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175B1 -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 Google Patents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175B1
KR101363175B1 KR1020120056044A KR20120056044A KR101363175B1 KR 101363175 B1 KR101363175 B1 KR 101363175B1 KR 1020120056044 A KR1020120056044 A KR 1020120056044A KR 20120056044 A KR20120056044 A KR 20120056044A KR 101363175 B1 KR101363175 B1 KR 101363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glasses
fastening
le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011A (ko
Inventor
전수영
Original Assignee
전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수영 filed Critical 전수영
Priority to KR1020120056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17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다리의 외측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모양이 구비된 장식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안경테 및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구가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장식구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에 숫단추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숫단추부의 반대편에는 암단추부가 구비되어, 상기 숫단추부와 상기 암단추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장식구가 상기 다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GLASSES HAVING DECORATING PARTS}
본 발명은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다리의 외측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모양이 구비된 장식구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약한 사람을 위한 도구로, 시력이 나쁜 사람의 시력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사용하여 시력을 보완해 주거나, 렌즈에 색채를 가미하여 시력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안경이 단순히 시력을 보완해 주는 데에 그치지 않고, 개성을 표출하는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즉, 시력이 나쁘지 않은 사람도 얼굴형상이나 인상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렌즈가 구비되지 않은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도 많다.
더 나아가, 시력의 좋고 나쁨을 떠나, 일단 안경을 착용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안경을 선택함에 있어서 디자인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안경을 제조하는 경우에 기능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디자인적인 측면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기 위한 디자인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개성을 중요시하는 젊은 층이나 연예인 등은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안경보다는 색다르고 특이한 형상의 안경을 구하려는 성향이 더욱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요자를 충족시키기 위한 안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의 다리부의 외측에 암단추부 또는 숫단추부를 구비하고, 장식구의 일측에 암단추부와 숫단추부 중 상기 다리부에 구비된 단추부와는 다른 단추부를 구비하여 상기 장식구가 상기 다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안경테 및 다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구가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장식구는,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에 숫단추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숫단추부의 반대편에는 암단추부가 구비되어, 상기 숫단추부와 상기 암단추부가 결합되면서 상기 장식구가 상기 다리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다리부에는 숫단추부가 구비되되, 상기 숫단추부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구비되며 최소한 한 쌍 이상의 체결홈이 구비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식구의 일측면에는 암단추부가 구비되되, 상기 암단추부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판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장식구는 상기 안경테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에 의하면, 다리부에 다양한 문양이나 장식이 구비된 장식구를 탈부착할 수 있어 하나의 안경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측단면도.
도 6은 안경테에 장식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200)가 구비된 안경은, 렌즈부(10)와 안경테(30) 및 다리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50)의 외측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장식구(200)가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장식구(200)는, 상기 다리부(5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200)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에 숫단추부(250)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50)의 외측면 또는 상기 장식구(200)의 일측면 중 어느 한쪽으로 상기 숫단추부(250)의 반대편에 암단추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가 결합되면서 다리부(50)의 외측에 다양한 모양이나 문양이 구비된 장식구(200)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는 장식구(200)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드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의 위치는 서로 반대쪽에 구비될 필요가 있다. 즉, 숫단추부(250)가 장식구(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면, 암단추부(100)는 다리부(5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숫단추부(250)가 장식구(200)의 일측면에 구비되면 암단추부(100)는 다리부(5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제조의 편의성과 숫단추부(250) 및 암단추부(100)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의 구체적인 형상은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다리부(50)의 외측면에 반구형의 포삽부가 구비되어 있고, 장식구(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포삽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삽입구를 상기 포삽부에 삽입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숫단추부(250)와 암단추부(100)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버튼단추 또는 스냅단추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은, 장식구(200)의 일측면 숫단추부(250)가 구비되고, 다리부(50)의 외측면에 암단추부(100)가 구비되어 있다.
암단추부(100)는 수용부(130)와 판스프링(150) 및 체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용부(13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홈이 소정의 깊이로 다리부(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수용부(130)의 개수는 후술하여 설명할 장식구(200)를 부착할 수 있는 개수를 의미한다.
판스프링(150)은 수용부(130)의 내측에 삽입되어 후술하여 설명할 장식구(200)를 압착하는 역할을 한다. 판스프링(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에 탄성력을 가진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판스프링(150)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일 뿐,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V자 형상의 판스프링(150)이 수용부(130)의 내측에 가로방향(개방부와 접합부가 수용부(130)의 양측면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가운데 부분이 휘어진 판스프링(150)의 굴곡부가 상기 수용부(130)의 외측방향이 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구조의 판스프링(150)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170)는 전술하여 설명한 수용부(130)의 입구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부(130) 보다는 작은 크기의 체결구멍(173)이 형성된 링(r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70)에는 최소한 한 쌍 이상의 체결홈(175)이 구비되어 있다.
숫단추부(250)는 장식구(20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숫단추부(250)는 삽입부(260)와 상기 삽입부(26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삽입돌기(270)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260)는 전술하여 설명한 체결부(170)에 구비된 체결구멍(173)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삽입부(260)가 체결구멍(173)에 삽입되면서 결합 된다. 삽입돌기(270)는 삽입부(26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전술하여 설명한 체결홈(175)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 및 개수로 구비된다.
장식구(200)의 타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모양의 장식이 구비될 수 있다. 장식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60)의 타측에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260) 및 체결구멍(173) 보다는 다소 크게 구비될 수 있다(이하 '돌출형 장식구'라 함). 그리하여 상기 돌출형 장식구(200)의 타측면에 다양한 모양의 동식물 또는 도형이 음각 또는 양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숫단추부(250)가 구비된 장식구(200)를 암단추부(100)에 체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구(2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숫단추부(250)를 다리의 외측에 구비된 암단추부(100)에 체결할 때, 삽입돌기(270)를 체결홈(175)에 일치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삽입한다. 그런 다음, 장식구(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삽입돌기(270)가 체결홈(175)과는 다른 위치에 되기 때문에 상기 장식구(200)가 상기 수용부(13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수용부(130)의 내부에 구비된 판스프링(150)은 상기 수용부(130)에 삽입되어 결합된 삽입부(260)의 일측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장식구(200)가 임의로 회전하여 빠지지 않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의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은, 전술하여 설명한 장식구(200)가 삽입부(26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이하 '내장형 장식구'라 함).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구(200)가 삽입부(260) 보다 크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260)와 장식구(200)와 동일한 지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장식구(200)는 다리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개성을 표출하기 위한 장식을 구비할 때에는 화려한 문양이나 장식이 구비된 돌출형 장식구(200)를 다리부(50)에 부착하고, 평상시에는 간단한 문양이 구비되거나 특별한 문양이 없는 내장형 장식구(20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문양이나 장식이 전혀 없는 내장형 장식구(200)를 부착하면 외관상 특별한 표시가 나지 않거나 원형이 배열된 형상으로만 보이기 때문에 점잖은 자리나 격식이 요구되는 자리에서도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안경테에 장식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은, 안경테(30)의 어느 한 부분에 장식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장식구(200)는 전술하여 설명한 다리부(50)와는 별도로 또는 다리부(50)와 안경테(30)에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콧등이 걸리는 위치에 장식구(200)가 구비된 상태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리부(50)가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 또는 안경알(10)의 상부 등 장식구(200)가 구비될 수 있는 최소한의 위치가 확보된다면 안경테(30)의 어느 다양한 위치에 장식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장식구(200)가 안경테(30)에 결합되는 방식이나 구조는 전술하여 설명한 다리부(50)에 장식구(200)가 결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렌즈부 30: 안경테
50: 다리부 100: 암단추부
130: 수용부 150: 판스프링
170: 체결부 173: 체결구멍
175: 체결홈 200: 장식구
250: 숫단추부 260: 삽입부

