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217Y1 - 철근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217Y1
KR200183217Y1 KR2019990029191U KR19990029191U KR200183217Y1 KR 200183217 Y1 KR200183217 Y1 KR 200183217Y1 KR 2019990029191 U KR2019990029191 U KR 2019990029191U KR 19990029191 U KR19990029191 U KR 19990029191U KR 200183217 Y1 KR200183217 Y1 KR 200183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ar
carriage
rolling
drive shaft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산유기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산유기제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산유기제작소
Priority to KR2019990029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2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7/00Metal-work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n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7/02Single metal-working processes; Machine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7/00Making articl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agricultural tools, dinner forks, knives, sp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23G1/04Machines with one working-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鐵筋)들을 그 각 선단을 맞대어 양단에 암나사부를 갖는 접속구로써 이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철근의 선단 외주에 나사부를 가공할 수 있는 철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철근을 고정하는 유압척(1)과; 상기 유압척(1)에 대하여 상기 철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1, 2 차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대이송되는 왕복대(3)와, 상기 왕복대(3)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축(40)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왕복대(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와 함께 1, 2 차로 나누어 점진적으로 전진하여 철근(100)의 선단 외주면을 1, 2 차에 걸쳐 전조가공과 절삭가공을 하는 절삭가공기(6)와; 상기 유압척(1), 상기 유압실린더(2), 상기 구동모터(4), 상기 전조가공기(5) 및 상기 절삭가공기(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조공정에서 절삭공정으로 이루어진 단일 사이클 공정을 통해 철근의 선단에 축이음용 나사부를 가공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나사부 가공에 투입되는 작업공수와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가공장치{DEVICE FOR MACHINING IRON REINFORCING BAR}
본 고안은 철근(鐵筋)들을 그 각 선단을 맞대어 양단에 암나사부를 갖는 접속구로써 이어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철근의 선단 외주에 나사부를 가공할 수 있는 철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보강을 위해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철근은 규격에 맞추어 소정의 단위 길이로 제작되기 때문에 그 구조물의 높이가 너비가 철근의 길이 보다 클 경우에는 여러 개의 철근을 직렬로 이어 사용하게 된다.
전통적인 철근 이음 방식으로는 두 개의 철근 선단 일부를 서로 겹친 다음 철사매듭으로 두 철근을 잇는 철사 매듭 이음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러한 이음 방식은 두 철근 사이의 결합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일일이 철사 매듭을 묶어야 하는 등 철사매듭 작업이 번거로워 작업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 철사 매듭 이음방식은 철근의 선단 일부를 겹쳐 이어야 하기 때문에 겹쳐진 부분 만큼 길이의 손실을 초래하여 철근의 소비량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복수 개의 철근을 직렬로 이어 시공해야 할 경우, 철근의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하여 그 선단부를 나사부가 가공된 다른 철근의 선단과 맞댄 다음 두 철근의 선단을 양쪽에 암나사부를 갖는 턴 버클 형태의 접속구를 이용하여 두 철근의 선단을 맞대어 잇는 맞댐 이음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더불어 철근의 맞댐 이음 방식을 위해 철근의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할 수 있는 철근 가공장치도 개발되어 철근의 맞댐 이음을 위해 철근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건축 구조물에 있어서 철근은 주로 구조물의 인장력 보강을 위해 사용되므로 압축강도 보다는 인장강도를 갖는 인성이 큰 재질, 즉, 연성(軟性)은 큰 반면 경도(硬度)가 취약한 재질로 제조되며, 그 외주면에는 굽힘 강도의 보강을 위한 다수의 비드가 성형된다. 이러한 철근의 재질적 특성 때문에 철근 선단에 바로 나사부를 절삭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축이음에 사용되는 철근은 그 선단 외주면의 비드를 제거함과 아울러 경도를 증진시키는 전조가공을 거친 다음 그 선단 외주에 축이음을 위한 나사부가 그 선단에 절삭 가공된다.
이에, 종래에는 사전에 전조가공장치로써 철근의 선단 외주면 둘레를 가압 전조하여 철근 선단의 경도를 증진함과 아울러 그 외주면의 성형된 비드부를 제거한 다음, 다시 절삭가공장치로써 외주를 절삭하여 철근의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철근가공방식은 두 종류의 가공장치 즉 전조가공장치와 절삭가공장치가 필요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가공에 있어서도 철근을 상기 두 장치 사이에서 이동해가며 가공해야 하므로 작업공수도 크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철근의 선단을 전조가공한 다음 절삭가공까지 완료하여 단일 장치내에서 철근의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할 수 있음으로써 초기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나사부 가공에 투입되는 작업공수도 줄일 수 있는 철근 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개도.
