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452Y1 -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Google Patents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1452Y1 KR200191452Y1 KR2020000005902U KR20000005902U KR200191452Y1 KR 200191452 Y1 KR200191452 Y1 KR 200191452Y1 KR 2020000005902 U KR2020000005902 U KR 2020000005902U KR 20000005902 U KR20000005902 U KR 20000005902U KR 200191452 Y1 KR200191452 Y1 KR 2001914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der
- bridge
- lifting
- fixed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방호벽 외측면에서 고정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하로 일정거리의 승강행정을 안내하는 상부승강안내장치와, 상기 상부승강안내장치에 안내되어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이하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승강되는 사다리와, 교량의 방호벽에 고정설치되어 사다리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행정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장치와, 교량점검대의 발판에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의 하부를 승강안내하는 하부승강안내장치를 구비하여 출입사다리를 승강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시에는 사다리 상단이 방호벽의 상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사다리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이하로 위치시킬수 있도록하여, 종래의 고정돌출식 출입사다리의 기능을 충분히 가지면서도, 종래의 단점인 이동식 교량 점검작업차 작업장비의 구성 복잡성 및 불안전성을 해결하고, 이동점검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 시선을 뺏지않아 안전운행을 도모할수 있는 승강식 출입사다리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교량점검시설 출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방호벽 외측에서 점검시설에 이르는 출입사다리를 승강식으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교량에는 교량의 하부면이나 교좌장치의 점검을 위하여 교각의 주위에 교량점검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이 교량점검시설은 교각의 상단 둘레에 일정폭으로 고정설치되는 교량점검대와, 이 교량점검대에 교량으로부터 출입할수 있도록 교량 방호벽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의 출입사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제공된 대부분의 출입사다리는 교량의 방호벽 외측단에서부터 교각의 상단 둘레에 설치된 교량점검대의 일측방까지 연장되게 설치된 고정식이어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도7에는 종래의 일예 고정식 교량점검대와 출입사다리를 구비한 교량점검시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같이 교량점검대(Px)는 교각(P)의 상단 둘레에 일정 폭을 갖는 발판(F)을 브라켓(Fb)으로 고정설치하고, 발판(F)의 외측에는 일정 높이의 안전난간(Fa)을 설치한 구성이며, 출입사다리(L)는 교량(BR)의 방호벽(BF) 외측벽에서 고정되는 것으로서 수직의 사다리와 그 외측에 둘러처진 반원호형상의 안전대(Lf)로 구성되어, 출입사다리(L)의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단보다 대략 1m 이상 높게 형성되어 있고, 하단은 교량점검대(Px)의 일측면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출입사다리(L)의 구성에 의하면, 교량(BR)과 교각(P)과 사이에 설치된 교좌장치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교량점검대(Px)로 출입함에 있어서, 출입사다리(L)의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단보다 일정높이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교량(BR)측에서 방호벽(Bf)의 상단으로 올라설때나 또는 내려설때에 손잡이로 사용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출입할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장점을 갖는 출입사다리(L)의 상단은 방호벽(Bf)의 상단보다 적어도 1m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바, 긴 교량의 경우에는 수십개가 연속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에게는 불필요한 시설물로 인식되어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교량은 정기적으로 교량을 받치는 보(girder)들의 전체적인 점검작업과 칠작업을 도9에 도시한 바와같은 특수한 작업장비를 탑재한 점검작업차(V)로 시행하는 바, 이때에도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점검작업차(V)에 