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784Y1 - 음성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784Y1
KR200167784Y1 KR2019990015981U KR19990015981U KR200167784Y1 KR 200167784 Y1 KR200167784 Y1 KR 200167784Y1 KR 2019990015981 U KR2019990015981 U KR 2019990015981U KR 19990015981 U KR19990015981 U KR 19990015981U KR 200167784 Y1 KR200167784 Y1 KR 200167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rotective cover
storage chamber
hous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196U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박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규 filed Critical 박진규
Publication of KR19990042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제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음성 IC 및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 발생부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품에는 전원 공급부를 내장시켜 두 개의 제품이 서로 접촉될 경우에만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콤팩트화시키며 독특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 발생장치가 내장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음성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SOUND}
본 고안은 음성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제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에는 음성 발생부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품에는 전원 공급부를 내장시켜 두 개의 물건이 서로 결합될 경우에 음성IC에 저장된 소정의 음성 메시지가 재생되도록 한 음성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 및 목걸이 같은 액세서리나 인형 등은 미적 가치만을 중시해왔으나, 최근 반도체 기술이 발달하고 수요자들이 독특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는 제품을 선호함에 따라 액세서리나 인형 등에 기능적이 측면이 접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형·박형화된 음성 IC가 내장되어 뚜껑을 열면 음성 IC에 설정된 음성 메시지가 재생되는 목걸이, 소정 부위를 누르면 조명이 들어오거나 음성이 나오는 반지, 또는 음성을 녹음한 후 특정부위를 누르면 녹음된 음성이 재생되는 인형 등이 있다.
그러나, 반지 및 목걸이 등과 같은 하나의 제품에 음성IC 및 스피커 등이 포함된 음성 발생장치와 음성 발생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를 전부 내장할 경우 제품의 부피가 커져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제품 두 개를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음성 발생장치의 구조를 양분화시켜 두 개의 제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에만 음성 메시지가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제품의 구조를 콤팩트화시키고 독특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 1 반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 1 반지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 2 반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 반지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반지의 하우징 부분과 제 2 반지의 하우징부분을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커플반지의 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도전성 재질의 제 1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수납실에 일측 전원 수용단자가 제 1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성 발생부를 삽입하고, 음성 발생부의 타측 전원 수용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수납실의 상부에 보호커버를 덮으며, 또한 도전성 재질의 제 2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수납실에 일측 전원 공급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삽입하고,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원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 2 수납실의 상부에 보호커버를 덮은 것으로, 제 1 및 제 2 하우징과 제 1 및 제 2 보호커버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성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됨으로써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일예로, 상기 음성 발생부는 신호전송 패턴과 플러스전극 패턴 및 마이너스전극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성 IC, 신호전송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음성 IC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정보로 재생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며, 플러스전극 패턴은 제 1 하우징에 연결되고, 마이너스전극 패턴은 제 1 보호커버에 연결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을 갖는 건전지로 구성되는데, 플러스 전극은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전극은 상기 제 2 보호커버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 1 수납실의 기저면과 플러스 전극 패턴 사이, 제 2 수납실의 기저면과 플러스 전극 사이에 도전성 재질의 스프링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부재를 서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제 1 수납실의 측벽과 제 1 보호커버 사이, 제 2 수납실의 측벽과 제 2 보호커버 사이에 각각에 절연성 부재가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발생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르면, 두 개의 제품을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두 개의 제품에 음성 발생장치를 양분화시켜 내장시키는데,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제품 중 어느 하나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음성 IC 및 스피커로 구성된 음성 발생부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품에는 음성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전원 공급부를 내장시킨다.
여기서, 두 개의 반지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커플 반지를 예로 들어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발생장치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음성 발생부가 내장된 제 1 반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반지(100) 중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101)의 외주면 소정부분에는 하우징(110)이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음성 발생부(150)와 도 3의 전원 공급부(2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음성 발생부(150)를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실(115)이 형성된다.
