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672Y1 -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 Google Patents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672Y1
KR200183672Y1 KR2019990028045U KR19990028045U KR200183672Y1 KR 200183672 Y1 KR200183672 Y1 KR 200183672Y1 KR 2019990028045 U KR2019990028045 U KR 2019990028045U KR 19990028045 U KR19990028045 U KR 19990028045U KR 200183672 Y1 KR200183672 Y1 KR 200183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wheel
track
wheel drive
dri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업
Original Assignee
노수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수업 filed Critical 노수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62D55/0655Articulated endless 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16Attitude or position control of chassis by action on suspension, e.g. to compensate for a sl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차량과 특수차량으로 제한,적용되는 주행수단(휠과 궤도)을 상호 복합적인 조합형태로 접목시켜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부여되게 하므로서, 차종 및 각종 지면환경에 구애받음 없이 광범위한 주행기능을 행하도록 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 다른 목적으로는 다 관절구조를 취하는 링크연결에 의해 휠과 궤도를 한쌍의 조합구성으로 설치하고,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 대칭구조로 승,하강되는 시이소의 작용원리를 부여되게 하므로서, 험준한 굴곡지형으로 부터 계단등과 같은 급경사 장애물에 이르기까지 손쉽게 주행,극복할수 있도록 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휠과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1주행수단과, 휠과 전륜동력기어와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2주행수단을 궤도와 전방 링크연결대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고, 그 일측에 완충수단을 구비되게 한 전륜구동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전륜구동부의 후측으로, 각 휠과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3주행수단과, 제 4주행수단, 그리고 또 다른 휠과 후륜구동기어와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5주행단을 궤도와 후방 링크연결대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고, 그 일측에 완충수단을 구비되게 한 후륜구동부를 형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Wheel and rail track driving equipment}
본 고안은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차량용 주행수단인 휠과, 특수차량(군사용 및 각종 산업응용 분야의 차량 등)용 주행수단인 궤도를 상호 복합적인 조합형태로 접목하여,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부여되게 하므로서, 각종 지형조건에 구애받음 없이 광범위한 주행기능을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와같은 주행기능에 따라 일반차량으로 부터 각종 특수차량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할수 있도록 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장치로는 크게 휠을 이용한 방식과 궤도를 이용한 방식이 이용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주행장치에 있어, 휠을 이용한 방식은 통상 자동차와 같은 일반차량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궤도를 이용한 방식은 군사용 전투차량 내지 굴삭기등과 같은 각종산업분야의 특수차량에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같은 주행장치에 있어, 먼저 휠을 이용한 방식은 도 1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엔진구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퍼미션(10)을 중심으로 그 전,후방에 프로펠러샤프트(20)를 설치하고, 이 프레펠러샤트(20)에 의한 회전동력을 전,후방의 각 휠(30)로 전달하여 차량을 주행되도록 한 디퍼렌셜기어(40)와 드라이버 샤프트(50)를 구비되도록 하여 형성한 것이다.(4륜구동 기준)
