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642Y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642Y1
KR200240642Y1 KR2020010011319U KR20010011319U KR200240642Y1 KR 200240642 Y1 KR200240642 Y1 KR 200240642Y1 KR 2020010011319 U KR2020010011319 U KR 2020010011319U KR 20010011319 U KR20010011319 U KR 20010011319U KR 200240642 Y1 KR200240642 Y1 KR 200240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audio signal
earphone
rota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웅
Original Assignee
허남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웅 filed Critical 허남웅
Priority to KR2020010011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642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일반 음향기기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때 사용하는 헤드폰 및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신호를 절환시키고 자동 감쇄시키는 이어폰의 자동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볼륨조절용 회전판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판이 오디오신호의 적정볼륨 즉, 최대출력의 40% 범위 내에서 볼륨조절이 자유롭게 하여 고막의 청력을 보호하고, 회전판에 형성된 푸쉬버튼을 누르면 회전판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져 볼륨조절이 자유롭고, 회전판을 누르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원터치방식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오디오신호의 자극으로부터 귀의 고막을 보호하는 이어폰이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S}
본 고안은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일반 음향기기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때 사용하는 헤드폰 및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신호를 절환시키고 자동 감쇄시키는 이어폰의 자동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어폰은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카세트와 같은 전자제품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음향신호로 전환 출력하는 스피커의 일종이다.
즉, 이와 같은 이어폰은 카세트에 접속되는 잭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달받게 되며, 이러한 음성신호는 이어폰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듣고자 하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이어폰은 그 특성상 휴대가 간편하여 각종 카세트나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전자제품(이하 ‘음향장치’라 함)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이어폰의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부가적으로 상기 이어폰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98-10030 호(이어폰), 공개번호 제 98-5992 호(이어폰) 및 공개번호 제 98-5995 호(소형 카세트용 이어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이어폰을 귀에 꼽고 음악을 듣다보면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볼륨을 점차적으로 높이게 되고, 과도하게 출력되는 음성신호가 귀의 고막을 자극하여 청력을 손상시키고, 이는 이어폰을 빼고 나서도 귀에서 환청이 들리거나 소리가 울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이어폰을 장시간 사용하였을 때 청각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어폰을 귀에 꼽고 음악을 듣고 있을 때 타인과 간단한 대화를 나누고자 할 때 이어폰을 빼거나 음향장치를 정지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볼륨조절용 회전판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판이 오디오신호의 적정볼륨 즉, 최대출력의 40% 범위 내에서 볼륨조절이 자유롭게 하여 고막의 청력을 보호하는 이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판에 형성된 푸쉬버튼을 누르면 회전판의 회전이 자유롭게 되고 볼륨조절이 자유로운 이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볼륨조절용 회전판을 누르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원터치방식으로 간편하게 차단될 뿐만 아니라, 연속적인 오디오신호의 자극으로부터 귀의 고막을 보호하는 이어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향장치와 연결되어져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하는 자동절환기가 구비된 이어폰에 있어서; PCB와, 상기 PCB의 오디오신호를 전달하는 접점부가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푸쉬버튼과 스프링으로 밀착된 연장부가 형성된 볼륨조절용 회전판이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는 케이스에 형성된 조절구멍의 일측부에 걸려서 볼륨의 최대출력의 40% 범위 내로 볼륨조절이 제한되고, 상기 푸쉬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돌기는 조절구멍보다 크게 형성된 유동구멍을 통해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여 볼륨이 최대출력의 40% 이상으로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절환기가 설치된 이어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절환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절환기의 작동 및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절환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절환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동절환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케이스 16: 회전판
18a: 푸쉬버튼 20: 돌기
22: 인쇄회로기판 24: 접점부
28: 스프링 30: 하부케이스
100: 자동절환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이어폰의 구성은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이어폰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500)의 일측 단부에 음향기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연결잭(600)과 타측 단부에는 상기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절환기(100)가 연결되고, 상기 자동절환기(100)의 타측부에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00a,200b)가 연결된 케이블(300)이 연결된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자동절환기(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30)가 결합되고, 그 내부에 중앙부에 구멍(22a)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22; 이하 ‘PCB’라 함)과, 상기 PCB(22)의 상단부에 볼륨조절을 위한 회전판(16)과 하단부에는 상면에 접점부(2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 구멍(26a)이 형성된 플레이트(26)가 내장된다.
상기 회전판(16)의 외주면에 돌기(20)가 형성되고, 상단면에 돌출된 푸쉬버튼(18a)은 상부케이스(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하단면에 돌출된 연장부(18b)는 상기 구멍(22a,26a)을 통해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PCB(22)의 하부에 플레이트(26)가 결합된다. 상기 연장부(18b)는 상기 하부케이스(30)의 내측부에 형성된 고정리브(32)에 삽입되고 스프링(28)으로 밀착되어져 상기 플레이트(26)가 PCB(22)와 밀착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PCB(22)와 연결되어져 상기 케이블(500)이 접속되는 연결단자(34)가 설치된다.
