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774Y1 - 차량용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차량용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774Y1
KR200183774Y1 KR2019970038505U KR19970038505U KR200183774Y1 KR 200183774 Y1 KR200183774 Y1 KR 200183774Y1 KR 2019970038505 U KR2019970038505 U KR 2019970038505U KR 19970038505 U KR19970038505 U KR 19970038505U KR 200183774 Y1 KR200183774 Y1 KR 200183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ns
connection terminal
terminal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974U (ko
Inventor
전두용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한국유니온머시너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한국유니온머시너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70038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7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를 차량의 콘트롤러에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차종에 따라 3핀에서부터 21핀에 이르는 모든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접속단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차량용 접속단자는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의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을 잡아주는 단자홀을 가지는 헤드부와, 차량의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의 갯수에 따라 단자홀의 갯수가 달리 형성된 바디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접속단자
본 고안은 차량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를 차량의 콘트롤러에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용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각종 편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파워 윈도우장치, 도어 자동 잠금장치, 사이드 미러 자동 작동장치 및 도난방지기 시스템 등등의 편의장치들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에 설치된 편의장치에는 다수개의 전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전선들은 차량의 메인 콘트롤러에 연결된 전선들과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도어의 편의장치들을 콘트롤러에 접속(연결)시킬 때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가 사용된다. 즉, 차량의 도어 102에 설치된 편의장치들에는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전선 110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의 대시보드 104에는 메인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 108들이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선 110과 108은 헤드부와 바디부로 구성된 접속단자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진다.
상기 종래의 접속단자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102의 편의장치와 연결된 전선 110의 핀들이 끼워지는 헤드부 10과, 차량의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 108의 핀들이 끼워지는 바디부 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 10과 바디부 12는 사출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의무적으로 21핀 단자로 정해져 제작된다. 상기 헤드부 10의 외측 상/하면과 좌/우측면에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는 걸림턱 14a와 14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 10의 정면에는 전선 110에 있는 18핀들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단자홀 18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홀 18의 일측에는 상기 전선 110에 부착된 나머지 3핀들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단자홀 16이 아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 12의 전면에는 전선 108에 부착된 핀들이 결합되도록 오픈되어 있다. 즉, 상기 전선 108의 핀들이 바디부 12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전선 108의 핀들은 헤드부 10에 형성된 단자홀 16,18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전선 110의 핀들과 접속된다.
상기 헤드부 10의 일측에는 주름져 형성된 고무관 20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무관 20은 방수기능 및 도어 102를 열고/닫을 때 전선 1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접속단자는 헤드부와 바디부가 사출물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가 무조건 21핀으로 제작됨으로써 차종에 따라 제약을 받는다. 즉, 차종에 따라서는 10핀, 8핀, 5핀, 15핀 등 다양한 접속단자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접속단자는 단지 21핀만 수용 가능함으로써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핀들이 접속단자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예상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종에 따라 3핀에서부터 21핀에 이르는 모든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접속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헤드부와 바디부를 별도로 구성하여 차종에 따라 적합한 바디부를 헤드부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접속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접속단자는 차량용도어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의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을 잡아주는 단자홀을 가지는 헤드부와, 차량의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의 갯수에 따라 단자홀의 갯수가 달리 형성된 바디로 구성되어 차종에 따라 상기 바디를 선택하여 상기 헤드부에 삽입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도어에 사용되는 자동 편의장치용 접속단자의 설치 위치 및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차량용 접속단자가 차체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바디부와 헤드부가 분리된 차량용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헤드부 52 : 제1단자홀
54 : 돌출단 56 : 삽입구멍
58a,58b : 걸림턱 60 : 바디부
62 : 끼움턱 64 : 제2단자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힌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바디부와 헤드부가 분리된 차량용 접속단자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4도를 참조하면, 차량용 도어 102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와 연결된 전선 110의 핀들이 끼워지는 헤드부 50과, 차량의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 108의 핀들이 끼워지는 바디부 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 50과 바디부 60은 각각 별도의 사출물로 제작된다. 상기 헤드부 50의 외측상/하면과 좌/우면에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는 걸림턱 58a와 58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 58a,58b는 바디부 60이 결합된 헤드부 50을 차체 프레임 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헤드부 50의 내부 정면에는 전선 110에 부착된 21핀들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제1단자홀 52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 50의 내측 좌/우 벽면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멍 56을 형성하기 위해 돌출단 54가 디긋자 모양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단 54는 삽입구멍 56을 형성하여 바디부 60이 헤드부 50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 60의 외측 좌/우면에는 상기 돌출단 54와 같은 위치에 있는 끼움턱 6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턱 62는 상기 돌출단의 삽입구멍 56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부 60을 헤드부 50에 고정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바디부 60의 전면에는 소정 크기의 제2단자홀 64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2단자홀 64는 전선 108에 부착된 핀의 갯수에 따라 1개, 3개, 5개, 혹은 그 이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부 60은 차종에 따라 3핀에서부터 21핀까지 종류별로 제작되며, 예를 들어, 3핀 차종에는 3핀의 갯수에 맞도록 제작된 바디부 60을 헤드부 50에 고정 결합시켜 사용하고, 10핀 차종에는 10핀의 갯수에 맞도록 제작된 바디부 60을 헤드부 50에 고정 결합시켜 사용하고, 21핀 차종에는 21핀의 갯수에 맞도록 제작된 바디부 60을 헤드부 50에 고정 결합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 50에는 주름져 형성된 고무관 20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고무관 20은 전선 110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102를 열고/닫을 때 전선 110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경감시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속단자의 헤드부와 바디부를 각각 별도로 제작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즉, 3핀에서부터 21핀에 이르는 다양한 접속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차종에 따라 가장 적합한 접속단자의 바디부를 채택하여 헤드부에 삽입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접속단자에 끼워진 핀들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장 바람직하고 경제적인 접속단자를 구현할 수 있다.