하지만, 상기와 같이 휠을 이용한 주행장치는 차량을 조작함에 있어, 조정의 안전성과 함께 고속주행을 가능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정비상태가 양호한 일반도로에서나 발휘되는 기능일뿐, 험준한 산악지형 내지 장애물지역(계단 등) 또는 겨울철 적설량이 많은 지형 및 사막등과 같은 야지에서는 그 주행기능을 제대도 수행하지 못한체, 차량을 미끄럼되게 하거나 심지어 전복되게 하는 등, 상당한 주행 안전성의 문제점을 내재시키게 되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안정성 및 등판능력의 부재로서 늪지 내지 장애물에 차량이 고립되었을 경우, 이를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고 외부에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상당한 견인력 부재의 문제점을 상존시키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종래의 궤도를 이용한 주행장치는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은 구성으로서 전방에 주행동력을 전달하는 기동륜(60)을 장착하고, 이러한 각 기동륜의 내측 저면과 상부로 다수개의 보기륜(70)과 지지륜(80)을 설치하여, 그 외측면에 안내핀(P)을 구비한 띠 형상의 궤도(0)를 감착되게 하므로서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종래 궤도주행장치는 전술한 휠을 이용한 주행장치에 비하여 접지압이 작고 견인력이 뛰어나 험준한 산악 또는 야지등에서 장애물 극복이 용이한 주행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궤도가 구동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상당한 동력소모를 요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주행시 지면과 마찰되는 궤도의 주행소음과 진동발생에 의해 승차감 저하 및 궤도이탈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소음 및 심각한 진동발생의 문제점으로 인해 고속주행을 불가하게 되는 상당한 주행상의 문제점 또한 내재하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휠 내지 궤도를 이용한 주행장치는 각 독립적인 설치형태로서 일반차량과 특수목적 차량으로 분리, 상호 제한적인 특성에 따라 그 적용범위를 한정하게 하는 것이었던바, 이에 도로환경에 구애받음 없는 다목적인 주행기능으로서 그 적용범위를 범용화되도록 한 주행장치의 개발을 절실한 해결과제로 남게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이용되고있는 각종 주행장치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차량과 특수차량으로 제한,적용되는 주행수단(휠과 궤도)을 상호 복합적인 조합형태로 접목시켜 선택적인 구동관계를 부여되게 하므로 서, 차종 및 각종 지면환경에 구애받음 없이 광범위한 주행기능을 행하도록 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다 관절구조를 취하는 링크연결에 의해 휠과 궤도를 한쌍의 조합구성으로 설치하고,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 대칭구조로 승,하강되는 시이소의 작용원리를 부여되게 하므로서, 험준한 굴곡지형으로 부터 계단등과 같은 급경사 장애물에 이르기까지 손쉽게 주행,극복할수 있도록 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휠과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1주행수단과, 휠과 전륜동력기어와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2주행수단을 궤도와 전방 링크연결대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고, 그 일측에 완충수단을 구비되게 한 전륜구동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전륜구동부의 후측으로, 각 휠과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3주행수단과, 제 4주행수단, 그리고 또 다른 휠과 후륜구동기어와 궤도륜을 일체로 한 제 5주행단을 궤도와 후방 링크연결대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고, 그 일측에 완충수단을 구비한 후륜구동부를 형성시키므로서 달성된다.
도 1은 휠을 이용한 종래 주행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궤도를 이용한 종래 주행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부분생략사시도
도 4는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5 와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주행상태도
도 6은 도 4의 A부분으로 내설된 클러치의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후륜구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주행수단 2 : 제 2주행수단 3 : 전륜동력축
4,9,9' : 완충수단 5 : 제 3주행수단 6 : 제 4주행수단
7 : 제 5주행수단 8 : 후륜동력축 11,21,51,61,71 : 휠
12,23,52,62,73 : 궤도륜 22 : 전륜구동기어 24,74 : 클러치
31,81 : 조인수단 32,82 : 동력연결수단 72 : 후륜구동기어