도 3a는 미가공된 철근의 측면도.
도 3b는 전조가공된 철근의 측면도.
도 3c는 절삭가공까지 완료된 철근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유압척의 구성을 보인 도 1의 우측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전조가공기 확대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파지테가 결합된 전조가공기의 확대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전조가공기에 구성되는 압연롤러의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절삭가공기 확대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절삭가공기에 구성되는 절삭롤러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전조공정을 보인 작동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절삭공정을 보인 작동도.
도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가 전조공정으로부터 절삭공정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인 전조가공기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유압척 2 : 유압실린더
3 : 왕복대 4 : 구동모터
40 : 구동축 5 : 전조가공기
51 : 압연롤러 52 : 탄지편
53 : 파지테 6 : 절삭가공기
62 : 절삭롤 7, 9 : 위치감지센서
8 : 고정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으로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철근을 고정하는 유압척(1)과; 상기 유압척(1)에 대하여 유압실린더(2)에 의해 상기 철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1, 2 차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대이송되는 왕복대(3)와; 상기 왕복대(3)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축(40)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왕복대(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와 함께 1 차 전진하여, 상기 구동축(40)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열된 복수 개의 압연롤러(51)로 상기 철근(100)의 선단 외주면을 1 차 전조가공하는 전조가공기(5)와; 상기 전조가공기(5)의 뒤쪽의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4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왕복대(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와 함께 2 차 전진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열된 복수 개의 절삭롤러(61)로 전조가공 완료된 상기 철근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부를 절삭하여 가공하는 절삭가공기(6)와; 상기 유압척(1), 상기 유압실린더(2), 상기 구동모터(4), 상기 전조가공기(5) 및 상기 절삭가공기(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힌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조가공기(5)는,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된 전조기 몸체(50)와; 상기 몸체(50)의 둘레에 배열되어 각각 상기 각 압연롤러(51)들을 상기 몸체(50)에 대하여 구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탄지편(彈持片)(52)과;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원심방향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몸체 외주에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탄지편의 원심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왕복대의 1 차 전진이송 후 후퇴이송되어 그 내주면의 단차로써 상기 탄지편(5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파지테(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테(53)는, 그 내주면에 탈거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단차조정편(5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철근(100)에 대한 절삭가공이 완료되는 상기 왕복대(3)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로 상기 구동모터(4)를 역회전 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2)를 역방향으로 가동시켜 상기 전조가공기(5) 등이 설치된 상기 왕복대(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압척(1)은 유압척 작동용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이에 대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에 의해 상기 유압척 작동용 유압실린더(11)를 역방향으로 가동시켜 상기 유압척(1)의 상기 철근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각 구성들의 기능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그 구성을 보인 부분절개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고정대(8)의 일측에서 철근을 고정하는 유압척(1)과, 상기 유압척(1)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고정대(8) 상에 설치되는 왕복대(3)와, 고정대(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대(3)를 이송시키는 유압실린더(2)와, 상기 왕복대(3) 상에 설치되어 그 왕복대(3)에 의해 축(40)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축(40) 선단과 그 뒤에 각각 결합되어 구동축(40)과 일체로 회전되는 전조가공기(5)와, 절삭가공기(6), 그리고, 상기 유압척(1)을 비롯한 상기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이들 각 구성들은 도 3a과 같은 철근(100)의 선단에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부와 나사부를 가공하기 위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작용을 하게 된다.
유압척(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에 대한 가공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철근(10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대(8)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 보도록 설치된 두 개의 척(12)이 철근(100)을 그 사이에 두고 각기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철근가공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공작물인 철근(100)을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한다.
왕복대(3)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8) 상에 상기 유압척(1)에 대하여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대(8)의 저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2)에 의해 1, 2 차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기 유압척(1)측을 향하여 전진이송한 다음 후퇴이송하여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4)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동모터로서, 후술하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동과 그 회전방향이 제어되어, 전조가공기(5)와 절삭가공기(6)를 정,역회전시킨다.