또한, 수납실(115)에 수납되어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발생부(150)는 크게 도전성 패턴이 인쇄된 인쇄회로기판(160), 인쇄회로기판(160)에 실장되어 설정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음성 IC(170), 와이어(175)와 신호전송 패턴(163)에 의해 음성 IC(170)와 연결되어 음성 IC(170)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180) 및 인쇄회로기판(160)과 결합되어 스피커(1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60)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에는 단자 체결홈(162)들이 소정깊이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16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서부터 단자 체결홈(162)들을 포함한 인쇄회로기판(160)의 측면까지 마이너스전극 패턴(164)이 형성되어 음성 IC(170)와 연결된다.
또한 수납실(115)의 기저면과 마주보는 인쇄회로기판(160)의 하부면 소정부분에는 음성 IC(170)에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스전극 패턴(166)이 형성되어 하우징과 연결되며, 음성 IC(170)와 플러스전극 패턴(166)은 비아홀(168)에 의해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플러스전극 패턴(166)과 수납실(115)의 기저면을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160)과 수납실(115)의 기저면 사이에 도전성 재질의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120)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음성발생부(150)에 마이크를 더 포함시켜 음성 IC(170)에 사용자가 임의의 음성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 IC(170)에 기 저장된 음성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임의로 저장한 음성정보도 스피커(18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수납실(115)의 상부에는 수납실(115)과 마주보는 일면이 개구된 보호커버(190)가 덮여져 음성 발생부(150)를 보호한다.
여기서, 보호커버(190)의 하부면 중 단자 체결홈(162)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단자 체결홈(162)에 삽입되는 접속단자(192)가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60)과 보호커버(190)를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보호커버(190)와 마이너스전극 패턴(16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보호 커버(190)의 측면 소정영역에는 스피커(180)에서 출력된 음성 메시지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홀(194)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플러스전극 패턴(166)과 연결되고 보호커버(190)는 마이너스전극 패턴(164)과 연결되기 때문에 수납실(115)에 음성 발생부(150)를 삽입시킬 경우 쇼트가 발생되므로 하우징(110)과 접촉되는 보호커버(190)의 외측면이 절연 테이프(130)에 의해 감싸진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전원 공급부가 내장된 반지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공급부(250)가 내장된 제 2 반지(200) 중 손가락에 끼워지는 링(201)의 외주면 소정부분에는 하우징(210)이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상부면에는 전원 공급부(250)를 수납시키기 위한 수납실(215)이 형성된다.
음성 발생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50)는 마이너스 전극(264)과 플러스 전극(266)이 구비된 두 개의 건전지(260)로 구성되는데, 건전지(260)의 플러스 전극(266)은 하우징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건전지(260)의 플러스전극(266)과 수납실(215)의 기저면 사이에는 도전성 재질의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220)이 설치되어 건전지(260)의 플러스전극(266)과 하우징(210)을 안정적으로 접촉시켜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킨다.
한편, 수납실(115)의 상부에는 건전지(260)의 마이너스 전극(264)쪽에 접촉되며 건전지(260)를 보호하는 보호커버(290)가 덮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은 건전지(260)의 플러스전극(266)과 연결되고 보호커버(290)는 건전지(260)의 마이너스전극(264)과 연결되기 때문에 하우징(210)과 보호커버(290)가 곧바로 접촉되면 쇼트가 발생되므로, 전원 공급부(260)의 외측면에 절연 테이프(230)를 감싸 하우징(210)과 전원 공급부(250)를 절연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및 제 2 반지들의 조립과정과 커플 반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성 발생부(150)가 내장된 제 1 반지(100)의 조립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신호전송 패턴(163)과 마이너스 및 플러스 전극 패턴(164,166)과 접속되도록 음성 IC(170)를 인쇄회로기판(160)에 실장하고 와이어(175)를 이용하여 신호전송 패턴(163)과 스피커(180)를 연결시켜 음성 발생부(150)를 조립한다.
이후, 인쇄회로기판(160)과 스피커(180)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160)의 단자 체결홈(162)과 보호커버(190)의 접속단자(192)를 얼라인시켜 스피커(180)의 상부에서 보호커버(190)를 덮는다.
