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244Y1 -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244Y1
KR200182244Y1 KR2019990025455U KR19990025455U KR200182244Y1 KR 200182244 Y1 KR200182244 Y1 KR 200182244Y1 KR 2019990025455 U KR2019990025455 U KR 2019990025455U KR 19990025455 U KR19990025455 U KR 19990025455U KR 200182244 Y1 KR200182244 Y1 KR 200182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wound
main wire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김재규
임채규
김대현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5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2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에 와이어를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주와이어를 권취유도하는 보조와이어와 상기 주와이어가 권취되는 부분이 절개부를 갖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는 주와이어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주와이어 권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도록 상기 격벽의 수직하방에 설치된 파워실린더부와, 상기 보조와이어와 주와이어간의 지름 차이에 의한 굵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파워실린더부를 작동시키는 스윙형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윙형 가이드롤러부의 직하방에 설치된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간단한 제어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와이어를 드럼에 권취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DRUM WIRE AUTOMATIC LEADING APPARATUS OF A CRANE}
본 고안은 기중기의 와이어 드럼에 권취된 와이어가 장시간 사용으로 늘어지게 되면 권취된 와이어를 풀어서 일정한 길이가 되도록 꼬아준 후 재 권취할 경우나 혹은 와이어의 손상으로 교환작업 및 원료(광석,석탄,석회석)의 변경에 따라 바켓트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 드럼에 와이어를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한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에 와이어(W)를 권취할 때에 드럼(10)을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와이어(12)가 권취되면서 와이어(W)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와이어(12)에 의해 와이어(W)가 상부로 이동되면 드럼(10)의 플랜지(14)에 결합된 나사(15)를 풀어 회전부재(16)의 일단에 형성된 요홈(19)이 상기 드럼(10)의 일단측에 인접하여 구획된 격벽(18)에 삽입되도록 한 후 이를 나사(17)로 격벽에 고정하여 상기 회전부재(16)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6)의 고정단부는 상기 격벽(18)에 형성된 절개부(20)와 일치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드럼(10)을 회전시키게 되면 보조와이어(12)에 연결된 와이어(W)가 상승되다가 상기 절개부(20)를 통해 드럼(10)의 안내홈(22)으로 유도되어 그 외주연에 권취되게 된다.
와이어(W)의 권취가 완료되면 클립(24)을 위치시킨 후 볼트(25)고정하여 와이어(W)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클립(24)의 볼트(25)와 와이어(W)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안내돌기(23)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와이어 권취방식은 작업자가 드럼(10)을 회전시켜 도 1의 (가)와 같은 위치에 정지시킨 후 드럼(10)의 외주연으로 올라가서 회전부재(16)를 고정시키고 다시 내려온 후 드럼(10)을 재회전시켜 도 1의 (나)위치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드럼(10)에 올라가 클립(24) 및 회전부재(16)의 고정상태 해제 행위를 수행한 후 내려와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에 커다란 위험부담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드럼에 와이어를 유도 권취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드럼 상부로 다수회 올라가는 번거로움없이 단 한 번으로 간단하게 와이어의 유도 권취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의 (가),(나),(다)는 종래 기중기의 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유도과정을 도시한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에 와이어가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드럼, 12 : 보조와이어,
18 : 격벽, 20 : 절개부,
24 : 클립, 50 : 파워실린더부,
51 : 실린더, 54 : 로울러,
70 : 스윙형 가이드롤러부, 78 : 스윙롤러,
81 : 리미트스위치, 90 : 유도부,
94 : 편방향유도롤러, W : 주와이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와이어를 권취유도하는 보조와이어와 상기 주와이어가 권취되는 부분이 절개부를 갖는 격벽에 의해 구획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권취되는 주와이어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주와이어 권취부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도록 상기 격벽의 수직하방에 설치된 파워실린더부와, 상기 보조와이어와 주와이어간의 지름 차이에 의한 굵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파워실린더부를 작동시키는 스윙형 가이드롤러부와,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윙형 가이드롤러부의 직하방에 설치된 유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호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크게 와이어가 권취되는 드럼(10)과, 상기 드럼(10)에 권취되는 와이어의 위치를 유동시키는 파워실린더부(50)와, 와이어의 굵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파워실린더부(50)를 작동시키는 스윙형 가이드롤러부(70)와, 상기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상승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도부(90)로 구성된다.
드럼(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와이어(12)가 권취되는 부분과 주와이어(W)가 권취되는 부분이 격벽(18)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18)의 일부에는 절개부(20)가 형성되어 보조와이어(12)를 따라 권취되던 주와이어(W)가 드럼(10)의 안내홈(22)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즉, 보조와이어(12)가 권취되는 부분은 드럼(10)의 일측 플랜지(14)로부터 소정폭으로 안내홈(22)없이 형성되고 이어 격벽(18)에 의해 구획되면서 나선형의 안내홈(22)이 상기 드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와이어(W)가 권취되는 첫 번째 안내홈(22)과 두 번째 안내홈 사이는 약간 이격되어 나선형의 안내홈(2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생기며 이 부분에는 볼트가 결합되는 체결홈(28)이 형성된다.
