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522Y1 - 복층유리 - Google Patents

복층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522Y1
KR200182522Y1 KR2019990029638U KR19990029638U KR200182522Y1 KR 200182522 Y1 KR200182522 Y1 KR 200182522Y1 KR 2019990029638 U KR2019990029638 U KR 2019990029638U KR 19990029638 U KR19990029638 U KR 19990029638U KR 200182522 Y1 KR200182522 Y1 KR 200182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s
panels
space
mult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60U (ko
Inventor
송희
Original Assignee
송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 filed Critical 송희
Publication of KR20000005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5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1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thermal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21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with special provisions for fitting in window frames or to adjacent units; Separate edge protecting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04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omprising false glazing bars or similar decorations between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61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with special structural provisions for holding drying agents, e.g. packed in special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0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acoustic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63Elements for spacing panes
    • E06B3/66309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 E06B3/66333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 E06B2003/66338Section members positioned at the edges of the glazing unit of unusual substances, e.g. wood or other fibrous materials, glass or other transparent materials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창이나 외벽 등에 단열과 방음용으로 사용되는 개선된 복층유리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각각 가지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대향하는 가장자리가 실리콘(12)에 의해 상호 봉합됨으로써 양자간에 일정폭의 공간을 형성하는 두장의 유리패널(11)과; 이 두장의 유리패널(11)이 이루는 공간(13)내에 적정형태로 배열되며, 양 끝면이 UV접착제(15)에 의해 두 유리패널(11)에 각각 접합되어 두 유리패널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서포트(14);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유리패널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 무게에 의한 굴곡이나 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유리조각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층유리{DOUBLE LAYER GLASS}
본 고안은 건물의 창(window)이나 외벽 등에 사용되는 유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단열과 방음을 위해 두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겹쳐서 만든 복층유리(double layer glass)에 관한 것이다.
유리는 규사, 소다, 석회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체로서 사회전반에 걸쳐 갖가지 용도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이러한 유리는 건물의 창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그 특성상 단열성 및 방음성이 그다지 높지 않기 때문에 건축용 자재로서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장의 유리패널(glass panel:1)이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채 겹쳐지도록 그 가장자리를 실리콘(silicon:2)으로 상호 봉합하여, 양자간에 공기층이나 알곤가스층 또는 진공층으로 기능하는 공간(3)을 형성함으로써 유리의 단열성과 방음성을 크게 향상시킨 소위 복층유리가 건축용 자재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복층유리는 단순히 두 유리패널(1)의 가장자리만을 실리콘(2)으로 접합하는 구성이므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예를들어 사방 2미터 이상으로 크기가 큰 유리패널(1)을 들어보면 자중에 의해서 눈에 보이지 않게 그 중앙부가 오목하게 들어가는 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건물에 시공된 대형 복층유리들을 원거리에서 볼 경우 유리창 한 장 한 장마다 굴곡에 의해 햇빛이 난반사되는 현상을 쉽게 발견하게 되는 바, 막대한 공사비를 들여 만든 건물들의 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대형 복층유리들은 운반시 심하게 휘청거려 취급과 시공에 있어서도 상당한 불편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자칫 파손의 우려도 매우 많았다. 더욱이 파손될 경우에는 유리조각들이 각기 분산되어 비산됨으로써 취급자 등에 상해를 입힐 우려가 매우 많을 뿐 아니라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건물의 외벽에 대형 유리패널들을 연이어 매달아서 건물의 외벽면을 유리만으로 형성하는 소위 커텐월(curtain wall) 시공법이 수행되기도 하는데, 이는 통상의 유리시공시 유리패널을 건물에 지지해주는 프레임(frame) 없이 커다란 유리패널 자체를 파이프(pipe) 등의 구조물에 지탱시키면서 다수의 유리패널로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건물의 외관이 매우 미려한 장점을 지닌다.
이에 따라 커텐월 시공법에 사용되는 유리패널은 두께가 적어도 10㎜이상의 것이 사용되는 바, 이러한 커텐월 시공법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층유리를 사용할 수가 없었다.