91' : 고정축 100 : 궤도 D : 전륜구동부
R : 후륜구동부 L : 전방 링크연결대 L' : 후방링크연결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부분생략사시도이고, 도 4는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5와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의 주행상태도이고, 도 6은 도 4의 A부분으로 내설된 클러치의 개략도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 1주행수단(1)과, 제 2주행수단(2)과, 전방 링크연결대(L)와, 전륜동력축 (3)과, 완충수단(4)을 상호 조합하여 전륜구동부(D)를 형성하고, 제 3주행수단(5)과, 제 4주행수단(6)과, 제5주행수단(7)과, 후방 링크연결대(L')와, 후륜동력축(8)과, 완충수단(9)을 상호 조합하여 후륜구동부(R)를 형성하므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륜구동부(D)를 이루는 제 1주행수단(1)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휠(11)과 궤도륜(12)을 1개조로 하여 일체화 구성한 것으로, 그 구성형태는 외측면으로 휠(11)을 위치되도록하고, 이 휠(11)과 대향되는 내측면으로 궤도륜(12)을 위치되도록하여 베어링(도시생략)등과 같은 미끄럼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자유회전운동관계를 갖도록 하되, 전술한 휠(11)과 궤도륜(12)의 직경(크기)은 도 4의 부분확대도록 도시된 바와같이 궤도륜(12)을 휠(12) 직경에 비하여 일정길이(ℓ)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D)를 이루는 제 2주행수단(2)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휠(21)과, 전륜구동기어(22)와 궤도륜(23)을 1개조로하여 일체화 구성한 것으로, 그 구성형태는 외측면으로 휠(21)을 위치되도록하고, 이 휠(21)과 대향되는 내측면으로는 궤도륜(23)을 위치되도록하며, 이러한 휠(21)과 궤도륜(23)의 사이로 전륜구동기어(22)를 위치되도록 하되, 전술한 휠(21)과, 궤도륜(23)과, 전륜구동기어(22)의 직경(크기)은 도 4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궤도륜(23)을 휠(21) 직경에 비하여 다소 작게형성하고, 재차 이러한 궤도륜(23) 직경에 비하여 전륜구동기어(22)의 직경을 순차적으로 일정길이(ℓ')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때 전술한 제 2주행수단(2)은 엔진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와같이 전달되는 엔진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며 휠(21)과 궤도륜(23)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수 있도록 제 2주행수단의 내부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클러치 (24)를 내설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D)를 이루는 전방 링크연결대(L)는 전술한 제 1주행수단(1)과, 제 2주행수단(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와같은 전방 링크연결대 (L)는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자유절곡운동이 가능한 한쌍의 관절연결 구조를 취하며, 전술한 제 1, 제 2 주행수단(1)(2)의 내,외측을 상호 대칭구조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D)를 이루는 전륜동력축(3)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조인수단(31)에 의해 엔진구동축(S)과 연결되어 주행동력을 전달하게되는 동력전달체로서, 이와같은 전륜동력축(3)은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술한 한쌍의 전방 링크연결대(L)를 횡가 고정되게하는 구조로 그 중앙부에 체인등과 같은 동력연결수단(32)을 구비되게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D)를 이루는 완충수단(4)은 전술한 전륜동력축(3)과 연계되어 주행충격을 완화시키게되는 구성으로서, 이와같은 완충수단(4)은 일반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복합 유기압 현수장치, 즉 쇽 업쇼버, 가스스프링 또는 완충스프링등을 선택적으로 적용,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륜구동부(R)를 이루는 제 3주행수단(5)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휠(51)과 궤도륜(52)을 1개조로 하여 일체화 구성한 것으로, 그 구성형태는 외측면으로 휠(51)을 위치되도록하고, 이 휠(51)과 대향되는 내측면으로 궤도륜(52)을 위치되도록하여 베어링(도시생략)등과 같은 미끄럼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자유회전운동관계를 갖도록 하되, 이러한 휠(51)과 궤도륜(52)의 직경(크기)은 전술한 제 1주행수단과 같이 궤도륜(52)을 휠(51) 직경에 비하여 일정길이(ℓ)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부를 이루는 제 4주행수단(6)은 전술한 제 3주행수단(5)과 같이 그 외측면으로 휠(61)을 