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802Y1 -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802Y1
KR200189802Y1 KR2019980003204U KR19980003204U KR200189802Y1 KR 200189802 Y1 KR200189802 Y1 KR 200189802Y1 KR 2019980003204 U KR2019980003204 U KR 2019980003204U KR 19980003204 U KR19980003204 U KR 19980003204U KR 200189802 Y1 KR200189802 Y1 KR 200189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p
movable
fixed
latch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468U (ko
Inventor
김기종
이성학
김낙준
유연주
Original Assignee
김봉조
한국마사회
정명식
학교법인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조, 한국마사회, 정명식, 학교법인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김봉조
Priority to KR2019980003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80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05C19/12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pivotally mounted around an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Abstract

본 고안은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문에 고정되며 걸림홈을 가지는 고정걸쇠와, 고정걸쇠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홈을 가지는 가동걸쇠와, 이 가동걸쇠가 지지핀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그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는 홀더와, 홀더의 타측이 그 단부에 고정되며 타측문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바와, 이 작동바의 타측 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타측문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작동바를 회동시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게 한 후 문을 닫으면 가동걸쇠가 회전하였다가 원위치되면서 고정걸쇠의 걸림홈과 가동걸쇠의 걸림홈이 체결되어 문이 잠겨진다. 또한, 잠금상태에서 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가동걸쇠만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걸쇠와 가동걸쇠의 걸림홈들이 분리되게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앞문을 개방한다. 따라서, 기존의 잠금장치에 비하여 잠금과 해제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본 고안은 경마 경기에 사용되는 경주마 발주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를 잠금과 해제가 편리하게 개선한 것이다.
경마 경기에 있어 경주마 발주기는 경주에 참가하는 경주마들을 출발선상에 횡렬로 정렬시키고 출발신호와 함께 정렬하고 있는 경주마들이 동시에 발주할 수 있도록 경주마들을 각각 격리시키는 격벽과, 격벽 사이에서 좌우로 형성되어 경주마들이 통과하는 한쌍의 발주문 및 뒷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발주기의 앞문은 문이 좌우로 열리도록 항상적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장치와, 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게하여 문이 열리게 하는 자석장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출발신호와 동시에 개방되도록 작동한다.
도 1에서는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중심으로, 좌측문(1)에는 걸림홈(3)을 갗는 좌측걸쇠(2)가 스프링(4)과 나사(5)로 조립되어 일정한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우측문(6)에는 영구자석(10b)이 장치된 우측걸쇠(7)가 힌지축(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우측걸쇠(7)의 상측에는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임의로 자장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석(10a)이 장치된다. 그리고, 영구자석(10b)의 자력 유도방향과 반대로 우측래치(7)에 작용력을 발생하도록 스프링(11)이 설치되고, 이때 영구자석의 자력은 스프링(11)의 탄성력을 극복한다.
따라서, 좌측걸쇠(2)와 우측걸쇠(7)의 걸림홈(8)이 결합되어 문이 잠겨진 상태에서 출발신호와 함께 전원이 공급되면, 영구자석(10b)의 자력에 의해 밀착된 우측걸쇠(7)를 전자석(10a)의 반력으로 상쇄시키고,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우측걸쇠(7)의 선단이 젖혀져서 앞문이 열리게 된다.
또한, 잠금장치는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잠글 수 있어야 하는데, 앞문이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우측걸쇠(7)의 걸림홈(8) 부분이 들려져 있다. 따라서, 앞문을 잠그기 위해서는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우측걸쇠(7)의 걸림홈(8) 부분이 내려오게 하고 좌측걸쇠(2)를 위로올려 걸림홈(3,8)들이 체결되게 한 후, 우측걸쇠(7)의 걸림홈(8) 하부에 위치된 잠금레버(12)를 이동시켜 좌측걸쇠(2)가 내려오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같이 잠금장치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 2에 나타내고 있다.