즉 통상의 복층유리는 두 유리패널(1)의 가장자리를 실리콘(2)만으로 접합하고 있는 바, 두께가 5㎜이하의 유리패널(1)은 비교적 무게가 작기 때문에 서로 지탱될 수 있으나, 커텐월 시공용 유리와 같이 유리패널(1)의 두께가 10㎜이상일 경우에는 유리패널(1)의 무게가 매우 커 실리콘(2)의 접합력만으로는 두장의 유리패널(1)이 서로 붙어있기도 어려운데에다 프레임조차 없으므로 복층유리의 적용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 커텐월 시공법으로 세워진 건물의 경우 단열성과 방음성이 낮아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애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감안하여 유리패널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 무게에 의한 굴곡이나 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취급과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파손시에도 유리조각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층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두께가 10㎜ 이상인 초대형 유리패널들로 구성되어 커텐월 시공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복층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두장의 유리패널이 상호 간격을 두고 중첩되고 그 가장자리가 봉합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복층유리에 있어서, 상기 두장의 유리패널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그 공간에 개재되고 움직이지 않게 각 유리패널 내면과 접합되어 그 유리패널의 중앙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서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를 고안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대면적이면서 유리패널의 두께가 5㎜ 이하인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의 복층유리 구성에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들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두장의 유리패널 가장자리를 따라 그 사이에 개재되어 그 가장자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게 각 유리패널 내면과 접합되어 있는 복수의 유리막대가 더 구비되어 있는 복층유리를 고안하였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서포트들이 두장의 유리패널 사이의 공간내 각 코너부에 위치하는 4개의 코너지지용 서포트와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개의 중앙부지지용 서포트로 구분하고, 그 4개의 코너지지용 서포트에는 두장의 유리패널중 어느 한쪽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건물에 시공되는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게 돌출되는 스파이더 홀더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역시 대면적이면서 유리패널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에 적합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유리패널의 크기에 관계없이 그 무게에 의한 굴곡이나 휘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유리조각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커텐월 시공법이 적용되는 건물에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복층유리의 신뢰성과 취급성 및 안전성 향상은 물론 커텐월 유리 시공 건물의 단열성과 방음성 향상에도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복층유리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복층유리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Ⅳ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커텐월 시공법으로 건설된 건물을 개략적으로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유리패널(glass panel) 12 : 실리콘(silicon)
13, 23 : 공간 14, 17, 24 : 서포트(support)
15 : UV접착제 16, 25 : 흡습패드
22 : 유리막대 26 : 스파이더 홀더(spider holder)
27 : (건물의) 구조물 파이프 B : (커텐월 유리 시공) 건물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본 고안에 의한 복층유리(10)의 제1실시예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 예를들어 사방 2미터 크기에 두께가 5㎜인 두 유리패널(11)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대향하는 가장자리가 실리콘(12)에 의해 상호 봉합됨으로써 두 유리패널(11) 사이에 일정폭의 공간(13)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간(13)은 단순히 공기층으로 기능하게 하거나 알곤가스층 또는 진공층으로 기능하게 함으로써 일반유리의 단점인 단열성과 방음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두 유리패널(11)이 이루는 공간(13)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두 유리패널(11)을 일정간격으로 안정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유리패널(11)의 자중에 의하여 그 중앙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서포트(14)들이 적정형태로 배열되어 개재된다. 이러한 서포트(14)는 두 유리패널(11)을 일정간격으로 지탱해주는 정도면 충분한 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5㎜, 직경 5㎜ 크기의 유리지주로 구성되고, 그 양 끝면이 광경화성 접착제인 UV접착제(15)에 의해 두 유리패널(11)에 각각 접합된다. 이러한 UV접착제(15)는 주지하다시피 자외선에 의해서만 경화되고, 강도와 내구성이 상당히 우수하여 주로 유리와 유리를 접합하는데에 사용되는 바, 서포트(14)들은 두 유리패널(11)에 거의 일체적으로 접합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복층유리(10)는 그 공간(13)이 진공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등에는 그다지 문제될 것이 없지만, 단순히 공기층만을 형성하고 있을 경우에는 날씨 등의 주위환경에 의해 두 유리패널(11)의 내측면에 습기 맺힘이 발생될 우려가 상존하게 된다. 즉 고온다습한 장마철이나 실내외의 온도차가 큰 겨울철등에는 공간(13)내에 잔존하는 공기중의 수분이 양자간의 온도차에 의해 순간적으로 응축(凝縮)됨으로써 유리패널(11)의 내측면에 습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건물의 시계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 복층유리(10)의 공간(13)에는 바람직하기로 그에 잔존하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날씨에 따른 유리패널(11)에의 습기맺힘을 방지하는 흡습패드(16)가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흡습패드(16)는 여러 가지 형태로 공간(13)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두께를 갖는 L자형으로 구성되어 공간(13)의 네 코너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흡습패드(16)의 수효와 크기등은 복층유리(1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며, 서포트(14)와 같이 UV접착제(15)에 의해 두 유리패널(11)에 그 상하면이 접합됨으로써 공간(13)내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흡습패드(16)는 습기제거 효율이 우수한 제올라이트(zeolite)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층유리(10)의 공간(13)이 공기층을 형성하는 경우 뿐 아니라 진공층이나 알곤가스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신뢰성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복층유리(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준비된 한 장의 유리패널(11)의 적정위치, 예컨대 굴곡이나 휨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중앙으로부터 사방 네곳에 서포트(14)의 한쪽면에 UV접착제(15)를 도포하여 올려 놓은 뒤, UV접착제(15)에 전등으로 광선을 비춰 경화시킨다.