설치되는 특수한 작업장비의 구조는, 차량을 교량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자를 교량의 보 측면에 출입, 접근시키기위한 작업장비로서, 점검작업차(V)의 짐칸에서 일측단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면서 그 길이는 짐칸에서 방호벽(Bf)의 외측으로 충분히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수평통로대(Ma)와, 이 수평통로대(Ma)의 끝단에 힌지(HG)로 연결되어 보(G)의 측단까지 하향으로 연장되는 트러스구조의 수직사다리(Mb)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통로대(Ma)의 끝단측 하단부와 수직사다리(Mb)의 상단내측 사이에는 유압실린더(HY)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점검작업차(V)의 작업장비는 비작업시에는 수평통로대(Ma)는 짐칸측으로 회전시키고, 수직사다리(Mb)는 수평통로대(Ma)와 분해하여 짐칸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며, 점검작업차(V)로 교량에서 보의 점검, 칠작업을 실시할 때는 교량측에서 수평통로대(Ma)의 끝단에 수직사다리(Mb)를 힌지(HG)로 연결한 후에 연결부에 유압실린더(HY)를 장치한 후, 수직사다리(Mb)를 유압실린더(HY)를 펼쳐서 일정 높이 들어올린 후, 교량 도로면측에서 수평통로대(Ma)를 방호벽(Bf)측으로 회전시켜서, 수직사다리(Mb)를 유압실린더(HY)를 작동시켜 수직으로 세운 후 교량(BR)위를 이동하면서 작업자의 출입통로와 작업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특수 작업장비를 탑재한 점검작업차(V)를 이용한 보의 점검, 칠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종래의 출입사다리(L)는 그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단보다 1m 이상 돌출되어 있어서, 점검작업차(V)에 작업장비의 수평통로대(Ma)를 설치함에 있어서 점검작업차(V)의 작업이동중에 출입사다리(L)의 상단에 걸리지 않도록 높게 설치하여야 하므로 자재비가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장비의 탑재구조도 불안정해지고 작업자의 출입 행동도 불안정한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출입사다리(L)가 설치된 지점을 통과할 때마다 유압실린더(HY)가 걸리지 않도록 점검작업차(V)의 수직사다리(Mb)를 필요이상으로 펼쳐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점검대 출입시설중에서 방호벽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단을 갖는 고정식 출입사다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져 제공되는 것으로서, 교량의 방호벽 외측면에서 교량점검대에 이르는 출입사다리를 형성함에 있어서 사용시에는 그 상단이 방호벽의 상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되고 비사용시에는 그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이하로 내려가는 승강식으로 구성하여, 교량점검대의 출입사다리의 기능을 충분히 가지면서도, 교량 점검작업차의 작업장비의 구성을 간편히 하고, 점검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승강식 출입사다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도1의 일 실시예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의 측면구성도
도 3은 도1의 구성중 출입사다리의 일부 평단면구성 확대도
도 4는 도1의 일 실시예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의 상부승강안내장치와 승강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1의 일 실시예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의 상부승강안내장치와 승강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1의 구성중 출입사다리의 하부승강안내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종래의 교량점검대용 돌출 고정식 출입사다리 일예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R:교량 Bf:교량의 방호벽 G:교량의 보 P:교각
Px:교량점검대 F:교량점검대 발판 Fa:발판의 안전난간
Fb:발판의 브라켓 L:출입사다리 Lf:출입사다리의 안전대
V:점검작업차 HG:힌지 HY:유압실린더 Ma:수평통로대
Mb:수직사다리 W:와이어 10:승강식 출입사다리
11,12:상,하부 고정판 13:앵커볼트 14,15:좌우 상부승강안내대
16:안내홈 17:안내로울러 20:사다리 21,22:좌우 수직봉
23:수평봉 24:로울러브라켓 25:고정대 26:와이어고정단
27:안전난간 27a:가로안전대 27b:세로안전대 28:고정프레임
29,29a:부싱 30:승강구동장치 30a:승강장치의 케이스 31:핸들
32:감속기 33:구동휠 34:브레이크 35:와이어안내휠