한편, 발주마의 부상, 기수의 부상 등 돌발적인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하나의 발주실의 경주마만을 끌어내야 한다. 이때, 경주마는 뒷걸음질 치지 않는 습성이 있으므로 앞문을 수동으로 신속하게 개방하고 앞문을 통해 끌어내야 하는데, 종래의 잠금장치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잠금레버(12)를 이동시키고, 좌측걸쇠(2)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경주마가 앞문을 들이받는 등의 돌발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에는, 경주마의 보호를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앞문에 가해지면 자동적으로 문이 열릴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잠금장치는 이러한 경우 좌측걸쇠(2)가 부러지기 쉽도록 보다 강도가 약한 알미늄 소재로써 제작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잠금장치는 앞문을 잠그거나 수동으로 개방시킬 때 좌우걸쇠(2,7)와 잠금레버(12) 등의 여러장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번잡하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잠금장치의 잠금 또는 수동에 의한 잠금해제시 여러장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단 한 번의 조작으로 잠금되게 하거나 또는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한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문에 고정되며 걸림홈을 가지는 고정걸쇠와, 고정걸쇠의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홈을 가지는 가동걸쇠와, 이 가동걸쇠가 지지핀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그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는 홀더와, 이 홀더의 타측이 그 단부에 고정되며 타측문에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바와, 이 작동바의 타측 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타측문에 설치되는 영구자석 및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걸쇠와 가동걸쇠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발사고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그 자체가 부러져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고정걸쇠의 재질보다 강도가 약한 재질로 가동걸쇠가 구성된다. 또한, 고정걸쇠와 가동걸쇠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동걸쇠의 걸림홈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과 힌지축의 중심 작용점을 연결하는 작용선을 기준으로 가동걸쇠의 회전방향 반대측에 지지핀이 위치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앞문 잠금장치는, 작동바를 회동시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고정되게 한 후 문을 닫으면 가동걸쇠가 회전하였다가 원위치되면서 고정걸쇠의 걸림홈과 가동걸쇠의 걸림홈이 체결되어 문이 잠겨진다. 또한, 잠금상태에서 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가동걸쇠만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정걸쇠와 가동걸쇠의 걸림홈들이 분리되게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앞문을 개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술하였듯이 한 번의 조작으로 앞문을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잠금장치에 비하여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잠금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잠금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 힘의 작용점을 표시한 개략도,
도 7a 내지 도 7d는 힘 작용점과 고정점 위치에 따른 이동점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좌우 발주문 110 : 고정걸쇠
111, 332 : 걸림홈 310 : 작동바
311 : 영구자석 312, 322 : 스프링
320 : 홀더 321 : 지지핀
330 : 가동걸쇠 331 : (가동걸쇠의) 경사면
333 : (가동걸쇠의) 힌지결합요홈 340 : 힌지축
350 : 전자석 A, B ,C : 각 작용점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앞문 잠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좌측 발주문(100)에는 걸림홈(111)을 가지는 고정걸쇠(110)가 나사(120)로 고정된다.
이에 대응되는 우측 발주문(200)에는, 이 고정걸쇠(110)의 걸림홈(111)에 결합되는 걸림홈(332)을 가지는 가동걸쇠(330)가 지지핀(321)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322)에 의해 그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홀더(320)에 조립되고, 홀더(320)의 타측은, 타측문에 힌지축(3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스프링(312)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바(310)의 단부에 조립되며, 작동바(310)의 타측 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타측문에는 영구자석(311) 및 전자석(350)이 설치된다.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가동걸쇠(330)는 홀더(320)를 측면으로부터 관통하는 지지핀(321)에 조립되어 상방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가동걸쇠(330)는 토션스프링(322)에 의해 회전방향 반대측으로 작용력을 받게 되며, 토션 스프링(322)은 홀더(320) 상면에 볼트(324)로 조립되는 가이드(323)로 고정된다. 그리고, 중공의 홀더(320) 내측으로 작동바(310)의 선단이 삽입되어 이들을 동시에 관통하는 힌지축(340)으로 우측 발주문(200)에 조립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앞문 잠금장치의 작동구조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잠금과정을 보면, 발주문이 열린 상태에서 작동바(310)의 영구자석(311)을 작동바(310) 상측의 전자석(350)에 접해지게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으로 고정되게 한 후 앞문을 닫게 되면, 가동걸쇠(330) 선단의 경사면(331)이 고정걸쇠(110)의 걸림홈(111)과 만나면서 순간적으로 젖혀졌다가 토션스프링(322)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홈(111,332)들이 체결됨으로써 앞문이 잠겨지게 된다.
