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176Y1 - 시계가 장착된 버클 - Google Patents

시계가 장착된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176Y1
KR200186176Y1 KR2019990030578U KR19990030578U KR200186176Y1 KR 200186176 Y1 KR200186176 Y1 KR 200186176Y1 KR 2019990030578 U KR2019990030578 U KR 2019990030578U KR 19990030578 U KR19990030578 U KR 19990030578U KR 200186176 Y1 KR200186176 Y1 KR 200186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buckle
jaw
cas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9990030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1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가 장착된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클에 장착된 시계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장되는 시계의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표면으로는 장신구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고품격의 버클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배면으로 벨트의 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삽입공에는 그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그 상응되는 면으로 각각의 자석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지고, 배면에는 시계가 내장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시계케이스로 구성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턱과; 상기 시계케이스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인입턱과;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에 시계뭉치가 재치되는 재치턱을 형성하고 그 상단 일측에는 용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그 상단으로 결합되는 고정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가 장착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계가 장착된 버클{buckle with a clock}
본 고안은 시계가 장착된 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클에 장착된 시계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장되는 시계의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표면으로는 장신구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고품격의 버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계가 장착된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을 착용함에 있어서 특히 바지는 벨트를 사용하여 착용하게 되는 데, 상기 벨트는 착용자의 허리 부분을 감싸는 띠와, 그 띠를 고정하는 버클로 구성되어 바지가 흘러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상기 버클은 근래에 들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으며, 다시말해서 일물품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어 버클이 단순히 띠를 고정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버클에 보조키를 수납시킬 수 있음 물론 소형 라이타 등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특히 대중화 추세에 있는 골프경기를 즐기면서 시간을 체크하기 위한 시계를 장착시킨 여러 버클 등도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러 버클 중에서도 본원에서는 시계가 장착된 버클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시계가 장착된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로, 배면으로 벨트의 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결합공(52)이 형성된 몸체케이스(50)와, 상기 몸체케이스(50)의 삽입공(52)에는 그 삽입공(52)과 대응되도록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그 상응되는 면으로 각각의 자석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지고, 배면에는 시계(62)가 내장되도록 끼움홈(60a)이 형성된 시계케이스(6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시계케이스(60)의 끼움홈(60a)으로 결합되는 시계(62)는 케이스 내부에 다수의 시계부품등이 내장되어 배면으로 뚜껑이 결합되고, 그 케이스의 일측에는 시침을 조절하는 용두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계가 장착된 버클(1)은 사용자가 시간을 보고자 할 경우에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케이스(5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시계케이스(60)의 상단을 전방으로 가압할 경우에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시계케이스(60)가 개방되면서 배면으로 내장된 시계를 보고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시간을 확인하고 난 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다시 시계케이스(60)를 몸체케이스(5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단으로 설치된 자석에 의해 몸체케이스(50)의 결합공(52)으로 시계케이스(60)가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계가 장착된 버클(1)에 있어서는 상기 몸체케이스(50)의 결합공(52)으로 결합되는 시계케이스(60)가 별도로 지지되는 부분이 없어 정밀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 시계케이스(60)의 배면으로 형성된 끼움홈(60a)으로 삽입되는 시계(62)의 고장시나 건전지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 그 끼움홈(60a)으로 부터 시계(62)를 인출한 다음 다시 케이스의 뚜껑을 이탈시킨 후 수리 및 건전지를 교체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작업공정상에 번거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몸체케이스(50)의 표면과 시계케이스(60)의 표면이 평면상태로 밋밋한 관계로,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 또한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버클에 장착된 시계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배면으로 내장되는 시계의 A/S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표면으로는 장신구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고품격의 버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면으로 벨트의 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삽입공에는 그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그 상응되는 면으로 각각의 자석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지고, 배면에는 시계가 내장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시계케이스로 구성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양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턱과; 상기 시계케이스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턱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인입턱과; 상기 끼움홈의 내주면에 시계뭉치가 재치되는 재치턱을 형성하고 그 상단 일측에는 용두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그 상단으로 결합되는 고정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케이스의 양측 표면에는 테두리 상의 내측으로 단차져 함몰된 부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계케이스의 표면에는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돌출턱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보조부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계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시계가 장착된 버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시계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클 10 : 결합턱
10a : 인입턱 12 : 재치턱
14 : 삽입공 15 : 고정링
20 : 부착홈부 30 : 보조부착홈부
32 : 돌출턱부 50 : 몸체케이스
60 : 시계케이스 60a : 끼움홈
62 : 시계 62a : 시계뭉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 배면으로 벨트의 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결합공(52)이 형성된 몸체케이스(50)와, 상기 몸체케이스(50)의 삽입공(52)에는 그 삽입공(52)과 대응되도록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그 상응되는 면으로 각각의 자석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지고, 배면에는 시계가 내장되도록 끼움홈(60a)이 형성된 시계케이스(60)로 구성되는 통상의 버클(1)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결합공(52)의 양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턱(10)과;
상기 시계케이스(60)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턱(10)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인입턱(10a)과;
상기 끼움홈(60a)의 내주면에 케이스를 제외한 일반적인 시계뭉치(62a)가 재치되는 재치턱(12)을 형성하고 그 상단 일측에는 상기 시계뭉치(62a)의 시침을 조절하는 용두가 삽입되도록 삽입공(14)이 형성되며 그 상단으로 끼워맞춤 결합되어 재치된 시계뭉치(62a)를 고정하도록 밑면으로 삽입턱이 형성된 고정링(15)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몸체케이스(50)의 결합공(52)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턱(10)으로 상기 시계케이스(60)의 양측에 형성된 인입턱(10a)이 맞닿아 지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시계케이스(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턱(10)과 인입턱(10a)이 맞물리는 것과 같이 결합되어 몸체케이스(50)의 결합공(52)에서 시계케이스(60)가 유동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홈(60a)의 재치턱(12)으로 재치되어 고정링(15)으로 고정되는 시계뭉치(62a)에 고장 또는 건전지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끼워맞춤 결합된 고정링(15)을 이탈시킨 후 상기 시계뭉치(62a)에 삽입공(14)을 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된 용두를 이탈시키게 되면 시계뭉치(62a)가 그대로 인출됨에 따라 수리 및 건전지의 교체가 번거러운 작업공정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계케이스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로, 상기한 몸체케이스(50)의 양측 표면에는 테두리 상의 내측으로 단차져 함몰된 부착홈부(20)를 형성시킴에 따라 그 부착홈부(20)에는 이와 상응되도록 다양한 형상모양으로 가공된 피혁이나 옥, 나무 및 대나무 또는 금장 등을 일반적인 부착방법인 접착재등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큰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시계케이스(60)의 표면에도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돌출턱부(32)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상기와 같이 다양하게 가공된 피혁, 옥, 나무, 대나무 또는 금장 등을 일반적인 부착방법인 접착재등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보조부착홈부(30)를 형성시킴으로써, 한층 더 심미감을 부각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계케이스(60)에 형성되는 돌출턱부(32)의 내측인 보조부착홈부(30) 뿐만 아니라 그 외측 표면으로도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가공된 가공편을 부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클에 장착된 시계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유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시계케이스의 배면으로 내장되는 시계의 A/S 및 건전지의 교체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몸체케이스 및 시계케이스의 표면으로는 장신구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고품격의 버클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배면으로 벨트의 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간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의 삽입공에는 그 삽입공과 대응되도록 하단이 힌지결합되며 상단은 그 상응되는 면으로 각각의 자석이 설치되어 부착되어 지고, 배면에는 시계가 내장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시계케이스로 구성되는 통상의 버클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52)의 양측에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결합턱(10)과; 상기 시계케이스(60)의 양측으로 상기 결합턱(10)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인입턱(10a)과; 상기 끼움홈(60a)의 내주면에 시계뭉치(62a)가 재치되는 재치턱(12)을 형성하고 그 상단 일측에는 용두가 삽입되는 삽입공(14)이 형성되며 그 상단으로 결합되는 고정링(15)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가 장착된 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50)의 양측 표면에는 테두리 상의 내측으로 단차져 함몰된 부착홈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가 장착된 버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케이스(60)의 표면에는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돌출턱부(32)를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보조부착홈부(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계가 장착된 버클.
KR2019990030578U 1999-12-30 1999-12-30 시계가 장착된 버클 KR200186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78U KR200186176Y1 (ko) 1999-12-30 1999-12-30 시계가 장착된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578U KR200186176Y1 (ko) 1999-12-30 1999-12-30 시계가 장착된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176Y1 true KR200186176Y1 (ko) 2000-06-15