이때, 접속단자(192)가 단자 체결홈(162)에 끼워져 인쇄회로기판(160)과 보호커버(190)가 체결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160)의 마이너스전극 패턴(164)과 보호커버(19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60)과 보호커버(190)가 결합되면,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보호커버(190)와 플러스 극성을 갖는 하우징(110)을 절연시키기 위해서 보호커버(19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서부터 인쇄회로기판(160)의 하부면 가장자리까지 절연 테이프(130)로 감싼다.
이후, 인쇄회로기판(160)의 하부면에 형성된 플러스전극 패턴(166)과 하우징(1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수납실(115)의 기저면에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120)을 올려놓은 다음에 스프링(120)의 상부에 플러스전극 패턴(166)이 접촉될 수 있도록 음성 발생부(150)를 수납실(115)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음성 발생부(15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수납실(115)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납실(115)의 측벽과 절연 테이프(130)를 부착시킨다.
이 경우 접착제가 수납실(115)의 기저면까지 흘러내려 플러스전극 패턴(166)과 하우징(110)을 절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115)의 기저면과 인쇄회로기판(160) 사이에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120)을 설치함으로써 플러스전극 패턴(166)과 하우징(110)을 안정적으로 접속시킨다.
다음으로, 전원 공급부(250)가 내장되는 제 2 반지(2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두 개의 건전지(260)를 종방향으로 포개어 놓은 후에 건전지(260)의 마이너스 전극(264)의 상부면에 보호커버(290)를 올려놓는다.
이후, 두 개의 건전지(260)와 보호커버(290)를 상호 고정시키고 마이너스 극성을 갖는 보호커버(290)와 플러스 극성을 갖는 하우징(210)을 절연시키기 위해서 보호커버(29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서부터 건전지(260)의 플러스 전극(266)의 가장자리까지 절연 테이프(230)로 감싼다.
이어, 건전지(260)의 플러스 전극(266)이 수납실(215)의 기저면과 마주보도록 전원 공급부(2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50)를 수납실(215)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전원 공급부(25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수납실(215)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수납실(215)의 측벽과 절연 테이프(230)를 부착시킨다.
이 경우 접착제가 수납실(215)의 기저면까지 흘러내려 플러스 전극(266)과 하우징(210)을 절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215)의 기저면과 전원 공급부(250) 사이에 탄성체, 예를 들어 스프링(220)을 설치하여 플러스 전극(266)과 하우징(210)을 안정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불량률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된 제 1 반지(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음성 IC(170)에 저장된 음성을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지(100)의 하우징부분(110,190)과 제 2 반지(200)의 하우징부분(210,290)을 접촉시킨다.
제 1 반지(100)와 제 2 반지(200)의 하우징이 접촉되면 도 6에 도시된 회로도가 형성되어 건전지(260)는 음성 IC(170)에 전원이 공급하고, 음성 IC(17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여 스피커(180)로 전달하며, 스피커(180)는 음성 IC(170)에서 전달받은 음성 데이터에 따른 음성정보를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반지(100)의 하우징부분(110,190)과 제 2 반지(200)의 하우징부분(210,290)을 서로 접촉시킬 경우에 동일한 극성끼리 접촉되어 전원의 공급로가 형성된다. 즉, 플러스 극성을 갖는 제 1 반지(100)의 하우징(110)과 제 2 반지(200)의 하우징(210)의 상부면 가장자리가 서로 접촉되고, 마이너스 극성을 가지며 하우징(110,210)의 안쪽에 수납되는 제 1 반지(100)의 보호커버(190) 제 2 반지(200)의 보호커버(290)가 서로 접촉되어 전원의 공급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극성끼리 연결되면 전원이 건전지(260)의 플러스 전극(266), 스프링(220), 제 2 반지(200)의 하우징(210), 제 1 반지(100)의 하우징(110), 스프링(120) 및 인쇄회로기판(160)의 플러스전극 패턴(266)을 통해서 음성 IC(170)에 인가된다.
이러한, 경로를 통해 음성 IC(170)에 전원이 공급되면 음성 IC(170)는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여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180) 쪽으로 출력하고, 스피커(180)는 음성 IC(170)에서 출력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IC(170)에 기록된 해당 음성을 재생하여 외부로 출력시킨다.