Claims (4)

  1. 삭제
  2. 안경테 및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외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장식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50)에는 암단추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암단추부(100)는 원형의 홈으로 구성된 수용부(130)와, 상기 수용부(130)의 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30) 보다는 작은 크기의 체결구멍(173)이 형성된 링 형상의 체결부(170)로 구성되되, 상기 체결부(170)의 내측 테두리에는 최소한 2개 이상의 체결홈(17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는 판스프링(15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구(200)의 일측면에는 숫단추부(250)가 구비되되, 상기 숫단추부(250)는 삽입부(260)와 상기 삽입부(26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체결홈(175)에 대응되는 형상과 개수로 구비되는 삽입돌기(270)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260)에 구비된 삽입돌기(270)가 상기 체결홈(175)을 통하여 상기 체결구멍(173)에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200)는 상기 삽입부(260)와 동일한크기로 구성되되, 상기 장식구(200)가 상기 다리부(5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200)는 상기 안경테의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KR1020120056044A 2012-05-25 2012-05-25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KR101363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44A KR101363175B1 (ko) 2012-05-25 2012-05-25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44A KR101363175B1 (ko) 2012-05-25 2012-05-25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1A KR20130132011A (ko) 2013-12-04
KR101363175B1 true KR101363175B1 (ko) 2014-02-13

Family

ID=4998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44A KR101363175B1 (ko) 2012-05-25 2012-05-25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75B1 (ko) * 2015-06-26 2016-07-05 (주)월드트렌드 큐빅 또는 보석이 장식된 안경
WO2020166730A1 (ko) * 2019-02-11 2020-08-20 김상현 탈부착 장식부를 가진 안경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60Y1 (ko) * 2000-08-25 2001-01-15 한중식 안면보호를 위한 안경의 구조
KR20090020128A (ko) * 2007-08-22 2009-02-26 김병길 장식 안경다리
KR20090072495A (ko) * 2007-12-28 2009-07-02 하재준 자석을 이용한 장식품 착탈식 안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60Y1 (ko) * 2000-08-25 2001-01-15 한중식 안면보호를 위한 안경의 구조
KR20090020128A (ko) * 2007-08-22 2009-02-26 김병길 장식 안경다리
KR20090072495A (ko) * 2007-12-28 2009-07-02 하재준 자석을 이용한 장식품 착탈식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011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721B2 (en) Interchangeable decorative arrangement for spectacles
US7540606B2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363175B1 (ko)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CN209265109U (zh) 一种儿童眼镜
JP2007199214A (ja) 装飾具
KR100913398B1 (ko) 장식 안경다리
US7178916B1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eyeglasses and attachment sunglasses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JP3112017U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
JP3124341U (ja) メガネフレーム等の装飾体
KR20150069149A (ko) 장식구 연결구조 및 장식용 클립
KR200326415Y1 (ko) 귀고리
KR20100003733U (ko) 교체가 용이한 안경다리
CN202075512U (zh) 一种带插片的眼镜
KR101974778B1 (ko) 착,탈식 장식물을 가진 안경다리
KR200467559Y1 (ko) 안경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110049534A (ko) 보조안경테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465690Y1 (ko) 장신구 모듈
KR200286695Y1 (ko) 안경용 렌즈 장식구조
KR200266375Y1 (ko) 다용도 장신구
WO2020166730A1 (ko) 탈부착 장식부를 가진 안경테
CN205267233U (zh) 一种用于珠宝首饰的子母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