또한, 경주마 발주시에는 전자석(350)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영구자석(311)의 자력이 전자석(350)의 자력과 상쇄되고, 영구자석(311)에서 발생하는 자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력을 가해지도록 설치된 스프링(312)에 의해 작동바(310)가 회전하여 걸림홈(111,332)들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걸쇠(110)와 체결된 가동걸쇠(330)가 상측으로 젖혀져 잠금이 해제되고 문이 개방된다. 그리고, 문을 수동으로 개방하는 경우에는 가동걸쇠(33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발주실 내에서 경주마가 앞문을 들이받는 경우 경주마의 보호를 위해 앞문이 자동적으로 열려야하며, 기존의 앞문 잠금장치는 좌측걸쇠(110)를 타 부품보다 약한 강도를 지닌 알미늄 소재로써 제작하여 부러지기 쉽게 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우측 발주문(200)에 설치되는 가동걸쇠(330)에 알미늄 소재를 적용하였다. 이는 도 4를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 홀더(320)에 조립되는 가동걸쇠(330)는 토션스프링(322)을 젖힌 후, 힌지결합요홈(333)에 지지핀(321)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간단히 조립된다. 따라서, 돌발사태에 의해 앞문이 열린 후 부러진 소재의 교환작업이 용이하며, 제작 조립과정에서도 작업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작동바(310)의 선단에 홀더(320)을 조립됨으로써 회전 작동하는 가동걸쇠(330)의 회전 중심위치가 중요한데, 이를 도 6과 힘 작용점과 고정점 위치에 따른 이동점의 이동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작동바(310)는 힌지축(340)으로 발주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여기서 힌지축(340)의 중심선은 고정된 작용점(C)가 된다. 가동걸쇠(330)는 홀더(320)를 측면으로부터 관통하여 고정된 지지핀(321)에 끼워져 조립되며, 지지핀(321)의 중심선은 고정된 작용점(B)가 된다. 그리고, 앞문이 닫힌 상태에서 고정걸쇠(110)와 서로 맞물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동걸쇠(330)에서 힘의 작용점은 이동점(A)가 된다. 이때, 작동바(310)의 고정작용점(C)와 홀더(320)의 고정작용점(B) 및 가동걸쇠(330)의 이동점(A)는 동일직선상에 놓여 있지 않으며, 홀더(320)의 고정작용점(B)는 가동걸쇠(330)의 걸림홈(332)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A)과 힌지축(340)의 중심 작용점(C)을 연결하는 작용선(L - L')을 기준으로 가동걸쇠(330)의 회전방향 반대측에 위치된다.
도 7a에서와 같이 이동점 b가 고정점 a, c를 연결하는 직선의 아래에 존재하는 경우 점 a와 점 c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인장력이 작용하면, 점 b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윗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동하려고 하게 된다. 한편, 도 7b에서와 같이 이동점 b가 고정점 a, c를 연결하는 직선의 위에 존재하는 경우, 인장력이 작용하면 점 b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점 b와 c가 고정점이고 점 a가 이동점인 경우를 보면, 도 7c에서와 같이 이동점 a가 점 b와 점 c를 연결하는 직선의 위에 존재하는 경우 도 7a에서와 같이 이동점 a는 아랫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이동하려고 하게 된다. 한편, 도 7d에서와 같이 이동점 a의 위치가 고정점 a, c를 연결하는 직선의 아래에 존재하는 경우 도 7b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동점 a는 위쪽으로 이동하려고 하게 된다.
발주실내 경주마의 요동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잠금상태인 앞문이 진동하게 되는 경우 가동걸쇠(330)에는 반대측 발주문(100)에 설치된 고정걸쇠(110)로부터 인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힌지축(340)의 중심 작용점(C)와 홀더(320)에 설치된 지지핀(321)의 중심 작용점(B)가 고정점이 되고, 고정걸쇠(110)의 걸림홈(111)과 맞물리는 가동걸쇠(330)의 걸림홈(332) 내주면이 이동점(A)가 된다.
따라서, 가동걸쇠(33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지지핀(321)의 위치에 따라 도 7c 또는 도 7d와 같은 상태에 놓이게 되며, 지지핀(321)의 위치가 가동걸쇠(330)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인 이동점(A)와 힌지축(340)의 중심 작용점(C)를 연결하는 작용선(L - L')의 위쪽에 위치하는 경우 도 7d와 같은 상태가 되고, 문의 진동으로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가동걸쇠(330) 걸림홈(332)의 이동점(A)는 위로 이동하려 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잠금이 해제되어 문이 열리게 된다. 즉, 경주마의 돌발적인 행동에 의해 앞문이 개방될 가능성이 있으며, 개방신호가 없이도 문이 열릴 수 있게 된다.
반면,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에서와 같이 지지핀(321)의 위치가 가동걸쇠(330)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인 이동점(A)와 힌지축(340)의 중심 작용점(C)를 연결하는 작용선(L - L')의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면, 문의 진동으로 발생한 인장력에 의해 가동걸쇠(330) 걸림홈(322)의 이동점(A)는 아래 방향으로 작용력을 받게 되어 맞물림을 더욱 공고히 하게되므로,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앞문 잠금장치는, 한 번의 조작으로 앞문을 잠그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발주문의 개폐가 쉽고 편리하며, 파손되기 쉬운 부품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여 경주마의 돌발 행위에 의한 수리시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조립시에도 조립공정이 크게 단축되게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기해지도록 하였다.