한편, 음성 IC(170)로 공급된 전원은 인쇄회로기판(160)의 마이너스전극 패턴(164), 접속단자(192), 제 1 반지(100)의 보호커버(190) 및 제 2 반지(200)의 보호커버(290)를 통해서 건전지(260)의 마이너스 전극(264)으로 되돌아 나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트를 이루는 두 개의 제품 중 어느 하나의 제품에는 음성 발생부를 내장시키고 다른 하나의 제품에는 전원 공급부를 내장시켜 두 개의 제품이 서로 접촉될 경우에만 음성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콤팩트화시키며 독특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 발생장치가 내장된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음성 발생장치는 앞에서 예로 들어 설명한 커플반지뿐만 아니라 목걸이, 인형 및 컵 등과 같은 여러가지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므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지 아니하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 내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제 1 수납실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수납실에 수납되어 일측 전원 수용단자가 상기 제 1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발생부;
    상기 제 1 수납실에 덮여져 상기 음성 발생부의 타측 전원 수용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발생부를 보호하는 제 1 보호커버;
    제 2 수납실이 형성된 도전성 재질의 제 2 하우징;
    상기 제 2 수납실에 수납되어 일측 전원 공급단자가 상기 제 2 하우징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성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제 2 수납실에 덮여져 상기 전원 공급부의 타측 전원 공급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제 2 보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및 제 2 보호커버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 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발생부는
    신호전송 패턴과 플러스전극 패턴 및 마이너스전극 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음성 IC;
    상기 신호전송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성 IC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음성정보로 재생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마이너스전극 패턴은 상기 제 1 보호커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상기 마이너스전극 패턴이 인쇄된 복수개의 단자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체결홈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보호커버의 하부면에는 접속단자들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1보호커버를 결합시키며 상기 마이너스전극 패턴과 상기 제 1 보호커버를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플러스 전극과 마이너스 전극을 갖는 건전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 전극은 상기 제 2 하우징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전극은 상기 제 2 보호커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실의 기저면과 상기 플러스 전극 패턴 사이, 상기 제 2 수납실의 기저면과 상기 플러스 전극 사이에 각각 도전성 재질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실의 측벽과 상기 제 1 보호커버 사이, 상기 제 2 수납실의 측벽과 상기 제 2 보호커버 사이에 각각 절연성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발생장치.
KR2019990015981U 1999-04-17 1999-08-05 음성 발생장치 KR20016778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330 1999-04-1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330 Division 1998-05-11 1999-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96U KR19990042196U (ko) 1999-12-27
KR200167784Y1 true KR200167784Y1 (ko) 2000-02-15

Family

ID=1957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981U KR200167784Y1 (ko) 1999-04-17 1999-08-05 음성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7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96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29042U (zh) 用于耳塞、便携式收听或电子设备的盒和无线收听系统
US8123569B2 (en) Waterproof audio jack connector
WO1999034458A1 (en) Protective case for electric parts, and storage battery pack
CN216795282U (zh) 一种新型骨传导振子以及骨传导蓝牙耳机
US9877093B2 (en) Sound generator
KR200167784Y1 (ko) 음성 발생장치
CN110650401B (zh) 无线耳机
JP3063746U (ja) 音声発生装置
KR200174934Y1 (ko) 음성 발생장치
US6909613B2 (en)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 element
JP3068602U (ja) 音声発生装置
US6097281A (en) Sound producing device
KR200193561Y1 (ko) 쌍을 이루는 장신구
KR200207901Y1 (ko) 음성 발생장치
JPH10313499A (ja) 圧電音響装置
JP2000356988A (ja) 電池収納部付きブザー
KR20010096476A (ko) 쌍을 이루는 장신구
CN219611991U (zh) 一种集nfc功能于一体的耳机
KR100350309B1 (ko) 녹음부 및 재생부 분리형 보이스 메모장치 및 그 녹음 및 재생방법
CN219227819U (zh) 一种自带发声定位功能的充电盒
CN217363280U (zh) 一种侧面发音平面型半导体喇叭及采用半导体喇叭的耳机
KR200228445Y1 (ko) 이어플레이어
CN215453023U (zh) 一种与移动端配合发声的包装
KR200168445Y1 (ko) 인형용 음성신호 발생 시스템
KR200207900Y1 (ko) 음성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