36:브라켓 40:웨이트밸런스 41:안내브라켓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승강식 출입사다리의 구성은, 교량의 방호벽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하로 일정거리의 승강행정을 안내하는 상부승강안내장치와, 상기 상부승강안내장치에 안내되어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이하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승강되는 사다리와, 교량의 방호벽에 고정설치되어 사다리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행정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장치와, 교량점검대의 발판에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의 하부를 승강안내하는 하부승강안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승강식 출입사다리에 의하면, 사용시에는 승강장치를 상승으로 작동시켜 사다리의 상단이 방호벽의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올려서 위치를 고정시켜 사용하고, 미 사용시에는 승강장치를 하강으로 작동시켜 사다리의 상단을 방호벽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로 내려서 위치를 고정시켜주므로서, 사용시에는 작업자가 도로측에서 돌출된 사다리의 상단을 잡고 용이하고 안전하게 교량점검대로 출입할 수 있는 안전 사다리의 기능을 충분히 보유하고, 미사용시에는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운전자의 시선을 뺏지 않아 안전운행을 도모하며, 교량의 보를 이동식으로 점검하는 점검작업차의 작업장비를 안전하고 간편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점검작업차에 의한 보의 점검작업 및 칠작업등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일 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내지 도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교량점검대용 승강식 출입사다리(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강식 출입사다리(10)는 교량(BR)의 방호벽(Bf) 외측면 상하단에서 각각 수개의 앵커볼트(13)로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판(11)(12)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지지된다.
이 상,하부 고정판(11)(12)의 외면 일측에는 사다리(20)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좌우로 벌어지고 그 길이는 방호벽(Bf)의 하단 이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찬넬형의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가 수직방향으로 고정 부착된다.
이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들의 내단측에는 상하단이 막히고 중간부가 상하로 길게 터진 안내홈(16)이 형성되고, 이 안내홈(16)들에는 각각 상하로 이동자유롭고 좌우로는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의 안내로울러(17)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홈(16)의 상하길이는 작업자가 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다리(20)의 상단을 방호벽(Bf)의 상단보다 일정높이 올려주는 승강행정보다 다소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로울러(17)들은 사다리(20)의 좌우 수직봉(21)(22)들의 중간부 일측에서 방호벽측으로 직교되게 고정부착된 로울러브라켓(24)들에 회전자유롭게 축설된다.
상기 사다리(20)는 방호벽(Bf)의 상단에서 교각(P)의 상단둘레에 설치되는 교량점검대(Px)의 발판(F) 까지의 길이보다 하향으로 일정길이 길게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좌우 수직봉(21)(22)들을 기본 골조로 하여, 좌우 수직봉(21)(22)간에 일정간격을 갖고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수평봉(23)들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수직봉(21)(22)들의 외측방에는 출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면적을 갖고 수개의 원호형 가로안전대(27a)와 세로안전대(27b)들로 형성된 안전난간(27)이 사다리의 상단에서부터 중간 일측까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안전난간(27)의 하단부 위치는 사다리(20)가 올라간 상태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타고 교량점검대(Px)의 발판(F)에 내려 설을 때 작업자가 안전난간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용이한 위치까지 설정된다.
상기 사다리(20)의 하부는 교량점검대(Px)의 일측 발판(F)을 관통하여, 좌우 수직봉(21)(22)들의 좌우측단이 발판(F)에 고정프레임(28)으로 고정 설치된 부싱(29)(29a)들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사다리(20)는 좌우 수직봉(21)(22)들의 중간부에서 방호벽(Bf)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좌우 로울러브라켓(24)들간에 고정대(25)를 고정설치하고, 그 중간부 상단에 와이어고정단(26)을 설치하여, 상부 고정판(1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승강구동장치(30) 및 와이어안내휠(35), 웨이트밸런스(40)들간에 와이어(W)를 연설하여서 승강되는 구성이다.
상부 고정판(1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승강구동장치(30)는 핸들(31)로 구동되는 감속기(32)와, 이 감속기(32)의 출력축에 축설되는 구동휠(33)과, 출력축의 후단에 설치되는 브레이크(34)로 구성된다.
