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267Y1 - 지문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67Y1
KR200187267Y1 KR2020000001194U KR20000001194U KR200187267Y1 KR 200187267 Y1 KR200187267 Y1 KR 200187267Y1 KR 2020000001194 U KR2020000001194 U KR 2020000001194U KR 20000001194 U KR20000001194 U KR 20000001194U KR 200187267 Y1 KR200187267 Y1 KR 200187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nput device
case
fingerprint inpu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휴
정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니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니트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니트젠
Priority to KR2020000001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7Details of sensors, e.g. sens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문의 화상을 받아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지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지문 접촉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호선이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가 지문입력장치 몸체를 지문 입력이 용이한 위치에 고정하므로 지문의 화상을 제어수단에 정확히 입력하여 지문 판독을 정확히 할 수 있고, 한 종류의 지문입력장치에 대해 여러 형태의 고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문 입력장치{fingerprint input device}
본 고안은 지문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입력장치의 몸체가 흔들리지 않고 지문입력이 용이한 지문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문은 각 개인을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범죄수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문의 자동인식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컴퓨터 등에 대한 보안 해결책으로서 패스워드 대신 사용되고 있다. 지문에 의한 개인의 식별은 먼저 각 개인의 지문을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에 입력하여 기억장치에 등록한 후, 컴퓨터 등의 사용시에 지문입력 장치를 통해 지문을 입력하여 저장된 지문과 대조함으로써 허가된 사용자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문을 컴퓨터에 입력하는 지문 입력장치는 통상 지문 접촉부를 가진 몸체를 신호선을 통해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의 입력포트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에는 지문을 사용자가 화면으로 보면서 입력할 수 있도록 모니터가 출력포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문 입력장치는, 코드를 통해 제어수단에 연결된 몸체가 책상이나 보드 상에 놓인 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지문입력장치의 크기는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점차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소형화된 지문입력장치의 몸체를 보드나 책상에 놓은 채로 사용하게 되면, 손가락을 지문 접촉부에 밀착시킬 때 흔들릴 염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손으로 몸체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몸체를 책상이나 보드상에 놓은 채로 사용하게 되면, 손에 걸리는 일이 많고, 특히 컴퓨터에 연결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이 함께 책상 위에 놓이게 되면 신호선이 엉키게 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해 몸체를 떨어뜨리게 되므로 파손 및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지문입력장치 몸체를 지문입력이 용이한 위치에 고정하므로 지문의 화상을 제어수단에 정확히 입력하여 지문 판독을 정확히 할 수 있고, 한 종류의 지문입력장치에 대해 여러 형태의 고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도6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8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지문 입력장치가 모니터 및 컴퓨터에 결합된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몸체 4 : 지문 접촉부
6 : 신호선 8 : 자석부재
10, 20, 30, 50, 70 : 케이스
12 : 수용부 14 : 접착제
18 : 자석부재 34, 54 : 끼임부
36 : 고정부재 40 : 클립부재
56 : 베이스부재 58 : 돌출부
58a : 굴곡면 59 : 볼
62 : 스프링
본 고안에 의한 지문 입력장치는, 지문의 화상을 받아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지문 접촉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호선이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자석이거나, 상기 몸체에 도포된 접착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자석이 결합되거나, 접착제가 도포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끼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는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착탈가능케 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끼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는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베이스부재에 소정의 각도로 요동하여 정지하는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된 굴곡면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외삽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굴곡면에 접하는 볼이 스프링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컴퓨터 모니터나 컴퓨터 본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의 일측에는 지문 접촉부(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의 타측(후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 등의 제어수단의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신호선(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몸체(2)의 내부에는 상기 지문 접촉부(4)에서 받은 화상을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 등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2)의 일측면에는 몸체를 철 등의 금속재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자석부재(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석부재(8)는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재로 된, 컴퓨터 본체(12)의 커버의 측면이나 책상의 금속부분에 몸체(2)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몸체(2)의 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컴퓨터나 모니터의 커버 에 몸체가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접착제는 여러 번 착탈이 가능한 점착제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를 소정장소에 부착하기 전에는 상기 접착제나 점착제에 먼지 등이 묻지 않도록 보호종이가 상기 접착면에 부착되게 하여 사용 시에 상기 보호종이를 떼어 내고 컴퓨터나 모니터의 커버 등에 부착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에 몸체(2)가 수용되어 이 케이스(10)가 소정장소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케이스(10)는 몸체(2)의 지문 접촉부(4)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2)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12)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접착제(14)가 도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에서 상기 몸체(2)에 연결된 신호선(6)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상기 접착제 대신에 케이스(10)에 자석부재(18)가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30)는 몸체(2)의 지문 접촉부(4)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2)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32)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30)의 일측면에는 세레이션 구멍가공된 끼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34)는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고정부재(36)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착탈가능케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6)에는 상기 끼임부(34)에 끼워지는 돌출부(3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8)의 일측면에는 상기 끼임부(34)에 형성된 세레이션부에 맞추어지는 세레이션부(38a)가 가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6)의 타측면은 접착제 또는 자석이 결합되어 원하는 장소에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원하는 영구히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30)를 고정부재(36)에서 분리하여 소정각도로 돌려 다시 끼움에 의해 몸체를 기울일 수 있으므로, 지문채취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끼임부는 다각형의 구멍으로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다각형의 구멍에 끼워지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끼임부와 돌출부가 끼워진 상태로 서로 쉽게 빠지지 않게 하도록 끼움 정도는 중간 끼워 맞춤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임부 또는 돌출부에는 돌기 등이 형성되어 끼운 상태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탄성의 가진 클립부재(40)가 몸체(2)의 양측면에 압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클립부재(40)의 탄성플랜지부(42)(42')는 웨브부(44)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웨브부(44)에는 자석부재(46)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자석부재(46)는 원하는 장소에 있는 금속재에 부착된다.
