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294Y1 -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294Y1
KR200193294Y1 KR2020000004763U KR20000004763U KR200193294Y1 KR 200193294 Y1 KR200193294 Y1 KR 200193294Y1 KR 2020000004763 U KR2020000004763 U KR 2020000004763U KR 20000004763 U KR20000004763 U KR 20000004763U KR 200193294 Y1 KR200193294 Y1 KR 200193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driven shaft
case
bevel gear
lath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권호
Original Assignee
고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권호 filed Critical 고권호
Priority to KR2020000004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2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1/00Automatic or semi-automatic turning-machines incorporating equipment for performing other working procedures, e.g. slotting, milling,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56Turning, boring or drilling tools or machines with provision for milling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작업이 종료된 후 연속적인 작업에 의해서 공작물에 즉시 키홈을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구동축과 종동축의 정확한 회전력 전달에 의해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이 상승되는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내부에 공간부가 있고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서 끼워지며, 내측 단부에 제1베벨기어가 조립되고, 외측단은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지지구에 의해서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되는 제1피동축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수직으로 조립되며, 중간부분에 제2베벨기어가 조립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연결되고, 하단은 소정의 엔드밀을 장착하는 콜릿척이 조립된 제2피동축(2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KEY-HOLE WORKING DEVICE FOR LATHE}
본 고안은 선반의 왕복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키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왕복대 상의 공구대 위에 간단히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선반작업이 종료된 즉시 공작물을 이동시키지 않고 척에 물려놓은 상태에서 공작물의 축구멍에 키홈을 즉석에서 가공이 가능한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공작물 즉, 축이 관통되거나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축구멍이 가공되어 있고, 상기 축구멍에 키홈을 가공키 위해서는 먼저, 선반에서 축구멍을 가공한 다음 이를 척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고가의 키홈 전용 가공기 및 슬롯머신으로 이동을 시켜 키홈을 가공한 후, 치수검사 등을 마치고 출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키홈 전용 가공기나 슬롯머신은 고가이므로 보통, 키홈 전용 가공업자의 공장으로 상기 공작물들을 차량을 통해 수송시켜 외주가공을 의뢰한 다음, 키홈 가공이 종료되면 다시 차량을 이용하여 주문자의 공장으로 공작물들을 수송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비경제적이며, 단가상승 및 물류비용이 과중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키홈전용 가공기나 슬롯머신은 절삭공구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가공하기 때문에 절삭공구의 마모가 심하고, 쉽게 파손되며 가공시간이 길어지고 정확한 가공결과를 얻기가 힘들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 된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98-20383호(선반의 왕복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키홈 가공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동력전달 방법 및 가공능률 저하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동축의 지지가 부실하여 고속가공이 어렵고, 벨트에 의한 구동방식은 엔드밀에 하중이 크게 걸리면 벨트가 헛돌아 정확한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진동발생으로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가 없다. 또한 가공기가 개폐형식이므로 윤활이 어려워 베벨기어가 서로 기계적 마찰에 의해 열발생과 소음발생 그리고 마모로 역시 가공능률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작업이 종료된 후 연속적인 작업에 의해서 공작물에 즉시 키홈을 가공할 수 있는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축과 종동축의 정확한 회전력 전달에 의해 정밀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내구성이 상승 된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키홈 가공장치의 중앙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키홈 가공장치가 선반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상태의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피동축 12:제1베벨기어
20:제2피동축 22:제2베벨기어
24:콜릿척 30:케이스
34:캡 36:지지구
38:고정판 40:엔드밀
50:커플링 52;고정대