위치되도록하고, 이러한 휠(61)과 대칭되는 내측면으로 궤도륜(62)을 위치되도록하여 베어링(도시생략)등과 같은 미끄럼연결수단에 의해 상호 자유회전운동관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때 특히 제 4주행수단(6)은 도 3내지 후술기재에 의해 알수 있듯이 각 주행수단(5)(7)의 궤도(100)를 상호연결되게하는 매개체 기능을 행하게 되므로, 이에,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궤도륜(62)의 구성을 복수개로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부(R)를 이루는 제 5주행수단(7)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휠(71)과 후륜구동기어(72)와 궤도륜(73)을 1개조로 한 일체화 구성으로, 그 구성형태는 외측면으로 휠(71)을 위치되도록하고, 이 휠(71)과 대향되는 내측면으로는 궤도륜(73)을 위치되도록하며, 이러한 휠(71)과 궤도륜(73)의 사이로 후륜구동기어(72)를 위치되도록 하되, 전술한 휠(71)과, 궤도륜(73)과, 후륜구동기어 (72)의 직경(크기)은 상기 제 2주행수단(2)과 동일한 구성형태로서, 도 4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같이 궤도륜(73)을 휠(71) 직경에 비하여 다소 작게형성하고, 이러한 궤도륜(73) 직경에 비하여 후륜구동기어(72)의 직경을 재차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때 전술한 제 5주행수단(7)은 엔진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으로, 이와같이 전달되는 엔진동력을 필요에 따라 단속하며 휠(71)과 궤도륜(73)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수 있도록 제 5주행수단(7)의 내부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클러치(74)를 내설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같은 구성은 상기 전륜구동부(D)의 제 2주행수단(2) 구성과 상이함이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부(R)를 이루는 후방 링크연결대(L')는 전술한 제 3주행수단(5)과, 제 4주행수단(6)과, 제 5주행수단(7)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와같은 후방 링크연결대(L')는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자유절곡운동이 가능한 관절연결구조를 취하도록하여, 전술한 제 3, 제 4, 제 5주행수단 (5)(6)(7)의 내,외측을 상호 대칭구조로 연결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부(R)를 이루는 후륜동력축(8)은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조인수단(81)에 의해 엔진구동축(S)과 연결되어 주행동력을 전달되게하는 동력전달체로서, 이와같은 후륜동력축(8)은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후방 링크연결대(L')를 횡가 고정되게하는 구조로 그 중앙부에 체인등과 같은 동력연결수단(82)을 구비하므로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같은 후륜동력축(8)은 전술한 전륜구동부(D)의 전륜동력축(3) 구성과 상이함이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륜구동부(R)를 이루는 완충수단(9)은 전술한 후륜동력축(8)과 연계되어 주행충격을 완화시키게되는 구성으로서, 이와같은 완충수단(9)은 일반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복합 유기압 현수장치, 즉 쇽 업쇼버, 가스스프링 또는 완충스프링등을 선택적으로 적용,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이 또한 상기 전륜구동부(D)의 완충수단(4)과 상이함이 없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와같은 완충수단(9)을 후륜구동부(R)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3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은 복수개의 구성으로하여, 그 일측 완충수단(9)은 전술기재와 같이 후륜동력축(8)과 연계되도록하고, 타측 완충수단(9')은 고정축(91')에 연결된 구조로서 상기 제 3주행수단(5)과 제 4주행수단(6)을 연결하는 후방 링크연결대(L')의 중앙부위로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그 설치형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각 완충수단의 하단부를 링크연결구조로 하여 차량주행시 전달되는 주행충격 및 방향 변화에 대하여 일정한 유격변화로서 적절히 대응할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상호 결합함에 있어서는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주행수단(1)과 제 2주행수단(2)을 전방 링크연결대(L)에 의해 상호 연결하고, 그 연결부위 중앙으로 전륜동력축(3)을 횡가 설치하여 동력연결수단(32)에 의해 전륜구동기어(22)와 동력연결시키며, 이러한 전륜동력축(3) 후단에 완충수단(4)을 결합시킨 형태로 통상의 엔진동력축(S)과 조인수단(31)에 의해 체결시키므로서 전륜구동부(D)를 형성한다.
