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881Y1 - 급발진 예방장치 - Google Patents
급발진 예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881Y1 KR200183881Y1 KR2020000000891U KR20000000891U KR200183881Y1 KR 200183881 Y1 KR200183881 Y1 KR 200183881Y1 KR 2020000000891 U KR2020000000891 U KR 2020000000891U KR 20000000891 U KR20000000891 U KR 20000000891U KR 200183881 Y1 KR200183881 Y1 KR 2001838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rottle valve
- cable
- sudden
- air
- cable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02D2009/0201—Arrangements; Control features; Details thereof
- F02D2009/0272—Two or more throttles disposed in ser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3—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alternatively mechanically linked to the pedal or moved by an electric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흡입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급발진예방장치를 구성토록 한 것으로, 주요 구성은 드로틀밸브(1)에 인접하여 제 2 드로틀밸브(10)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와 악셀레이터 사이엔 제 2 케이블(14)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급발진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급발진 예방 또는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는, 여러 가지 많은 종류의 것이 나와 있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은 종래의 장치와는 구조 또는 개념과는 상이한 급발진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연소의 3 대 조건은 공기, 연료, 불꽃이다.
따라서 상기한 조건 중 한가지만 없어도 연소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가 없거나 공기가 부족하면 연료 공급이 많아도 연소가 불가능하다.
참고로 설명하면, 연료직접분사방식의 전자제어 자동차는 공회전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고 공회전 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는 실린더 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적절히 제어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드로틀 바디 내의 드로틀밸브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속을 시킨다는 것은 악셀레이터 패달을 밟아 드로틀 밸브를 열어주어 공기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드로틀 밸브 작동 감지 센서와 맵센서, 유입공기 온도센서 등의 신호가 엔진제어 장치에 입력되고 제어장치에서는 연료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지 않은 공회전 상태에서는 드로틀밸브는 아주 미세한 틈을 유지하며 닫혀 있는 상태에서 일정량의 공기가 연소실 내로 유입되고 있으며 공회전 속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나머지 공기는 우회 통로를 통하여 추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데 우회 통로에서는 공회전 속도 조절용 제어시스템에 의해서 작동되는 공기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도 1a 또는 도1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료직접분사 방식에서 공회전시, 필요한 공기는 드로틀밸브(1) 앞에서, 제어모터(2a)와 제어밸브(2b)로 이루어지는 공회전 속도조절 제어시스템(2)에 의해서 엔진본체(11)에서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공회전 속도제어는 흡입공기 유입통로에 설치되며 흡입 다기관의 공기 압력을 체크하는 맵 센서(MAP SENSEOR), Flow meter 또는 드로틀 밸브 열림각 감지센서와, 수온센서, 배기 다기관에 설치된 O2센서 등의 신호에 의하여 공회전 속도가 제어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맵센서나 드로틀밸브 작동센서, 수온센서 등의 불량으로 ECU(9) 에서 공기 흐름량이 공회전시 많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공회전 속도조절 제어시스템(2)의 작동 불량으로 흡입공기량이 증가하거나 수온센서의 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면 연료 공급량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고, 흡입공기는 드로틀 밸브(1)와 관계 없이 공회전시 공급되는 공기 통로(3)를 거쳐 공급되어 엔진의 회전수가 급상승하게 되며, 이에 운전자가 기어 변속을 하거나 자동변속기 제어장치(9) 의 제어 불량으로 기어가 들어가면 자동차는 운전자의 의도 또는 조작과 무관하게 급발진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악셀레이터에 의하여 드로틀밸브(1)를 개폐토록 연결하는 케이블(4)의 가이드(6)는 도 2 의 단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6)의 홈(7)에 설치되나 이 홈은 한쪽이 완전 개방된 홈(7)으로 되어 있어 외부의 요소에 의하여 가이드(6)에서 케이블(4)이 이탈되면 모든 센서 작동이 정상상태이고 악설레이터를 밟지 않아도 드로틀 밸브(1)가 열려 있는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역시 엔진의 회전수는 급상승하게 되고 기어 변속이 될 경우, 순간적으로 급발진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엔진의 연소는 흡입공기가 없이는 연소가 불가능한 점에 착안하여 공회전시 공급되는 공기 통로(3) 앞에 제 2 의 드로틀 밸브를 설치하고 악셀레이터를 밟았을때 기존의 드로틀 밸브(1)와 연동으로 작동하도록 하여 흡입공기를 제어함으로서 센서의 오동작이나 드로틀밸브의 작동 이상으로 인한 급발진 사고를 사전 예방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셀레이터와 연결되어 드로블밸브를 조절하는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급발진의 원인을 제거토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엔진에 급격한 흡입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공기압에 의해 작동하는 제 2 드로틀밸브를 설치하여 급발진을 막고, 제 2 드로틀밸브가 닫혀진 상태에서 형성된 틈새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나사를 설치하여 틈새를 통과하는 흡입공기의 량을 미세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홀더에 다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여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드로틀밸브 케이블 가이드의 단면 구성도