Claims (3)

  1. 경마용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에 있어서,
    일측문에 고정되며 걸림홈(111)을 가지는 고정걸쇠(110)와,
    상기 고정걸쇠(110)의 걸림홈(111)에 결합되는 걸림홈(332)을 가지는 가동걸쇠(330)와,
    상기 가동걸쇠(330)가 지지핀(321)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322)에 의해 그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도록 설치되는 홀더(320)와,
    상기 홀더(320)의 타측이 그 단부에 고정되며 타측문에 힌지축(3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동시에 스프링(312)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작동바(310)와,
    상기 작동바(310)의 타측 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타측문에 설치되는 영구자석(311) 및 전자석(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마용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걸쇠(330)는, 상기 고정걸쇠(110)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돌발사고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그 자체가 부러져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걸쇠(110)의 재질보다 강도가 약한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쇠(110)와 가동걸쇠(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동걸쇠(330)의 걸림홈(332)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인 이동점(A)와 힌지축(340)의 중심 작용점(C)을 연결하는 작용선(L - L')을 기준으로 상기 가동걸쇠(330)의 회전방향 반대측에 지지핀(321)이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KR2019980003204U 1998-03-06 1998-03-06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KR200189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204U KR200189802Y1 (ko) 1998-03-06 1998-03-06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204U KR200189802Y1 (ko) 1998-03-06 1998-03-06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468U KR19990037468U (ko) 1999-10-05
KR200189802Y1 true KR200189802Y1 (ko) 2000-09-01

Family

ID=1953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204U KR200189802Y1 (ko) 1998-03-06 1998-03-06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80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457B1 (ko) 2009-12-04 2011-10-24 한국마사회 경주마 발주기용 앞문개폐장치
KR200462161Y1 (ko) 2011-12-13 2012-08-31 김재민 전기밥솥
KR101618758B1 (ko) 2015-11-09 2016-05-13 한국마사회 경마용 출발대 유압식 앞문개폐장치
KR200483169Y1 (ko) * 2015-12-10 2017-04-12 장동주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725B1 (ko) * 2002-11-01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스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457B1 (ko) 2009-12-04 2011-10-24 한국마사회 경주마 발주기용 앞문개폐장치
KR200462161Y1 (ko) 2011-12-13 2012-08-31 김재민 전기밥솥
KR101618758B1 (ko) 2015-11-09 2016-05-13 한국마사회 경마용 출발대 유압식 앞문개폐장치
KR200483169Y1 (ko) * 2015-12-10 2017-04-12 장동주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468U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730B2 (en) Side cover detachable apparatus of dual bearing reel for fishing
US6205956B1 (en) Collar and leash assembly
JP4593111B2 (ja) ストラップ調節装置を備えた自動係止固定ループ
KR200189802Y1 (ko) 경주마 발주기의 앞문 잠금장치
US6470535B1 (en) Camming belt clip
JPH0580311U (ja) 紐類の抜止具
RU2002135587A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го прицеп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на конце захвата погрузчика или аналогичной машины
US20090139464A1 (en) Animal Restraint with Snap Hook and Buckle
JP603404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H08250089A (ja) 電子機器のロック構造
KR100204013B1 (ko) 자전거용 링 자물쇠
US5730012A (en) Bicycle sprocket lock
EP0751327A1 (de) Befestigungselement zum Anbringen langgestreckter Gegenstände an einer Wand
JP4060432B2 (ja) スキ−ポ−ル
JP3240402U (ja) 締結具
FR2510205A2 (fr) Dispositif pour assembler des pieces de part et d&#39;autre d&#39;un support et notamment des plaquettes d&#39;identification de betail
JP3965463B2 (ja) 首輪用紐体
JP4393446B2 (ja) 取付体
US1087012A (en) Buckle.
JP3000853U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KR920001338Y1 (ko) 선풍기의 콘트롤부 보호구조
KR0113505Y1 (ko) 차량용 도어랫치의 언로킹레버와 도어로드의 체결구조물
KR0157708B1 (ko) 냉각수 공급용 도어의 록킹장치
KR200425897Y1 (ko) 전자 및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잠금쇠가 부가된 도어록
US1076360A (en) Hook and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