Family

ID=1960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578U KR200186176Y1 (ko) 1999-12-30 1999-12-30 시계가 장착된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1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10B1 (ko) 2005-12-05 2008-03-13 전정현 복합 기능 건강 벨트
KR101935923B1 (ko) * 2017-05-19 2019-01-07 송광수 볼마크가 형성된 의복벨트용 버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810B1 (ko) 2005-12-05 2008-03-13 전정현 복합 기능 건강 벨트
KR101935923B1 (ko) * 2017-05-19 2019-01-07 송광수 볼마크가 형성된 의복벨트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938B2 (en) Eyeglasses with slot for detachable accessories
US20050099592A1 (en) Assembly of prescription lens unit and sports-sunglasses
WO2020020117A1 (zh) 用于穿戴设备的连接结构及穿戴设备
US6227665B1 (en) Sport eyeglasses having removable lenses
KR200186176Y1 (ko) 시계가 장착된 버클
CN209992820U (zh) 一种便于组装的手表
JP2007199214A (ja) 装飾具
KR101570877B1 (ko) 위치확인이 가능한 의복용 단추
US7178916B1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eyeglasses and attachment sunglasses
KR200390236Y1 (ko) 장신구의 부속품 조립장치
JP3689247B2 (ja) 眼鏡フレーム用装飾リム及び装飾リムの装着方法
JP2016118758A (ja) 前掛け式メガネ
KR101363175B1 (ko)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FR2546727A1 (fr) Cache pour bouton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KR20190002608U (ko) 핸드폰 케이스
JP3803238B2 (ja) 腕携帯電話
KR200193313Y1 (ko)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용 보조 브로우바
CN215303501U (zh) 一种弹扣式表带拆卸结构
KR20110049534A (ko) 보조안경테
KR100948226B1 (ko) 안경다리의 장식구 설치 구조
KR200368742Y1 (ko) 장신구가 구성된 손목시계
KR200266482Y1 (ko)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KR200236008Y1 (ko) 귀걸이
TW200626987A (en) Tinted contact lenses with cell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