도 3 은 드로틀밸브를 조절하는 케이블과 그 케이블가이드의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16)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 드로틀밸브(1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닫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절나사가 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본 고안은 공기흡입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급발진예방장치를 구성토록 함에 있어, 드로틀밸브(1)에 인접하여 제 2 드로틀밸브(10)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와 악셀레이터 사이엔 제 2 케이블(14)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와 연결되는 케이블((4,14)이 이탈되지 않게 구성한 가이드(16)와,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정도와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 작동정도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나, 페달의 작동정도 신호값보다 드로틀밸브(1)의 값이 높으면 비정상상태임을 경보 장치를 통하여 알려 주게 구성한,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여부와 작동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드로틀밸브(1)의 작동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 및 특징에 관하여는 이하 첨부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이다. 두 도면의 예시는 결국 동일한 구조라 볼 수 있는 것이므로 편의상 도 1a 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공회전시 공급되는 공기통로(3) 전방에, 즉 드로틀밸브(1)로 들어가지 이전에 제 2 드로틀밸브(10)를 더 설치하였다. 이 제 2 드로틀밸브(10)는 기존의 드로틀밸브(1)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즉 기본 구조로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드로틀밸브와 함께 연결되어 드로틀밸브를 개폐토록 하는 제 2 케이블(14)과 이 케이블을 감싸는 가이드(16)를 설치한다. 가이드(16)는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구조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 와 같이 케이블(4,14)이 충분히 가이드(16)에서 벗겨지지 않게 구성하면 된다.
도 4 는 단지 예를 든 것으로 그 구조는 어떠한 구조이어도 상관없다.
이 제 2 케이블(14)은 악셀레이터와 연결된다.
이 제 2 케이블(14)은 종래의 케이블(4)과 함께 각각 악셀레이터와 연결되게 하거나 또는 기존의 케이블(4)과 연결하여 연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나 서보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토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다른 구성 예로는, 상기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가 닫혀지는 상태인 수직으로 세워져도 상하로 미세한 틈새(23)가 남아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역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 구성에서는 제 2 드로틀밸브(10)의 위치를 도시한 도 3 의 드로틀밸브(1) 우측 앞쪽에 위치하여도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드로틀밸브 자가진단장치도 설치된다.
이 자가진단장치는 감지부와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여부와 작동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기존의 드로틀밸브(1)의 열림정도 감지센서, 제 2 드로틀밸브(10) 열림 정도를 감지하는 작동감지 센서로 구성되어, 각각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이다.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하며 신호를 비교함으로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는 전자회로이며, 제어부의 출력으로서 운전자에게 엔진 회전수 급상승으로 인한 급발진 가능성을 문자나 음성으로 알리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정도와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 작동정도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나, 페달의 작동정도 신호값보다 기존 드로틀밸브(1)의 값이 높으면 비정상상태임을 경보 장치를 통하여 알려 주게 구성하여 사전에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은 등식이 성립된다.
페달 = 기존 드로틀밸브(1) = 제 2 드로틀밸브(10) ------- 정상적인 상태
패달 〈 기존 드로틀밸브(1) 〉 제 2 드로틀밸브(10) ----- 이상상태
패달 = 기존 드로틀밸브(1) 〈 제 2 드로틀밸브(10) ------ 예방점검
또한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것을 실수로 악셀레이터를 밟아 오동작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속도가 소정의 설정값, 단지 한 예를 들면 차량이 40km 이하인 상태에서 악셀레이터를 끝까지 깊게 밟으면 엔진이 정지되게 구성된다. 이는 차량이 서행 상태에서 급출발하는 것도 방지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어 급출발로 인한 안전사고의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된다.
