방수 이어폰
CN201286161Y (zh) 一种限时耳机
JP2005286500A (ja) 補聴器用マイク付きイヤホン
CN2812461Y (zh) 便携式多声道播放设备
CN215773524U (zh) 蓝牙耳机及具有蓝牙耳机的设备
KR200228445Y1 (ko) 이어플레이어
KR102556110B1 (ko) 음원 컨텐츠 재생 장치
KR200241708Y1 (ko) 펜형 디지털 음성 녹음기
KR20090049510A (ko) 청력(고막) 손상 보호형 이어폰
KR101123867B1 (ko) 서라운드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KR200189217Y1 (ko) 엠피쓰리 플레이어
KR1006321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57895A (ko) 무선단말기
KR200304607Y1 (ko) 휴대용 음성 확성기
KR200240642Y1 (ko) 이어폰
KR20010048285A (ko) 헤드폰형 디지털오디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