상기 전조가공기(5)는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축(40) 선단에 결합되어 그 구동축(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척(1)에 고정된 철근(100)의 선단 외주면을 전조하여 철근(100)에 성형된 비드를 없앰과 아울러 철근에 일정 이상의 경도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플렌지 형식으로 결합되는 납작한 원통형의 몸체(50)와, 상기 몸체(50)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고정홈(50a)에 압축스프링(521)을 개재하고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그 외단에 단차(도 12의 52a)를 갖는 복수 개의 탄지편(52)과, 상기 각 탄지편(52)의 내단에 회전가능하게 핀(510) 결합되는 압연롤러(51 : 도 7 참조)와, 상기 몸체(50)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탄지편(52)을 상기 몸체(50)의 외주에서 지지하여 탄지편(52)의 이동을 구속하고, 그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배치된 원심방향의 단차를 가짐으로써 축방향으로 유동에 따라 상기 탄지편(5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파지테(5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파지테(5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차 전진된 왕복대의 위치를 감지한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왕복대(3)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4)에 로드로 연결되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유압실린더(54)에 의해 후진되어 상기 탄지편(5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지테(53)의 내주에는 가공물인 철근(100)의 굵기에 따라 상기 각 탄지편(52)의 선단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전조가공기(5)의 입구경(D)을 조정할 수 있게 있는 단차조정편(530)이 부착된다. 따라서, 전조가공기(5)의 입구 단면경(D)은 단차조정편(530)에 의해 결정된다. 이 단차조정편(530)은 단면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철근을 가공할 수 있도록 사전에 규격을 달리하는 것들로 여러 개 마련된다.
상기 절삭가공기(6)는 구동모터(4)의 구동축(40)에 결합되어 상기 전조가공기(5)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면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공(60a)을 갖는 몸체(60)와, 상기 각 고정공(60a)에 끼워져 몸체(60)에 결합되는 고정편(61), 그리고, 상기 각 고정편(61)의 선단에 핀(620)에 의해 자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절삭롤(62 : 도 9 참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절삭가공기(6)는 구동축(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왕복대(3)의 2 차 전진으로 점진적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전조가공기(5)에 의해 전조된 철근(100)의 외주면을 절삭롤(62)로 가압,절삭하여 나사부(102 : 도 3c 참조)를 가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절삭가공기(6)의 몸체(60)의 후면에는 왕복대(3) 하면에 부착된 유압실린더(54)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편(55)에 끼워지는 아이들 풀리(56)가 몸체(60)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들 풀리(56)의 전후방향 이동에 대하여 상기 전조가공기(5)의 파지테(53)를 연동시키는 로드(57)가 몸체(60)를 관통하여 상기 아이들 풀리(56)를 파지테(53)에 연결한다. 이에 파지테(53)는 유압실린더(54)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면서 전조가공기(5)의 몸체(50)에 끼워지거나 탈거되어 탄지편(52)의 방사방향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앞서 설명된 다른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스위치의 온/오프와 위치감지센서(도 10의 7, 9)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의 작동 및 그 회전방향, 유압실린더(11) 제어에 의한 유압척(1)의 작동, 유압실린더(2) 제어에 의한 왕복대(3)의 전,후진, 그리고, 왕복대(3)에 부착된 유압실린더(54) 제어에 의한 탄지편(52)의 전,후진 등을 제어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80과 81이 각각 가리키는 것은 구동모터(4)의 구동축(40)을 고정대(8)에 대하여 베어링을 개재하여 지지하는 축 지지구들이고, 82는 본 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롤러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그 각 구성들이 다음과 같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철근의 선단에 나사부를 절삭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공작물인 철근(100)을 유압척(1)에 올려 놓고 그 선단을 탄지편(52)들 사이의 전조가공기(5) 입구에 끼운 다음, 스위치(미도시)를 켜면, 제어부(미도시)가 그 스위치의 온(On)을 감지하여 구동모터(4)를 가동시킨다. 이에 구동축(40)에 결합된 전조가공기(5)와 절삭가공기의 각 몸체(50)(60)가 구동축(40)에 의해 일체로 회전된다. 곧이어, 제어부(미도시)는 고정대(8) 하부의 유압실린더(2)를 가동하여 왕복대(3)를 1 차 전진이송시킨다. 이 때 전조가공기(5)의 몸체(50) 외주에는 파지테(53)가 끼워진 상태여서 그 파지테(53)에 지지되는 탄지편(52) 선단의 압연롤러(51)가 철근(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회전하여, 도 3a와 미가공 상태의 철근(100) 선단부에 도 3b에서 볼 수 있는 같은 전조부(101)를 가공한다. 왕복대(3)가 사전에 설정된 1 차 이송거리를 이송하여 전조가공기(5)에 의해 철근(100) 선단의 소정 길이가 전조되면, 고정대(8)에 설치된 위치감지센서(7)가 왕복대(3)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낸다. 제어부(미도시)는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에 따라 왕복대(3) 저면의 유압실린더(54)를 가동하여,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편(55)에 끼워진 아이들 풀리(56)와 로드(57)의 연동을 통해 파지테(53)를 후진시켜 전조가공기(5)의 몸체(50)로부터 분리한다. 이 때 파지테(53)에 의해 지지되어 압연롤러(51)로써 철근(100)의 외주를 가압하면서 회전하였던 탄지편(52)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521 : 도 5 참조)의 탄성에 의해 원심방향으로 튕겨져 나와 철근(100)에 대한 가압을 해제함에 따라 철근(100) 외주면에 매끄럽게 다듬어지고 그 표면의 경도가 증진된 전조부(101)를 가공하는 전조가공이 완료된다. 