회전판(16)은 외주면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일측부에 형성된 조절구멍(12a)과 타측부의 조절구멍(12b)으로 돌출되어져 케이싱(10,30)의 외부에서 회전판(1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16)은 돌기(20)가 조절구멍(12a)의 측면부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이는 적정볼륨 바람직하게는 최대출력의 40%를 넘지 않도록 하여 청력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조절구멍(12a)의 하부에는 양측으로 단을 이루며 폭이 넓게 유통구멍(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는 볼륨을 적정볼륨 이상으로 높이고자 할 때는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푸쉬버튼(18a)을 눌러 가압하면 상기 회전판(16)이 아래로 내려가고 상기 돌기(20)는 상기 유동구멍(14)을 통해 회전 가능하여 볼륨을 적정볼륨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회전판(16)의 상면에는 출력볼륨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는 단위의 표시 및 외주면에는 톱니모양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회전판(16)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향을 차단하고자할 때는 상기 푸쉬버튼(18a)을 눌러 가압하면 플레이트(26)의 접점부(24)가 PCB(22)로부터 떨어져 오디오신호가 차단되고,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28)의 탄성력으로 회전판(16)이 조절구멍(12a,12b)에 들어가고 상기 플레이트(26)가 원위치되어져 절환된다. 이는 스피커(200)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차단 및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앞에서 개시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볼륨조절용 회전판에 형성된 돌기가 조절구멍의 측면부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지 않아서 적정볼륨 바람직하게는 최대출력의 40%를 넘지 않도록 하여 귀의 고막에 무리한 자극으로부터 청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볼륨을 적정볼륨 이상으로 높이고자 할 때에는 푸쉬버튼을 눌러 가압하면 회전판의 돌기는 유동구멍을 통해 회전이 자유로워져 볼륨을 상기 적정볼륨 이상으로 자유롭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스피커로 출력되는 푸쉬버튼을 가압하면 접점부가 PCB로부터 떨어져서 오디오신호가 차단되고, 상기 푸쉬버튼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다시 오디오신호가 출력되는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오디오신호가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자동절환기가 구비된 이어폰에 있어서;
    PCB(22)와, 상기 PCB(22)의 오디오신호를 전달하는 접점부(24)가 형성된 플레이트(26)와, 상기 플레이트(26)와 결합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0)와 푸쉬버튼(18a)과 스프링(28)으로 밀착된 연장부(18b)가 형성된 볼륨조절용 회전판(16)이 케이스(10,30)에 내장되며;
    상기 돌기(20)는 케이스(10,30)에 형성된 조절구멍(12a)의 일측면에 걸려 볼륨이 최대출력의 40% 범위 내로 볼륨조절이 제한되고, 상기 푸쉬버튼(18a)을 가압하면 상기 돌기(20)는 조절구멍(12a)보다 크게 형성된 유동구멍(14)을 통해 회전판(16)이 회전 가능하여 볼륨이 최대출력의 40% 이상으로도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2020010011319U 2001-04-20 2001-04-20 이어폰 KR200240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9U KR200240642Y1 (ko) 2001-04-20 2001-04-20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9U KR200240642Y1 (ko) 2001-04-20 2001-04-20 이어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263A Division KR20020082254A (ko) 2001-04-20 2001-04-20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642Y1 true KR200240642Y1 (ko) 2001-10-11

Family

ID=7310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19U KR200240642Y1 (ko) 2001-04-20 2001-04-20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6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6973B2 (en) Structure for earphones with multiple sound tracks
US7388960B2 (en) Multimedia speaker headphone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20070297634A1 (en) Earphone system with usage detection
MY134555A (en) Earphone
JP4664682B2 (ja) 音のチャネル・ポーティングを介して音圧レベルの消散をもたらす無線端末
KR20040075854A (ko) 통신기기용 헨드셋
KR200240642Y1 (ko) 이어폰
JP2001292489A (ja) 骨伝導マイク付きヘッドホン
TWM507624U (zh) 音域切換耳機
KR20020082254A (ko) 이어폰
KR100802003B1 (ko) 음향기기용 스피커 케이스
KR100627665B1 (ko) 스피커 일체형 이어폰
JPH10504152A (ja) 補聴器
KR200304607Y1 (ko) 휴대용 음성 확성기
KR200283570Y1 (ko) 휴대용 스피커(해드셋, 이어폰 포함)의 절음장치
KR200292160Y1 (ko) 이동단말기용 어댑터
CN219919123U (zh) 带线耳机
CN212752604U (zh) 一种骨传导tws耳机
KR200255393Y1 (ko) 다기능 헤드셋
KR200283106Y1 (ko) 휴대용 스피커(해드셋, 이어폰 포함)의 절음장치
KR200275030Y1 (ko) 핸즈프리 겸용 이어폰
KR200168874Y1 (ko) 멀티형 이어폰
JP3084518U (ja) 音声聞き取り器
KR200217915Y1 (ko) 마이크로폰 겸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