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482Y1 -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482Y1
KR200266482Y1 KR2020010037316U KR20010037316U KR200266482Y1 KR 200266482 Y1 KR200266482 Y1 KR 200266482Y1 KR 2020010037316 U KR2020010037316 U KR 2020010037316U KR 20010037316 U KR20010037316 U KR 20010037316U KR 200266482 Y1 KR200266482 Y1 KR 2002664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glasses
glasses
shaft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공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석 filed Critical 공병석
Priority to KR2020010037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4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4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48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며 안경에 선글라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착탈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은 렌즈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여 주는 안경경첩의 고정간 일지점에 축공을 구비하고 대각이 되는 고정간의 중심으로는 출몰핀을 스프링과 함께 내장시켜 지지나사로 고정하고 선글라스의 돌편에는 요홈을 갖는 축을 구성하여 선글라스의 축을 축공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경의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안경에 선글라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또 신속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 The sunglasses's structure of attaching and separating on glasses }
본 고안은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며 안경에 선글라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시력이 나쁜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안경착용자의 경우에는 하절기에 해변이나 야외에 나가게 될 경우 눈에 심한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착용중인 안경에 안경다리가 없는 선글라스의 돌편을 나사로 안경다리의 고정간에 부착하여 선글라스가 나사를 중심으로 하여 위로 젖혀지고 내려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되는데 이는 선글라스를 위로 젖히면 선글라스가 돌출되어 이마에 닿아 사용이 불편하고 실내에서는 떼어내기가 불편한 결점이 있고, 또 선글라스에 결착고리를 구성하여 안경의 코다리 또는 렌즈테 상부에 선글라스의 결착고리를 끼워서 착용하고 실내에서는 떼어낼 수 있도록 하는 수단도 있으나 이는 선글라스를 함께 착용하는 경우 뛰거나 고개를 숙일 때 선글라스가 이탈되는 불편이 있고, 또 안경의 코다리에 선글라스의 돌편간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선글라스를 위로 젖히고 내릴수 있도록 하는 수단의 경우에는 제조가 어렵고 실내에서는 떼어낼 수 없는 불편이 있으며, 또 안경다리가 위치되는 고정간의 내벽지점에 횡으로 자석을 돌설하고 선글라스의 돌편에도 자석을 부착하여 선글라스의 자석이 안경의 자석 위에 얹혀 선글라스와 안경간에 형성된 자석간의 결합력으로 고정되는 수단이 있으며 이는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점은 있으나 선글라스가 안경에 얹혀 자력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고, 특히 안경사용자의 안면부에 자석이 위치되어 인체의 철분이 눈 부위에 몰리게 되어 눈의 피로감을 가증시키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들을 해소하고 안경의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이 사용되는 안경경첩의 고정간에 축공을, 대각 지점의 중심으로도 삽지홈을 형성 삽지홈에 출몰핀을 내장하여 선글라스의 돌편에 형성한 축을 끼우면 출몰핀이 축을 고정시켜 안경에 선글라스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고 축을 축공에서 해제시키면 간단히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안경과 선글라스를 분리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서 안경과 선글라스의 결합상태를 보인 결합부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에서 고정간에 선글라스 고정핀의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서 고정간과 출몰핀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렌즈테 3 : 안경다리
4 : 안경경첩 5 : 고정간
6 : 삽지홈 7 : 출몰핀
7a : 구면부 7b : 지지부
7c : 지지축 8 : 스프링
9 : 지지나사 10 : 선글라스
11 : 돌편 12 : 축
12a : 요홈 20 : 축공
통상의 안경(1)에 있어서 렌즈테(2)와 안경다리(3) 간을 연결하는 안경경첩(4)의 고정간(5) 일지점에 축공(20)을 형성하고, 동 축공(20)과 대각을 이루는 고정간(5)의 중심으로 삽지홈(6)을 형성하며, 동 삽지홈(6)에 구면부(7a)와 지지부(7b) 및 스프링지지축(7c)을 갖는 출몰핀(7)의 스프링 지지축(7c)에 스프링(8)을 끼워 삽입한 다음 지지나사(9)로 고정간(5)의 삽지홈(6)에 결합하고 선글라스(10)의 돌편(11)에는 저부에 요홈(12a)을 갖는 축(12)을 형성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힌지나사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과 같이 렌즈테(2)와 안경다리(3)간을 안경경첩(4)으로 연결하여안경(1)을 구성함에 있어서 안경경첩(4) 고정간(5)의 윗면 일지점에 축공(20)을 형성하고 대각을 이루는 고정간(5)의 중심으로는 삽지홈(6)을 형성하고 동 삽지홈(6)에 출몰핀(7) 후부의 스프링 지지축(7c)에 스프링(8)을 끼워서 삽입하고 후방으로 지지나사(9)를 고정간(5)의 삽지홈(6)에서 결합하게 되면 고정간(5)의 축공(20) 중심으로는 출몰핀(7)이 구성되고 동 출몰핀(7)은 스프링(8)의 탄력보다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스프링(8)이 압축되면서 후퇴되고, 외력이 해소되면 돌출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에 선글라스(10)의 돌편(11) 저부에 요홈(12a)을 갖는 축(12)을 고정간(5)의 축공(20)으로 끼우면 축(12) 선단의 구면이 축공(20)으로 유입되면서 출몰핀(7) 선단의 구면부(7a)와 접촉되어 출몰핀(7)을 후퇴시키면서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축(12)의 요홈(12a)으로 후퇴된 출몰핀(7)이 스프링(8)의 탄력으로 복귀되면서 요홈(12a)에 출몰핀(7)의 구면부(7a)가 위치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안경(1)의 렌즈테(2) 전방에 선글라스(1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안경(1)의 렌즈테(2) 전방에 선글라스(10)를 위치시켜 착용하게 되면 운동을 하게 되더라도 선글라스(10)가 안경(1)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 안경(1)에서 선글라스(1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간(5)의 축공(20) 저부로 돌출된 축(12)의 선단을 밀어올리면 출몰핀(7)이 후퇴되면서 축(12)이 상승되어 선글라스(10)가 안경(1)에서 이탈되므로 안경(1)과 선글라스(1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경(1)에 선글라스(10)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고 그구조가 간단하여 외관이 미려하게 되면서 또한 자석이 부착되지 않아 자력으로 인한 사용자의 안면부 혈액순환에 장애를 주는 결점도 해소된다.
또 본 고안에서 축(12)의 선단을 뾰족하게 하거나 구면으로 하더라도 사용에는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은 안경(1)을 구성할 때 사용되는 안경경첩(4)의 제조시 고정간(5)에 출몰핀(7)을 내장 구성하므로서 제조가 용이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안경경첩의 고정간에 축공을 구비하면서 대각으로는 삽지홈을 형성 출몰핀을 내장하여 지지나사로 결합하면 출몰핀이 구성되고 이와 같은 안경축공에 선글라스의 축을 끼우면 견고히 결합되고 또 안경에서 선글라스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안경의 렌즈테와 안경다리의 연결에 사용되는 안경경첩의 고정간에 축공을 구비하고 대각의 삽지홈에는 출몰핀을 내장 구성하여 선글라스 돌편 저부의 축이 축공에 끼워져 출몰핀에서 결합되고 선글라스의 축이 축공에서 분리시키면 안경에서 선글라스가 분리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외관이 미려한 실용적인 특징이 있다.