한편,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륜구동부(D)의 후측으로 제 3, 제 4, 제 5주행수단(5)(6)(7)을 순차적으로 배열, 후방 링크연결대(L')에 의해 상호 연결한 후, 제 3주행수단(5)과 제 4주행수단(6) 연결부위 중앙으로 완충수단(9')을 연결한 고정축(91')를 횡가설치하고, 제 4주행수단(6)과 제 5주행수단(7) 연결부위 중앙으로 후륜동력축(8)을 횡가 설치하여 동력연결수단(82)에 의해 후륜구동기어(72)와 동력연결시키며, 재차 이러한 후륜동력축(8) 후단에 완충수단(9)을 결합하여 엔진동력축(S)과 조인수단(81)에 의해 체결시키므로서 후륜구동부(R)를 형성하게 되는 것인바, 이때, 전술한 제 1, 제 2주행수단(1)(2)의 각 궤도륜(12)(23)과, 제 3, 제 4, 제 5주행수단(5)(6)(7)의 각 궤도륜(52)(62)(73)은 도 3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같이 띠 형상을 취하며 안내핀(P)을 갖는 궤도(100)에 의해 연결되므로서 완성된 형태의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때 상기 각 궤도륜(12)(23)(52)(62)(73)을 연결하는 궤도(100)는 유연성과 내마모성을 갖도록 철심(도시생략)등 각종 강성증가부재를 함유시켜 형성되게한 합성수지재의 궤도(100)를 적용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 겸용 주행장치의 구동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스팔트와 같이 도로정비가 양호한 지면을 주행할 경우, 전,후륜 구동부(D)(R)의 클러치(24)(74)를 도 6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단속하여 제 2주행수단 (2)과, 제 5주행수단(7)의 각 휠(21)(71)을 구동시키게 되면, 전,후륜 구동부 (D)(R)의 각 궤도륜(12)(23)(52)(62)(73)은 동력연결관계가 차단된 상태로서 고속주행을 행하게 되고, 요철지면 및 계단을 주행할 경우에 있어서는 전,후륜 구동부 (D)(R)의 각 클러치(24)(74)를 변속하여 제 2주행수단(2)과, 제 5주행수단 (7)의 각 궤도륜(12)(23)(52)(62)(73)만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인바;
이때, 상기 전륜구동부(D)는 자유절곡운동을 행하는 전방 링크연결대(L)에 의한 연결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도 5와 도 5a로 도시된 바와같이 요철면 및 계단등의 장애물을 주행함에 있어, 궤도의 견인 주행력에 힘입어 제 1주행수단(1)이 상승될 경우 제 2주행수단(2)이 하강하고, 제 2주행수단(2)이 상승될 경우 제 1주행수단(1)이 하강하는 시이소 작용원리에 의해 장애물(계단 등)을 쉽게 극복하게 되는 것이며, 후륜구동부(R) 또한 자유절곡운동을 행하는 후방 링크연결대(L')에 의해 지그재그 형태를 취하며 상,하부로 그 위치가 자유롭게 변화되므로 험준한 도로 내지 사막등과 같은 야지에서의 주행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휠 겸용 주행장치에 있어, 각 휠(11)(21)(51)(61) (71)과 궤도륜(12)(23)(52)(62)(73)은 상호 그 직경을 달리하며 도 4의 부분확대도록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한 높이(길이)차이를 갖게 되므로, 각 휠(11)(21)(51)(61) (71)에 의한 고속주행시 궤도륜(12)(23)(52)(62)(73)의 간섭을 배제되게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되며, 이와달리 장애물이 많은 험준한 야지를 주행중 휠(11)(21)(51) (61)(71)이 지면의 각종 굴곡부위 및 장애물에 고립되거나 걸림될 경우에 있어서는 궤도주행에 의해 이를 쉽게 극복되게하는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각 휠(11)(21)(51)(61)(71)과 궤도륜(12)(23)(52)(62)(73)의 직경차이는 휠(11)(21) (51)(61)(71)의 공기압 조절에 따라 임의적으로 변환 설정할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같은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는 전륜구동부(D)와 후륜구동부(R)에 각 주행동력이 전달되는 4륜 구동원리를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이때 차량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후륜구동부(R)로 구성되는 각 주행수단(5)(6)(7)은 도 7로 도시된 바와같이 그 설치수량을 증,감되게 할수 있으며, 또한 전륜구동부(D)의 구성을 배재한 단일 구동형태로서 후륜구동부(D)의 구성만을 차량에 설치,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를 형성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에 있어, 선택적으로 주행관계를 단속되게하는 각 클러치(24)(74)는 제 2주행수단(2)과 제 5주행수단(7)으로 한정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이 구성형태로서 모든 주행수단(1)(5)(6)내에 적용설치되도록 하여, 그에 따른 