와이어안내휠(35)은 상기 상부 고정판(11)의 상단에서 사다리의 좌우 수직봉(21)(22)의 중간위치에 대응하여 브라켓(36)에 의해 피봇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와같은 승강구성에서 와이어(W)는 사다)가 내려진 상태에서, 사다리에 고정된 와이어고정단(26)에 일측 자유단을 고정시키고 타측 자유단을 상향으로 올려서 일차적으로 상기 와이어안내휠(35)에 좌측 밑에서 우측으로 감아 걸친후 우측편에 설치된 구동휠(33)에 수회 감아서, 그 끝단을 방호벽(Bf)의 외측벽에 안내브라켓(41)으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자유롭게 설치된 웨이트밸런스(40)의 상단에 결속시킨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a는 승강장치의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일 실시예 승강식 출입사다리(10)는 사다리(20)의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단 이하로 내려진 상태에서 웨이트밸런스(40)는 최대로 올려진상태로 조립되는 바, 승강구동장치의 핸들(31)을 오른방향으로 돌리면 구동휠(33)도 오른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안내휠(35)측의 와이어(W)를 당겨 감게된다.
와이어안내휠(35)측의 와이어(W)가 당겨져 구동휠(33)에 감겨지게 되면 와이어안내휠(35)에서 좌측 하향으로 감아진 일측 와이어 자유단이 고정된 와이어고정단(26)을 끌어올리게 되어, 사다리(20) 전체는 좌우 수직봉(21)(22)의 중간부 로울러브라켓(24)에 축설된 안내로울러(17)들이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에 형성된 안내홈(16)에 안내되면서 상승하게된다.
이때 웨이트밸런스(W)는 구동휠(33)의 회전으로 감겨지는 와이어가 우측편에서 풀려지는 길이만큼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승강구동장치의 핸들(31) 조작을 용이하게 하며, 지속적인 핸들(31)의 회전으로 사다리(20)가 상승되어 안내로울러(17)들이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의 안내홈(16)에서 최상단에 이르게 되면 감속기(32)의 출력축 후단에 연설된 브레이크(34)를 잠거서 사다리(20)를 상승위치로 고정시킨다.
사다리(20)가 상승된 위치로 고정되면 20)의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방으로 일정높이(실제적으로 약 1300mm 정도) 돌출되어 사용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사다리(20)의 상단이 방호벽(Bf)의 상방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사용상태에서 미사용상태로 사다리를 하강시키는 작동은, 브레이크(34)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한 상승작동과 반대로 승강구동장치의 핸들(31)을 왼방향으로 돌려서 실시된다.
핸들(31)을 왼방향으로 돌리면 구동휠(33)도 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내려져있는 웨이트밸런스(W)를 끌어 올리면서 그 와이어를 감아올려 와이어안내휠(35)측으로 놓아주게 되고, 이에따라 올려져 있던 사다리(20)는 자중에 의하여 안내로울러(17)가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의 안내홈(16) 하단에 저지될 때까지 하강하여 멈추게 된다.