또한, 페달의 작동정도 보다 드로틀 밸브(1)의 작동 정도가 커지면, 제 2 드로틀 밸브(10) 역시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 정도에 따라 작동되기 때문에 엔진의 작동에는 이상이 없으나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보내 점검후 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운전을 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으로 부터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드로틀밸브(10)는 공회전시 필요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며, 엔진 공회전시 에어콘 작동 등에 의한 엔진 부하량이 증가할 경우엔 기존의 공회전 속도조절 장치가 공회전 속도를 제어하게 되지만 드로틀 밸브의 이상으로 기존의 드로틀 밸브가 열려 있거나 각종 센서의 이상으로 공회전 속도조절 장치가 작동 이상이 발생하여 흡입공기가 많이 빨려 들어가 엔진의 회전수가 증가하려 하여도 제 2 드로틀 밸브(10)는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는 한 결코 열려지지 않으므로 제 2 드로틀 밸브(1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 공기의 양이 극히 제한되어 있어 결코 엔진의 회전수 증가는 일어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급발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드로틀 밸브(10)는 급격한 공기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으로 움직이는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의 상기 제 2 드로틀 밸브(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홀더(22)와, 스프링(24)과, 회전축(26)과, 드로틀바디(28)와, 디스크(30) 및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 2 드로틀 밸브(10)의 구성은 드로틀 밸브(1)나 그 이외의 각종 드로틀 밸브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케이블홀더(22)는, 자동차의 악셀레이터에 연결된 케이블(4,14)과 상기 케이블(4,14)의 단부에 고정된 케이블뭉치(5)가 착탈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홀더(22)는 케이블(4,14)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케이블(4,14)이 연결된 케이블뭉치(5)가 삽입되는 걸림홈(22a)이 상기 케이블홀더(22)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도면에서는 일례로서 3개를 도시함)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4,14)의 장력이 약해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케이블뭉치(5)를 상기 케이블홀더(22)의 전방 걸림홈(22a)에서 분리하여 후방의 걸림홈(22a)에 이동함으로써 케이블 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케이블(4,14)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케이블홀더(22)를 비틀림 탄성지지하여 악셀레이터 패달을 밟지 않을 때 제 2 드로틀밸브가 닫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양단부에 각각 상기 스프링(24)을 고정하는 원통형 지지대(25)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6)은, 일측단부가 상기 스프링(24)을 지나 상기 케이블홀더(22)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4,14)의 밀고, 당김에 따라 축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6)의 타측단부는 상기 드로틀바디(28)를 관통하여 베어링메탈(29)에 의해 회전지지된다.
여기서, 악셀레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26)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블(4,14)과, 케이블홀더(22) 및 스프링(24)과 같은 기구들로 조립되는 기계식 장치와는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상기 악셀레이터를 밟으면 이를 감지한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인가받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로터리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식 장치로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회전축(26)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상기 회전축(26)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링(31)을 장착한다.
또한, 상기 드로틀바디(28)는, 상기 스프링(24)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6)을 회전지지하며, 상기 흡입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역할을 하는 짧은 파이프형상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30)는, 상기 드로틀바디(28)의 내경을 막고, 상기 회전축(26)에 고정되어 회전축(26)의 회전에 따라 축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26)이 케이블(4,14)의 밀고 당김에 따라 회전하면 상기 드로틀바디(28)에 대한 각도가 변하면서 흡입공기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디스크(30)는 내부에 공기가 소통되도록 관통구(30a)가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서,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는, 이러한 디스크(30)의 관통구(30a)에 설치된다.
즉,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는, 급격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압력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디스크(30)에 형성된 관통구(30a)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30a)와 대응하는 원판형상이고, 일측에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가 상기 관통구(30a)로부터 항상 떨어져 있도록 스프링(32)이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의 전후진운동을 안내하도록 이를 둘러싸는 형상의 가이드부재(34)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는, 중심부에 전후진축(20a)이 형성되어 전후진축(20a)의 미끄럼운동으로 상기 디스크(30)의 관통구(30a)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전후진축(20a)의 일측은 상기 디스크(30)에 나사고정되는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중심홀(34a)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축(26)의 중심홀(26a)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아서 상기 악셀레이터와 케이블(4,14)로 연결된 제 2 드로틀 밸브(1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가 상기 스프링(32)의 복귀력에 의해 전진상태로 항상 열려있기 때문에 엔진의 공회전에 필요한 충분한 흡입공기가 천천히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즉 제 2 드로틀 밸브(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엔진의 이상현상으로 엔진의 급발진에 필요한 흡입공기가 고속으로 본 고안의 제 2 드로틀 밸브(10)를 통과하고자 할 경우, 급속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압력을 받아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가 상기 스프링(24)의 복귀력을 이기고 후진하면서 상기 관통구(30a)를 막아 급발진에 필요한 더 이상의 흡입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급겨간 엔진 회전수의 상승을 막아 급발진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의 닫힘 상태에서 엔진이 완전히 꺼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30)와 상기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가 닫혀진 상태에서 공회전에 필요한 흡입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크(3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30)가 접촉하는 상기 드로틀바디(28)의 내경 일측에 흡입공기가 우회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관통구(28a)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통구(28a)에 상기 수직관통구(28a)의 깊이를 조절하도록 나사전후진이 가능한 조절나사(36)를 설치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절나사(36)를 조절함으로써 엔진이 꺼지지 않을 정도의 필요 흡입공기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조절나사의 형태 및 종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기술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들에 의하면 급발진 사고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들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작동이 거의 기계적인 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전자파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작동이 매우 정확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7)