한편, 왕복대(3)는 전조가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유압실린더(2)에 의해 지속적으로 2 차 전진한다. 이에 철근(100)의 선단은 왕복대(3)에 의해 이송되는 절삭가공기(6)의 절삭롤러(61)에 끼워져 그 외주가 절삭롤러(61)에 의해 절삭가공되므로, 그 외주면에 전조부(101도 3b 참조)와 나사부(102 : 도 3c)가 연이어 가공된다. 그 후 왕복대(3)가 설정된 2 차 이송거리 만큼 이송하여 나사부(102)의 절삭이 완료되면, 위치감지센서(9)가 2 차 이송거리 만큼 전진된 왕복대(3)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 보내며, 제어부(미도시)는 위치감지센서(9)의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를 역회전시킴과 동시에 유압실린더(2)를 반대방향으로 가동하여 왕복대(3)를 점진적으로 후진시킨다. 이에, 왕복대(3)는, 유압실린더(2)의 후진 이송력과 절삭롤러(61)가 역회전됨에 따라 철근(100)의 나사부로부터 절삭롤러(61)가 역으로 받는 반대방향 이송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송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한다. 연이어 유압척(1)의 유압실린더(11)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유압척(1)의 철근(100)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고, 동시에 왕복대(3)의 유압실린더(54)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파지테(53)를 뒤로 시켜 전조가공기(5)의 몸체(50)에 끼우면, 나사부 가공이 완료된 철근(100)에 가해졌던 모든 구속이 해제되고, 왕복대(3)를 비롯한 전조가공기(5) 및 절삭가공기(6) 등의 모든 구성들이 도 10과 같은 초기상태에 복귀하여 본 고안 철근 가공장치에서 이루어지는 철근 선단에 나사부를 가공하는 하나의 싸이클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단일 장치로서, 철근의 선단에 철근을 축이음 할 수 있게 하는 나사부를 전조가공에서 절삭가공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사이클을 통하여 완전하게 가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는 전조가공에서 절삭가공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이클을 통해 철근의 선단에 축이음용 나사부를 완전하게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선단에 축이음을 위한 나사부 가공함에 있어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두 종류의 장치 즉 전조가공장치와 절삭가공장치를 본 고안에 따른 철근 가공장치 하나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초기 설비 투자비를 크게 감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철근을 상기 두 장치 사이에서 이동해가며 가공해야 했던 종래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철근의 나사부 가공에 투입되는 작업공수와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철근을 고정하는 유압척(1)과,
    상기 유압척(1)에 대하여 유압실린더(2)에 의해 상기 철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1, 2 차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대이송되는 왕복대(3)와,
    상기 왕복대(3) 상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와,
    상기 구동모터(4)의 구동축(40) 선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왕복대(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와 함께 1 차 전진하여, 상기 구동축(40)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열된 복수 개의 압연롤러(51)로 상기 철근(100)의 선단 외주면을 1 차 전조가공하는 전조가공기(5)와,
    상기 전조가공기(5)의 뒤쪽의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4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왕복대(3)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4)와 함께 2 차 전진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중심 둘레에 배열된 복수 개의 절삭롤러(61)로 전조가공 완료된 상기 철근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부를 절삭하여 가공하는 절삭가공기(6)와,
    상기 유압척(1), 상기 유압실린더(2), 상기 구동모터(4), 상기 전조가공기(5) 및 상기 절삭가공기(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조가공기(5)는 상기 구동축(40)에 결합된 전조기 몸체(50)와, 상기 몸체(50)의 둘레에 배열되어 각각 상기 각 압연롤러(51)들을 상기 몸체(50)에 대하여 구심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고정하는 다수의 탄지편(彈持片)(52)과,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배열된 원심방향의 단차를 가지고 상기 몸체 외주에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탄지편의 원심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왕복대의 1 차 전진이송 후 후퇴이송되어 그 내주면의 단차로써 상기 탄지편(5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파지테(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테(53)는, 그 내주면에 탈거가능하게 결합되어 단차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단차조정편(5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가공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00)에 대한 절삭가공이 완료되는 상기 왕복대(3)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로 상기 구동모터(4)를 역회전 시킴과 동시에 상기 유압실린더(2)를 역방향으로 가동시켜 상기 전조가공기(5) 등이 설치된 상기 왕복대(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가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척(1)은 유압척 작동용 유압실린더(11)에 의해 작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위치감지센서(7)의 신호에 의해 상기 유압척 작동용 유압실린더(11)를 역방향으로 가동시켜 상기 유압척(1)의 상기 철근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가공장치.