하강이 완료되면 사다리(20)의 상단은 방호벽(Bf)의 상단 이하로 하강되어 미사용상태로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사다리(20)의 승강작동에서 사다리(20)의 하부는 교량점검대(Px)의 일측 발판(F)을 관통하여, 좌우 수직봉(21)(22)들의 좌우측단이 고정프레임(28)으로 설치된 부싱(29)(29a)들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자유롭게 지지된 구성에 의하여, 사다리의 승강작동시의 흔들림은 물론 사용상태에서도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교량에서 교각 둘레에 설치되는 교량점검대측으로 출입하는 사다리 구성을 승강식 출입사다리로 구성하므로서, 사용상태에서는 사다리의 상단을 방호벽의 상방으로 일정높이 상승시켜 통상의 돌출 고정식사다리와 동일하게 작업자의 출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면서, 미 사용상태에서는 사다리의 상단을 방호벽의 상단 이하로 하강시켜주므로써, 출입사다리가 방호벽의 상단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아 긴 교량의 경우에 수십개가 연속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되는 종래의 돌출 고정식사다리에 비하여,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 운전자들의 시선을 뺏지않아 안전운행을 도모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교량의 보에 대하여 이동식 출입장치를 탑재한 점검작업차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점검작업과 칠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점검작업차가 돌출 고정식 사다리를 통과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점검작업차를 멈춘상태에서 이동식 출입장치인 수직사다리를 절첩하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주는 불편을 해소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으며, 원천적으로는 종래의 돌출 고정식 사다리 구성 때문에 점검작업차에서 높게 설치되는 수평통로대를 낮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비의 제작상 경제성을 높이면서 회전구동 안전성과 작업자의 출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반드시 상기 일 실시예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출입사다리를 방호벽에 지지하면서 승강을 안내하는 구성은, 안내로울러의 구성외에도 베어링부재나 슬라이드식패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장치는 감속기와 와이어를 이용한 방식외에도 사다리의 일측 수직봉에 랙기어를 부착하고, 승강구동부에는 이 랙기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구비한 구동장치로 구성하여서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장치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수단은 핸드 구동식외에도 자동차 전원을 이용한 전동 구동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 교량의 방호벽 외측면에서 교각의 상단에 설치된 교량점검대의 일측에 이르게 사다리가 설치된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를 구성함에 있어서,교량의 방호벽 외측면에서 고정 설치되어 사다리의 상부를 지지하면서 상하로 일정거리의 승강행정을 안내하는 상부승강안내장치와, 상기 상부승강안내장치에 안내되어 상단이 방호벽의 상단이하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돌출되게 승강되는 사다리와, 교량의 방호벽에 고정설치되어 사다리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행정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장치와, 교량점검대의 발판에 설치되어 상기 사다리의 하부를 승강안내하는 하부승강안내장치를 구비하여 승강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승강식 출입사다리의 상부승강안내장치의 구성은,교량(BR)의 방호벽(Bf) 외측면 상하단에서 각각 수개의 앵커볼트(13)로 고정되는 상,하부 고정판(11)(12)과, 이 상,하부 고정판(11)(12)의 외면 일측에는 사다리(20)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좌우로 벌어지고 그 길이는 방호벽(Bf)의 하단 이하로 일정길이 연장된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를 고정하여, 상기 좌우 상부승강안내대(14)(15)들의 내단측에는 상하단이 막히고 중간부가 상하로 길게 터진 안내홈(16)을 형성하고, 이 안내홈(16)들에는 각각 상하로 이동자유롭고 좌우로는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의 안내로울러(17)가 끼워져 사다리(20)의 좌우 수직봉(21)(22)들의 중간부 일측에서 방호벽측으로 직교되게 고정부착된 로울러브라켓(24)들에 회전자유롭게 축설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제1항에 있어서 승강식 출입사다리를 상하방향으로 일정행정 승강작동시키는 승강장치의 구성은, 방호벽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1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핸들(31)로 구동되는 감속기(32)와, 이 감속기(32)의 출력축에 축설되는 구동휠(33)과, 출력축의 후단에 설치되는 브레이크(34)를 구비한 승강구동장치(30)와, 상기 상부 고정판(11)의 상단에서 사다리의 좌우 수직봉(21)(22)의 중간위치에 대응하여 브라켓(36)에 의해 피봇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와이어안내휠(35)을 구비하고, 사다리 좌우 수직봉(21)(22)들의 중간부에서 방호벽(Bf)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좌우 로울러브라켓(24)들간에는 고정대(25)를 고정설치하여 그 중간부 상단에 와이어고정단(26)을 설치하여,상부승강안내장치에 지지된 사다리(20)가 최하단에 내려진 상태에서, 일정길이의 와이어(W)를 사다리에 고정된 와이어고정단(26)에 일측 자유단을 고정시키고 타측 자유단은 상향으로 올려서 일차적으로 상기 와이어안내휠(35)에 좌측 밑에서 우측으로 감아 걸친후 우측편에 설치된 구동휠(33)에 수회 감아서, 그 끝단을 방호벽(Bf)의 외측벽에 안내브라켓(41)으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자유롭게 설치된 웨이트밸런스(40)의 상단에 결속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5902U KR200191452Y1 (ko) | 1999-06-17 | 2000-03-03 |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0756 | 1999-06-17 | ||