Claims (1)

  1. 렌즈테(2)와 안경다리(3)간을 연결하는 안경경첩(4)의 고정간(5) 일지점에 축공(20)을 형성하고, 동 축공(20)과 대각을 이루는 고정간(5)의 중심으로 삽지홈(6)을 형성, 동 삽지홈(6)에 구면부(7a), 지지부(7b), 스프링 지지축(7c)이 구비된 출몰핀(7)의 스프링 지지축(7c)에 스프링(8)을 끼워 삽입한 다음 지지나사(9)로 고정간(5)의 삽지홈(6)에 결합하고 선글라스(10)의 돌편(11)에는 저부에 요홈(12a)을 갖는 축(12)을 형성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KR2020010037316U 2001-12-04 2001-12-04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KR2002664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16U KR200266482Y1 (ko) 2001-12-04 2001-12-04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316U KR200266482Y1 (ko) 2001-12-04 2001-12-04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054A Division KR20010114197A (ko) 2001-12-04 2001-12-04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482Y1 true KR200266482Y1 (ko) 2002-02-28

Family

ID=7311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316U KR200266482Y1 (ko) 2001-12-04 2001-12-04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4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97A (ko) * 2001-12-04 2001-12-29 공병석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KR20210141231A (ko) 2020-05-15 2021-11-2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선글라스 착탈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4197A (ko) * 2001-12-04 2001-12-29 공병석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KR20210141231A (ko) 2020-05-15 2021-11-23 (주)제이씨에스인터내셔날 선글라스 착탈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887B1 (en) Windproof glasses
KR200266482Y1 (ko)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JP3179613U (ja) 組み立てが容易でありながら、取り外し可能な眼鏡フレームを備える3d用眼鏡
KR101036432B1 (ko) 수지재 안경테의 조립구조
KR20150017133A (ko) 선택적으로 보조안경테를 탈, 부착 할 수 있는 안경
KR20010114197A (ko) 안경에 선글라스의 착탈구조
US7178916B1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eyeglasses and attachment sunglasses
KR200307409Y1 (ko) 안경에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200174219Y1 (ko) 안경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US20060244896A1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ornamental coupling structure
CN217606197U (zh) 一种眼镜结构
CN210109480U (zh) 一种眼镜支撑脚尾
KR200378698Y1 (ko) 고글용 보조안경의 착탈구조
CA2550670C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an eyeglasses and an attachment sunglasses
KR200341081Y1 (ko) 안경의 코다리 장착구조
KR200391518Y1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TWM557834U (zh) 多功能眼鏡
KR200174174Y1 (ko) 안경테의 코다리 결합구조
KR20180119814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
KR200251364Y1 (ko) 공구없이 분해 조립이 가능한 안경
CN209446909U (zh) 一种拆分镜脚连接结构
KR200338153Y1 (ko) 스키용 고글의 보조안경 착탈구조
TWM636324U (zh) 具嵌入式活動鉸鍊之眼鏡組合件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