다음 이와 같이 한 유리패널(11)에 일단이 접합된 각 서포트(14)의 다른쪽 면에 역시 UV접착제(15)를 한방울 도포한 뒤, 그 위에 준비된 다른 유리패널(11)을 올려 놓고, UV접착제(15)를 전등으로 비춰 경화시킨다.
다음 이와 같이 서포트(14)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두 유리패널(11)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에 실리콘(12)을 도포하여 상호 봉합함으로써 양자간에 공간(13)을 형성한다.
이때 흡습패드(16)도 서포트(14)와 함께 UV접착제(15)에 의해 해당위치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복층유리(10)는 두장의 유리패널(11) 사이에 단열 및 방음층으로 기능하는 공간(13)이 있긴 하지만, 두 장의 유리패널(11)이 서포트(14)들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의지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그 무게에 의한 굴곡이나 휨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운반시나 시공시에도 휘청거리지 않아 매우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로 인한 파손의 우려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취급 부주의나 사고로 인해 유리패널(11)이 여러 파편으로 갈라진다 하더라도 그 파편들은 서포트(14)에 의해 서로 붙들고 있게 되므로 그 파손시 유리조각의 비산으로 인해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피해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공간(13)내에 흡습패드(1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날씨에 따른 유리패널(11) 내측면에의 습기맺힘 역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다른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포트(17)가 두 개의 긴 유리막대로 구성되어 두 유리패널(11)이 이루는 공간(13)내에 대략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는 X자형으로 배치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보다 오히려 시각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두 유리패널(11)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한 경우 전술한 서포트를 공간(13)내에 격자형태로 배치하여 복층유리(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 복층유리(2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소정의 두께와 면적, 예를들어 사방 2미터 이상의 크기에 두께가 10㎜ 이상인 두 유리패널(21)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에는 사각단면을 갖는 긴 유리막대(22)들이 개재되어 UV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양자간에 단열 및 방음층으로 기능하는 공간(23)을 형성한다.
그리고 두 유리패널(11)이 형성하는 공간(23)내에는 두 유리패널(11)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복수의 서포트(24)가 적정형태로 배열되어 전술한 UV접착제에 의해 양자에 각각 접합 개재되고, 공간(23)의 네 코너부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간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올라이트제의 흡습패드(25)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의 복층유리(20)는 두 유리패널(21)이 실리콘(12)에 의해 봉합되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유리막대(22)를 통해 양자간에 공간(23)이 형성되도록 상호 봉합되는 바, 두장의 유리패널(21)이 그 무게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되게 지탱됨은 물론 공간(23)내에 개재된 서포트(24)에 의해 굴곡이나 휨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2실시예의 복층유리(20)는 특히,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텐월 시공이 적용되는 건물(B)의 외벽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의 복층유리(20)의 한 유리패널(21) 외측면 네 코너부에는 복층유리(20)를 커텐월 시공으로 세워지는 건물(B)의 구조물 파이프(27)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스파이더 홀더(26)가 각각 장착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기로는 복수의 서포트(24)를 공간내 4 코너부에 위치하는 코너지지용 서포트(24a)와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지지용 서포트(24b)로 구분하고, 그 코너지지용 서포트(24a)에 상기 스파이더 홀더(26)와 동축상에 일체적으로 배치하며, 이때 그 코너지지용 서포트(24a)의 직경을 중앙지지부용 서포트(24b)보다 크게 하여 큰 지지력을 보유케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복층유리(20)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의 복층유리(10)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며, 특히 구조적으로 상당히 안정되어 커텐월 시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더 갖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두장의 유리패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내에 양자를 일체적으로 연결해주는 복수의 서포트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두 장의 유리패널이 서포트 스페이서들에 의해 서로 완벽하게 의지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그 무게에 의한 굴곡이나 휨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바, 운반시나 시공시에도 휘청거리지 않아 매우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취급 부주의나 사고등으로 인해 깨진다 하더라도 두 유리패널이 서포트에 의해 서로 붙들고 있는 상태이므로 유리가 조각나 비산되지 않고 금이 간 상태에서 그대로 붙어 있게 되는 바, 사고로 인한 작업자 등의 상해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두께가 10㎜ 이상인 초대형 유리패널도 그 무게에 구애받지 않고 복층유리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종래에 불가능했던 커텐월 시공용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 유리패널간에 형성된 공간내에 습기제거를 위한 흡습패드가 함께 구비되므로 날씨에 관계없이 항상 양호한 시계확보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복층유리의 신뢰성과 취급성 및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커텐월 시공으로 세워진 건물의 단열성과 방음성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두장의 유리패널이 상호 간격을 두고 중첩되고 그 가장자리가 봉합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복층유리에 있어서,