KR2020000005902U KR200191452Y1 (ko) | 1999-06-17 | 2000-03-03 |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0756 Division | 1999-06-17 | 1999-06-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1452Y1 true KR200191452Y1 (ko) | 2000-08-16 |
Family
ID=1957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5902U KR200191452Y1 (ko) | 1999-06-17 | 2000-03-03 |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145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509B1 (ko) | 2014-06-05 | 2014-11-12 |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작업대 및 사다리를 갖는 터널 전광판 장치 |
KR101940157B1 (ko) | 2018-05-31 | 2019-01-18 | 김두영 | 교량 점검을 위한 출입사다리 고정프레임용 고정장치 |
CN115012317A (zh) * | 2022-07-08 | 2022-09-06 | 广州城建职业学院 | 一种架桥机用的爬升装置 |
-
2000
- 2000-03-03 KR KR2020000005902U patent/KR200191452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0509B1 (ko) | 2014-06-05 | 2014-11-12 |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작업대 및 사다리를 갖는 터널 전광판 장치 |
KR101940157B1 (ko) | 2018-05-31 | 2019-01-18 | 김두영 | 교량 점검을 위한 출입사다리 고정프레임용 고정장치 |
CN115012317A (zh) * | 2022-07-08 | 2022-09-06 | 广州城建职业学院 | 一种架桥机用的爬升装置 |
CN115012317B (zh) * | 2022-07-08 | 2024-05-07 | 广州城建职业学院 | 一种架桥机用的爬升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05086B2 (en) | Attachment lift | |
KR101673941B1 (ko) | 개별구동이 가능한 철도차량 검수용 이동식 상부 작업대 | |
US5645395A (en) | Building crane apparatus climbable on building walls | |
JP2004322823A (ja) | プラットホームの簡易可動柵 | |
KR100956177B1 (ko) | 고소작업대 | |
EP2114810A1 (de) | Aus der liftkabine wartbarer antrieb für eine liftkabine | |
US3396814A (en) | Power ladder and safety device for workman's basket | |
CN113697733A (zh) | 双剪叉高空作业平台 | |
KR200191452Y1 (ko) | 교량점검대용 출입사다리 | |
EP0471305A1 (de) | An einen Mobilkran anbaubare Plattform | |
JP2620123B2 (ja) |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 |
CN212801239U (zh) | 一种简支梁桥盖梁钢筋二次张拉用移动挂篮台车 | |
RU2193006C2 (ru) | Устройство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лестницы и перемещаемого по ней подвижного элемента для башенного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 |
KR102204933B1 (ko) |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 |
CN110734017B (zh) | 电力检修升降台 | |
JP3617740B2 (ja)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における組立式ゴンドラ | |
DE19512009C1 (de) | Park- und Rangierpalette für Kraft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räder | |
KR20000030899A (ko) |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 |
US20070235258A1 (en) |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 |
JP3246579U (ja) | 梯子付移動式リフト | |
CA2528319C (en) | Elevator with a cable-driven car | |
JPH1067493A (ja) | 高所作業車の作業台装置 | |
JP7120432B1 (ja) | シート掛け補助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ハンガー移動装置 | |
KR102219660B1 (ko) |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 |
KR19990084582A (ko) | 사다리 소방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J210 |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