주행변속관계를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는 휠과 궤도를 상호 복합적인 조합형태로 접목시켜 클러치 단속에 의해 선택적인 주행관계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일반도로의 고속주행으로 부터 험준한 야지주행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한 주행작용을 행하도록 한 것일 뿐만 아니라, 특히 자유절곡운동을 행하는 전,후방 링크연결구조에 의해 시이소 작용원리를 부여, 계단 등과 같은 급경사 장애물 지역 을 무리없이 손쉽게 통과 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전술한 바와같은 선택적인 주행변환(휠 또는 궤도주행)기능에 의해 동력손실을 극소화되도록하고, 심각한 주행소음을 방지되도록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되도록 한 것이며, 또한 주행시 일부 휠의 펑크 내지 궤도의 이탈이 발생하더라도 계속적인 주행관계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이와같은 주행의 안전성 향상에 따라 그 적용범위를 일반차량으로 부터 산업업 특수차량 또는 군사용 차량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하게 선택, 응용되게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휠(11)과 궤도륜(12)을 일체로 한 제 1주행수단(1)과, 휠(21)과 전륜구동기어(22)와 궤도륜(23)을 일체로 한 제 2주행수단(2)을 궤도(100)와 전방 링크연결대 (L)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고, 완충수단(4)을 구비되게 한 전륜구동부(D)를 형성하고;
    상기 전륜구동부(D)의 후측으로, 각 휠(51)(61)과 궤도륜(52)(62)을 일체로 한 제 3주행수단(5)과, 제 4주행수단(6), 그리고 또 다른 휠(71)과 후륜구동기어 (72)와 궤도륜(73)을 일체로 한 제 5주행단(7)을 궤도(100)와 후방 링크연결대 (L')에 의해 상호 한쌍의 결합구조로 연결하여, 완충수단을 구비시킨 후륜구동부를 형성하므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구동기어(22)를 갖는 제 2주행수단(2)과, 후륜동력기어(72)를 갖는 제 5주행수단(7) 내부로, 각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24)(74)를 내설하여, 휠주행과 궤도주행을 지면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환가능케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행수단(2)의 전륜구동기어(22)는 동력연결수단 (32)에 의해 전륜동력축(3)과 연결되고, 제 5주행수단(7)의 후륜구동기어(72)는 동력연결수단(82)에 의해 후륜동력축과 연결되어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게됨을 특징으로하는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구동부(R)로 형성되는 각 주행수단(5)(6)(7)은 차량의 크기에 따라 그 수량이 선택적으로 증,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KR2019990028045U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KR2001836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198A KR100321779B1 (ko)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198A Division KR100321779B1 (ko)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672Y1 true KR200183672Y1 (ko) 2000-06-01

Family

ID=196254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45U KR200183672Y1 (ko)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KR1019990057198A KR100321779B1 (ko)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198A KR100321779B1 (ko) 1999-12-13 1999-12-13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408964B1 (ko)
KR (2) KR2001836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54171C (zh) * 2004-06-30 2007-12-12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具有轮-腿-履带复合移动机构的危险作业机器人
US20080258550A1 (en) * 2007-04-23 2008-10-23 Mr. TIMOTHY DAVID WEBSTER Hybrid Combination of Rubber Track with Road Wheels for a Vehicle
DE102008059465A1 (de) * 2008-11-28 2010-06-10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Zugmaschine