    상기 두장의 유리패널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그 공간에 개재되고 움직이지 않게 각 유리패널 내면과 접합되어 그 유리패널의 중앙부가 오목 또는 볼록하게 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서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가 모두 동일한 높이와 직경을 갖는 유리재질의 지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가 상기 공간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유리막대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패널의 두께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들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두장의 유리패널 가장자리를 따라 그 사이에 개재되어 그 가장자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움직이지 않게 각 유리패널 내면과 접합되어 있는 복수의 유리막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들이 두장의 유리패널 사이의 공간내 각 코너부에 위치하는 4개의 코너지지용 서포트와 중앙부에 배치되는 수개의 중앙부지지용 서포트로 구분되어 있고, 그 4개의 코너지지용 서포트에는 두장의 유리패널중 어느 한쪽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건물에 시공되는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게 돌출되는 스파이더 홀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코너부 서포트는 다른 서포트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8.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두장의 유리패널 사이의 밀봉된 공간내에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제거하기 위한 흡습패드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패드가 상기 공간내 네 코너부에 각각 위치되는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와 유리패널 내면 상호간은 광경화성 UV접착제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패널의 두께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
KR2019990029638U 1998-02-28 1999-12-24 복층유리 KR2001825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781U KR980008146U (ko) 1998-02-28 1998-02-28 복층유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781U Division KR980008146U (ko) 1998-02-28 1998-02-28 복층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60U KR20000005660U (ko) 2000-03-25
KR200182522Y1 true KR200182522Y1 (ko) 2000-05-15

Family

ID=19532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781U KR980008146U (ko) 1998-02-28 1998-02-28 복층유리
KR2019990029638U KR200182522Y1 (ko) 1998-02-28 1999-12-24 복층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781U KR980008146U (ko) 1998-02-28 1998-02-28 복층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8000814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9B1 (ko) *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1085325B1 (ko) 2011-07-05 2011-11-23 김종찬 흡음형 복층 유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9B1 (ko) * 2007-10-04 2008-08-01 하양호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KR101085325B1 (ko) 2011-07-05 2011-11-23 김종찬 흡음형 복층 유리
WO2013005927A2 (ko) * 2011-07-05 2013-01-10 Kim Jong Chan 흡음형 복층 유리
WO2013005927A3 (ko) * 2011-07-05 2013-05-23 Kim Jong Chan 흡음형 복층 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46U (ko) 1998-04-30
KR20000005660U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1147C2 (ru)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остеклени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е и применение
US3460303A (en) Multipane glazing unit
US5551195A (en) Fire-retarding window assembly
KR20050007380A (ko) 투광성 유리 패널
WO2001061135A1 (en) Vacuum ig unit with micro-sized spacers
ATE259922T1 (de) Plattenförmiges brandschutzelement in sandwich- bauweise
WO1997036838A1 (fr) Unite a double vitrage
BR9806314A (pt) Sistema da fachada com um material isolante poroso translúcido
KR200182522Y1 (ko) 복층유리
NO163689B (no) Stivt skum, samt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et slikt skum og anvendelse av det.
Gunasekaran et al. Facades of tall buildings-state of the art
NO952413D0 (no) Fasadekonstruksjon ved toskalls byggemåte
WO2016174922A1 (ja) 複層ガラス
JPH076466Y2 (ja) 複層ガラス並びにその取付け構造
CN112431521A (zh) 一种防火中空玻璃、制作方法及应用
EP2507440B1 (en) Structure of thermal insulation of glazing
RU207430U1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CN217950125U (zh) 一种高性能外墙可开启通风扇及建筑外围护系统
DE2827818A1 (de) Waermedaemmendes bauelement
JPH10280818A (ja) ルーバー入り複層ガラス
JP2000136681A (ja) 光制御部材を内蔵した複層ガラス
WO2011081606A2 (en) A glazing system
WO2000041979A1 (fr) Panneau de verre
JPH1037608A (ja) 複層ガラス
JPH0721822Y2 (ja) サッシ付複層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