- 공기흡입량을 조절하여 엔진의 회전수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급발진예방장치를 구성토록함에 있어, 드로틀밸브(1)에 인접하여 제 2 드로틀밸브(10)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와 악셀레이터 사이엔 제 2 케이블(14)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제 2 드로틀밸브(10)는 상기 드로틀밸브(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의 작동을 위하여 연결하는 케이블(4,14)은 가이드(16)에서 벗어나지 않게 케이블을 감싸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정도와 드로틀밸브(1) 및 제 2 드로틀밸브(10) 작동정도가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면 정상으로 판단하나, 페달의 작동정도 신호값보다 드로틀밸브(1)의 값이 높으면 비정상상태임을 경보 장치를 통하여 알려 주게 구성한, 악셀레이터 페달의 작동여부와 작동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드로틀밸브(1)의 작동정도를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군을 포함하며, 마이콤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센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자가진단기능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로틀밸브(10)는 케이블이 고정되는 케이블홀더(22)와, 상기 케이블(4,14)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일측이 상기 케이블홀더(22)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홀더(22)를 비틀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4)과, 상기 케이블홀더(22)와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4,14)의 장력에 따라 축회전하는 회전축(26)과, 상기 스프링(24)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26)을 회전지지하는 드로틀바디(28)와, 상기 드로틀바디(28)의 내경을 막고, 상기 회전축(26)에 의해 축회전하는 디스크(30) 및 급격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압력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디스크(30)에 형성된 관통구(30a)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30a)와 대응하는 형상이고, 일측에 스프링(32)과 타측에 가이드부재(34)가 설치되어 전진 상태로 탄설지지되는 전후진이 가능한 구조의 원판형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22)는 케이블(4,14)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상기 케이블(4,14)이 연결된 케이블뭉치(5)가 삽입되는 걸림홈(22a)이 상기 케이블홀더(22)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바디(28)는, 제 2 드로틀 밸브(10)와 흡입공기량제어마개(20)가 닫혀진 상태에서 공회전에 필요한 ??입공기량이 통과할 수 있는 틈새의 간격이 미세 조절되도록 상기 제 2 드로틀 밸브(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30)가 접촉하는 내경의 일측에 수직관통구(28a)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관통구(28a)에 나사전후진이 가능한 조절나사(36)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발진 예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0891U KR200183881Y1 (ko) | 1999-06-17 | 2000-01-13 | 급발진 예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0787 | 1999-06-17 | ||
KR19990010787 | 1999-06-17 | ||
KR2020000000891U KR200183881Y1 (ko) | 1999-06-17 | 2000-01-13 | 급발진 예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3881Y1 true KR200183881Y1 (ko) | 2000-06-01 |
Family
ID=2663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0891U KR200183881Y1 (ko) | 1999-06-17 | 2000-01-13 | 급발진 예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88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998B1 (ko) * | 2012-09-06 | 2014-06-17 | 자동차부품연구원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2000
- 2000-01-13 KR KR2020000000891U patent/KR2001838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7998B1 (ko) * | 2012-09-06 | 2014-06-17 | 자동차부품연구원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76003B1 (en) | Fail-safe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engines | |
CA2630614C (en) | Engine air intake shut off valve | |
US5048482A (en) | Device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5408871A (en) | Idle air control system diagnostic | |
KR200183881Y1 (ko) | 급발진 예방장치 | |
CA2010361C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number of idle rotation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0148840B1 (ko) | 아이들제어밸브의 진단장치 | |
US5408969A (en) | System for detecting abnormalities | |
US5881695A (en) | Throttle valve system | |
US5927250A (en) | Car throttle controller | |
KR102041738B1 (ko) | 차량용 비상 제동 장치 | |
US5746174A (en) | Diagnostic system for pressure switch | |
WO1996034194A2 (en) | Automatic valve for the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3848475B2 (ja) | 自動車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および燃料制御装置 | |
US4347817A (en) | Idle circuit shut-off valve | |
KR100229157B1 (ko) | 자동차의 iacv 자기고장 진단방법 | |
KR200164439Y1 (ko) | 급발진예방장치 | |
US6167873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EGR valve of diesel engine and method | |
KR200164447Y1 (ko) | 급발진예방장치 | |
JPS6380026A (ja) | エンジンの吸気装置 | |
KR20010012042A (ko) | 급발진 예방장치 | |
KR100272691B1 (ko) | 아이들 스피드 제어 고장 판단 방법 | |
KR20030033264A (ko) |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방법 | |
KR100357570B1 (ko) |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 |
KR100325227B1 (ko) | 자동 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31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