KR101094740B1 (ko) * 2009-02-24 2011-12-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로봇
US20120183383A1 (en) * 2010-09-26 2012-07-19 Rustam Stolki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polymorphic tracked vehicles such that the vehicle's weight can be spread between multiple supporting wheels
US9616950B2 (en) * 2015-06-30 2017-04-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Variable geometry continuous track
CN105109568B (zh) * 2015-08-31 2017-12-26 中国矿业大学 变形履带悬架及具有其的机器人移动平台
EP3397542B1 (en) * 2015-12-31 2020-01-08 Consulting Casters François Bvba Track chain mechanism
CN106865251A (zh) * 2017-03-02 2017-06-20 太原科技大学 一种履带式移动卸料车
CN107472385B (zh) * 2017-07-31 2023-06-20 华南理工大学 一种可快速转换形态的轮履复合式机器人
KR102046151B1 (ko) * 2017-12-05 2019-11-19 전승욱 계단승강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112744304A (zh) * 2021-02-08 2021-05-04 甘明南 四个履带式行走轮农用车
DE102021207322A1 (de) 2021-07-12 2023-01-12 BSH Hausgeräte GmbH Antriebseinheit für einen Bodenroboter
CN113353165A (zh) * 2021-07-21 2021-09-07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宽窄体履带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6062A (en) * 1966-02-04 1967-10-10 H T Conklin Power-operated wheelchair
US3417832A (en) * 1966-10-24 1968-12-24 William B Jaspert Wheeled vehicle selectively convertible to endless track vehicle
JPS58157783U (ja) * 1982-04-15 1983-10-21 株式会社東芝 走行装置
US4687068A (en) * 1983-01-25 1987-08-18 Australian Transcenders International Pty. Ltd. Invalid's wheelchair and like conveyances
US4977971A (en) * 1989-05-17 1990-12-18 University Of Florida Hybrid robotic vehicle
JPH06144304A (ja) * 1992-11-16 1994-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の走行装置
JPH07277232A (ja) * 1994-04-14 1995-10-24 Kunihiko Kamei 多目的用途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1779B1 (ko) 2002-01-23
KR20010055876A (ko) 2001-07-04
US6408964B1 (en) 200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3672Y1 (ko) 휠 겸용 궤도주행장치
US3348518A (en) Amphibious star-wheeled vehicle
CA1077399A (en) Small, personal, all terrain vehicle
CN108058755B (zh) 双三角形悬架轮腿式全地形移动机器人
CN1105050C (zh) 用于车辆的模块式履带悬挂系统
CN100509524C (zh) 约束履带式柔性越障车
CA1294653C (en) Ground engaging surface for endless tracks, wheels and tyres
US5575347A (en) Suspension device for crawler vehicle
US4650029A (en) Off-the-road four-wheel drive vehicle
CN103350726B (zh) 一种适于林地作业的机器人底盘
JPH09501630A (ja) 関節付腕に取り付けられる牽引手段を備えた万能地上車に適用されるべきシステム
CN108163094B (zh) 一种山地越野机器人车底盘
CN109094671A (zh) 一种带有车轮正逆转变换器的附加履带系统及轮式车辆
CN112092539A (zh) 一种移动式底盘
CN102303526B (zh) 一种h型动力底盘
CN103921854A (zh) 列车式履带全地形车
CN112140803A (zh) 一种可变形轮胎
US3659666A (en) Articulated vehicle
CN102303497B (zh) 一种具有调整地隙与轮距功能的h型动力底盘
CN102336127B (zh) 一种具有调整地隙功能的h型动力底盘
CN206367352U (zh) 水陆两栖全时六驱全地形车
Nuttall Jr Some notes on the steering of tracked vehicles by articulation
CN105383241A (zh) 水陆两栖全时六驱全地形车
CN100368219C (zh) 大变形仿形行走系统
CN205872159U (zh) 一种新型履带雪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