KR2019990029191U 1999-12-22 1999-12-22 철근 가공장치 KR200183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91U KR200183217Y1 (ko) 1999-12-22 1999-12-22 철근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191U KR200183217Y1 (ko) 1999-12-22 1999-12-22 철근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217Y1 true KR200183217Y1 (ko) 2000-05-15

Family

ID=1960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191U KR200183217Y1 (ko) 1999-12-22 1999-12-22 철근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21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969A (ko) * 2001-02-08 2002-08-14 김순분 나사이음 철근의 나사 가공방법
KR100820184B1 (ko) *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KR100911049B1 (ko) 2007-09-05 2009-08-17 김상구 이동식 자동 철근 전조기
KR101116255B1 (ko) 2010-01-15 2012-03-09 박동철 이동형 철근 전조기
KR101195689B1 (ko) 2010-05-28 2012-10-30 김정수 철근용 나사산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사 가공방법
CN114083297A (zh) * 2021-11-24 2022-02-25 上海蔚建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剥肋及螺纹自动化加工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969A (ko) * 2001-02-08 2002-08-14 김순분 나사이음 철근의 나사 가공방법
KR100820184B1 (ko) * 2007-02-23 2008-04-08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철근의 나사부 가공방법
KR100911049B1 (ko) 2007-09-05 2009-08-17 김상구 이동식 자동 철근 전조기
KR101116255B1 (ko) 2010-01-15 2012-03-09 박동철 이동형 철근 전조기
KR101195689B1 (ko) 2010-05-28 2012-10-30 김정수 철근용 나사산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사 가공방법
CN114083297A (zh) * 2021-11-24 2022-02-25 上海蔚建科技有限公司 一种钢筋剥肋及螺纹自动化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0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ding the bodies of sheet metal cans
US6357324B1 (en) Workpiece machining process and a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KR200183217Y1 (ko) 철근 가공장치
JP3610653B2 (ja) 金属パイプの溝加工方法及び溝加工装置
CA1172878A (en) Method and tool for the cold forging of internally profiled tubes
KR20050042764A (ko) 콘크리트 보강용 봉강재의 연결단부 모따기 가공장치
CN212633866U (zh) 一种缩径机
JPH0957383A (ja) 輪体成形装置及び輪体成形方法
JP4369424B2 (ja) 少なくとも部分的に成形された管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7167925A (ja) マンドレル可動式スウェージングマシン
KR102632289B1 (ko) 공작기계 및 가공방법
JPH0716748B2 (ja) 管材用テ−パねじ転造法
JPH0665423B2 (ja) 軸材の拡径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US3468146A (en) Bar screw straightener
JPH0541378B2 (ko)
JP3805213B2 (ja) 軸肥大加工装置
JPS6384704A (ja) コ−ルドピルガ−圧延方法及び装置
KR100595384B1 (ko) 철근의 나사 가공장치
JPH04319036A (ja) 丸棒材料の端部成形装置
JP2849448B2 (ja) 板材加工方法
JPH09168826A (ja) 金属パイプ曲げ加工装置
EP1190794B1 (de)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s Werkstückes und Futter mit Zentrierdorn zu seiner Durchführung
JP3880686B2 (ja) 転造盤のセンタ台装置
KR200378010Y1 (ko) 콘크리트 보강용 봉강재의 연결단부 모따기 가공장치
KR20020064096A (ko) 마찰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