도6 및 도7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50)는 몸체(2)의 지문 접촉부(4)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2)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52)를 가지고, 상기 케이스(50)의 일측면에는 끼임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54)는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베이스부재(56)에 소정의 각도로 요동하여 정지하는 수단으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베이스부재(56)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된 굴곡면(58a)을 가진 돌출부(58)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54)에는 상기 돌출부(58)에 외삽되는 구멍(54a)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54a)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굴곡면(58a)에 접하는 볼(59)이 스프링(62)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59) 및 스프링(62)의 조립이 용이하고 빠지지 않도록 구속판(64)이 체결부재(66)에 의해 상기 끼임부(54)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50)를 베이스부재(56)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몸체를 기울일 수 있다. 즉, 케이스(50)를 돌리면 굴곡면(58a)의 골에 걸리는 볼(59)이 스프링(6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원하는 각도로 돌려 놓으면 그 각도를 유지하므로, 몸체(2)의 기울임 각도를 더욱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8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70)는 몸체(2)의 지문 접촉부(4)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2)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되, 케이스(70)는 그 저면을 충분히 넓게 하여 안정감이 있도록 형성한 구성으로서, 그 외형은 장난감, 인형 등으로 하여 개인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단이 진 마우스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 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팬시(fancy)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도9는 본 고안의 몸체(2)가 수용된 케이스(10)가 컴퓨터의 모니터(M) 및 본체(N)의 측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자석부재가 결합된 케이스는 그 자력이 미력하고 커버가 차단하게 되므로 컴퓨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고안의 케이스는 책상면 등 다양한 장소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문입력장치 몸체를 지문입력이 용이한 위치에 고정하므로 지문의 화상을 제어수단에 정확히 입력하여 지문 판독을 정확히 할 수 있고, 한 종류의 지문입력장치에 대해 여러 형태의 고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지문의 화상을 받아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지문 접촉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신호선이 결합된 몸체와,
    상기 몸체를 흔들리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결합된 자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도포된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자석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끼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는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세레이션 결합되어 착탈가능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에 지문 접촉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몸체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끼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는 소정의 각도로 요동하여 정지하는 수단에 의해 원하는 장소에 고정된 베이스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굴곡된 굴곡면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임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외삽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굴곡면에 접하는 볼이 스프링에 의해 구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입력장치.
KR2020000001194U 2000-01-17 2000-01-17 지문 입력장치 KR200187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94U KR200187267Y1 (ko) 2000-01-17 2000-01-17 지문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194U KR200187267Y1 (ko) 2000-01-17 2000-01-17 지문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67Y1 true KR200187267Y1 (ko) 2000-07-01

Family

ID=1963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194U KR200187267Y1 (ko) 2000-01-17 2000-01-17 지문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2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35B1 (ko) * 2011-09-16 2012-10-12 (주)니트젠앤컴퍼니 지문인식 스캐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735B1 (ko) * 2011-09-16 2012-10-12 (주)니트젠앤컴퍼니 지문인식 스캐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9380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ata access control
US59456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nd-alone scanning and audio generation from printed material
US20070033320A1 (en) Crypto pass-through dangle
EP1763850A1 (fr) Carte a memoire a clavier
KR200187267Y1 (ko) 지문 입력장치
US5530208A (en) Pen computer pen gripping mechanism
US6169238B1 (en) Combination strap lock and pick storage device
TWI238304B (en) External storage apparatus
KR100286095B1 (ko) 컴퓨터보안장치 및 그에 따른 보안방법
JPH0933017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入力装置
JP2553785Y2 (ja) 情報カード
JP2004513404A (ja) データ入力装置
JPH06266484A (ja) キーボード装置
GB2440549A (en) Wireless mouse with a receiver receptacle plugged by a rubber cover
US6626292B1 (en) Data disk container
FR2701324A1 (fr) Dispositif électronique de sécurité intégré à un micro-ordinateur permettant l&#39;authentification de l&#39;identité d&#39;une personne physique.
JP2572801B2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のカード挿入口開閉ドア構造
JP3264478B2 (ja) 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
JP3629468B2 (ja) カードリーダ
JP4205538B2 (ja) 小型リーダライタ及びリーダライタ用スタンド
JP2003196646A (ja) 指紋認証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3012804B2 (ja) Icカードの保護構造
JP3374832B2 (ja) カード端末装置
KR200279357Y1 (ko) 칩카드 인식기의 잠금장치
JPH05100990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