70:공작물 100:선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도면을 근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모타(60)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단부에 제1베벨기어가 부착된 제1피동축(10)과, 제2베벨기어(22)가 상기 제1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제1피동축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2피동축(20)과, 상기 제1,2피동축(10,20)을 고정시키며 제1,2베벨기어를 보호하는 케이스(30)와 상기 제2피동축(20)의 전방에 조립되며 단부에 앤드밀을 장착시키는 콜릿척(24)으로 본 고안 본체(1)가 구성된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는, 사각 형태로서 내부에 공간부(32)가 있고 일측면과 상, 하면이 개방된 케이스(30)의 내부로 일측면에서 끼워지는 제1피동축(10)과 수직으로 삽입된 제2피동축(20)이 있다. 상기 제1피동축(10)은, 내측의 단부에 제1베벨기어(12)가 조립되어 있으며, 중간부분에는 외측으로 베어링(18)에 의해 지지된 지지구(36)가 상기 케이스(30)의 일측면에 볼트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제2피동축(20)은 상, 하부로 베어링(26,28)에 의해 케이스(30)의 상면과 하면으로 고정된 것으로 케이스(30)의 공간부(32)에서 제2베어링(22)이 조립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12)와 연결된다. 이후 상기 케이스(30)의 상면과 하면은 캡(34,38)이 볼트로 조립되어 상기 제2피동축(20)을 지지하는 상, 하의 베어링(26,28)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피동축(20)의 하단은 콜릿척(24)이 조립되어 케이스의 하부로 노출되고, 공작물(70)을 가공하는 앤드밀(40)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1피동축(10)의 외측단에는 커플링(50)이 조립되면서 모터(60)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피동축(10)을 지지하는 지지구(36)는 선반(100)의 공구대(122)에 장착되는 고정대(52)와 조립되는데, 상기 고정대(52)의 하부는 선반의 공구대(122)에 볼트로서 통상의 공구가 장착되듯이 장착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반작업이 완료된 후, 공작물(70)에 키홈을 가공하고자 할 때 먼저, 선반의 공구대(122) 위로 본 고안 키홈 가공장치의 본체(1)를 장착한다. 이후, 왕복대(120)의 핸들과 공구대(122)의 핸들을 돌려서 공작물(70)의 전방으로 접근되도록 함과 동시에 엔드밀(40)의 끝 부분(절삭가공부)이 공작물의 내경 혹은 외경의 언저리에 접근되도록 한다. 다음, 가공될 키홈(72)의 깊이를 정확히 맞추어야 하는데 이때에도 상기의 핸들을 돌려서 엔드밀(40)의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모타(60)에 전원을 공급하면 엔드밀(40)이 회전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왕복대의 핸들을 서서히 그리고 적당한 속도로 회전시키면 왕복대(120)는 선반의 척(110)에 물려있는 공작물(70)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공작물에는 키홈(72)이 가공되기 시작하고, 이 상태에서 왕복대(120)를 계속 이동시키면 결국 공작물(70)에는 키홈(72)이 전체적으로 가공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고안은, 선반작업이 종료된 공작물을 척으로부터 빼내지 않고 그대로 물려놓은 상태에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단히 매우 정밀한 키홈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다수의 문제점과 단점, 폐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베벨기어에 의한 회전전달을 채택하게 되면서 전단력이 정확하고 진동이 미세하여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으며, 소음을 줄인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공간부(32)가 있고, 일측면과 상/하면이 개방된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일측면에서 끼워지며, 내측 단부에 제1베벨기어(12)가 조립되고, 외측단은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지지구(36)에 의해서 선반의 공구대에 장착되는 제1피동축(10)과;
    상기 케이스(30) 내부에서 수직으로 조립되며, 중간부분에 제2베벨기어(22)가 조립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12)와 연결되고, 하단은 소정의 엔드밀(40)을 장착하는 콜릿척(24)이 조립된 제2피동축(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KR2020000004763U 2000-02-18 2000-02-18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KR200193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63U KR200193294Y1 (ko) 2000-02-18 2000-02-18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763U KR200193294Y1 (ko) 2000-02-18 2000-02-18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294Y1 true KR200193294Y1 (ko) 2000-08-16

Family

ID=1964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763U KR200193294Y1 (ko) 2000-02-18 2000-02-18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2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2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시퍼스 파이프 라인 키홈 가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182A (ko) * 2014-04-09 2015-10-19 주식회사 시퍼스 파이프 라인 키홈 가공장치
KR101575198B1 (ko) 2014-04-09 2015-12-21 주식회사 시퍼스 파이프 라인 키홈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600A (en) Broaching machine
CN2323908Y (zh) 多功能万向镗铣床
US2074844A (en) Metalworking machine
KR200193294Y1 (ko) 선반의 왕복대에 장착되는 키홈 가공장치
CN112518583A (zh) 一种用于机械的工件加工装置
CN202114287U (zh) 装配式镗孔机
KR101796320B1 (ko) 공작기계의 공구대 동력 전달장치
CN107175355B (zh) 一种自动换挡立式钻床
KR200223661Y1 (ko) Nc선반의 부쉬오일 홀가공장치
CN212020109U (zh) 一种应用于小型数控排刀车床的同步导套机构
US7266870B2 (en) Mandrel device for machine tool
CN210334421U (zh) 一种多头联动装置及采用该装置的钻床
KR101847059B1 (ko) 철제품 다방향 가공장치용 툴 작동유닛
KR100521862B1 (ko) 터렛형공구대의회전공구장치
CN114029518B (zh) 一种孔端面加工装置
CN210648598U (zh) 一种钻床
CN220028764U (zh) 一种轴类零件镗外圆工装
CN210475538U (zh) 一种零件加工装置
CN216176935U (zh) 双工位数控组合式铣床
CN210475605U (zh) 一种用于瓦楞辊加工的简易式钻孔机
CN217493446U (zh) 一种旋转夹持平台
CN210938263U (zh) 一种机械制造辅助工作台
CN215035582U (zh) 一种简便式v型曲轴车削加工夹具
KR200235920Y1 (ko) 선반의왕복대에설치하여사용하는키홈가공기
CN219986856U (zh) 一种内铣动力刀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