Claims (1)

  1.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의 전선들과 차량의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들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각종 편의장치의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을 잡아주는 단자홀을 가지는 헤드부와, 상기 콘트롤러와 연결된 전선들로부터 돌출된 핀들의 갯수에 따라 단자홀의 갯수가 달리 형성된 바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접속단자.
KR2019970038505U 1997-12-11 1997-12-11 차량용 접속단자 KR200183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05U KR200183774Y1 (ko) 1997-12-11 1997-12-11 차량용 접속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505U KR200183774Y1 (ko) 1997-12-11 1997-12-11 차량용 접속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74U KR19990025974U (ko) 1999-07-15
KR200183774Y1 true KR200183774Y1 (ko) 2000-06-01

Family

ID=1951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505U KR200183774Y1 (ko) 1997-12-11 1997-12-11 차량용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7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89B1 (ko) 2012-08-31 2013-11-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89B1 (ko) 2012-08-31 2013-11-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74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7362A (en) Connector
JP6559723B2 (ja) 照明ユニット
JP3672817B2 (ja) 補器のコネクタ装着構造
JPH1028311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200183774Y1 (ko) 차량용 접속단자
US5224876A (en) Electrical connector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US6095831A (en) Electrical connector mating structure
KR101344778B1 (ko) 패널 고정식 커넥터
JPH0582037B2 (ko)
KR0130801Y1 (ko)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구
US20020146936A1 (en) Electric connector, particularly for vehicles
JP4361474B2 (ja) 電気回路ユニットと電気接続箱との着脱方法および着脱構造
KR1006323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ES2223667T3 (es) Adaptador de pasaje y conectador de enchufes para un adaptador de pasaje.
JP2001136634A (ja) 電気接続箱
KR101821107B1 (ko) 스위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KR200268974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홀더의 씰 구조
JP2957063B2 (ja) 電気接続箱
KR100408602B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KR200226904Y1 (ko) 자동차용 커넥터의 터미널 고정구조
KR200271224Y1 (ko) 자동차 도어용 플러그 커넥터 구조
KR100522476B1 (ko)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 구조
KR200271223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단자 접속구조
KR200271225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