따라서, 권취되는 주와이어(W)는 첫 번째 안내홈에 권취됨과 동시에 두 번째 안내홈으로 유도될 때에는 체결홈(28)이 형성된 폭 만큼 이격된 채 권취되게 된다.
이후, 도시된 클립(24)을 체결홈(28)에 고정함으로써 권취된 주와이어(W)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파워실린더부(5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에 고정된 스윙형 가이드롤러부(70)의 상면에 고정된 실린더(51)와, 상기 실린더(51)에 의해 전후진 동작되는 실린더로드(52)와, 상기 실린더로드(52)의 선단에 고정브라켓(53)으로 축고정된 로울러(54)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1)는 일반적인 공압실린더이며, 상기 로울러(54)는 새들형으로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고 취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울러(54)는 축핀(55)에 의해 고정브라켓(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와이어의 승하강시 원활한 안내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스윙형 가이드롤러부(70)는 한쌍의 베이스(71) 및 상기 베이스(7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윙롤러(78)를 구비한 다수의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71)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40)의 상면에 입설된다.
베이스(71)의 상단면에는 요홈(72)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일측면 중앙 인접 상측에는 스토퍼(73)가 서로 대향되게 돌설되고, 상기 베이스(71)중 어느 하나의 상기 스토퍼(73) 대향단 상측에는 리미트스위치(81)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81)는 상술한 파워실린더부(5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부이다.
한편, 샤프트(74)가 관통공(76)을 관통하여 고정된 'ㄴ'형의 지지프레임(75)의 상단에는 이와 수직으로 용접고정되는 한쌍의 보조프레임(8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프레임(80)의 후단에는 그와 수평하게 무게중심프레임(79)이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75)의 하단에 형성된 축공(77)에는 스윙롤러(7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나의 프레임조립체(82)를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프레임조립체(82)는 상기 베이스(71)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프레임(75)의 관통공(76)을 관통하여 그 외양측으로 돌출된 샤트프(74)의 양단이 상기 베이스(71)의 요홈(72)에 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조립체(82)는 와이어의 굵기에 따라 상기 샤프트(74)를 축으로 하여 상기 베이스(71)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되며, 과도한 유동이 발생되게 되면 스토퍼(73)에 의해 더 이상 유동되지 못하므로 그 유동폭이 제어되며 또한 보조프레임(80)중 상기 리미트스위치(81)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 보조프레임이 상승하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81)와 접촉하게 되면 이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5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유도부(90)는 상기 스윙형 가이드롤러(70)의 하측인 프레임(40)의 일측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스윙롤러(78)와 와이어(W)가 일직선이 되도록 다수쌍의 베이스포스트(91)를 구비하되 상기 베이스포스트(91)의 상단에는 각각 샤프트(92)를 고정시키며 상기 샤프트(92)의 일단에는 편방향유도롤러(94)가 삽입되고 상기 편방향유도롤러(94)는 상기 샤프트(92) 상에 삽입된 스프링(93)에 의해 탄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편방향유도롤러(94)는 상기 스프링(93)이 팽창되는 방향으로 항상 이동되려는 성질을 가진 채 상기 샤프트(92)의 일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1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따라 상승되는 보조와이어(12)는 편방향유도롤러(94)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드럼(10)의 일측부에 권취되게 된다.
이어, 상기 보조와이어(12)에 연결된 주와이어(W)가 상기 편방향유도롤러(94)를 통과한 후 스윙롤러(78)에 닿게 되면 상기 스윙롤러(78)가 상기 보조와이어(12)와 주와이어(W)의 지름 차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주와이어(W)와 직각방향, 즉 후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보조프레임(80)이 상승하여 리미트스위치(81)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81)가 작동하게 되면 신호를 송신한 실린더(51)가 동작하여 그 실린더로드(52)에 고정된 로울러(54)가 전진하면서 권취되는 주와이어(W)를 격벽(18)의 절개부(20)로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와이어(W)는 격벽(18)의 절개부(20)를 빠져나와 드럼(10)의 안내홈(22)을 따라 일정하게 권취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보조와이어(12)와 주와이어(W) 간의 지름차이로 인해 순간적으로 후측으로 밀렸던 스윙롤러(78)는 무게중심프레임(79)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며, 이에 따라 리미트스위치(81)를 작동시켰던 보조프레임(80)이 상기 리미트스위치(81)로부터 이탈되게 되고 이러한 리미트스위치(81)의 동작신호를 감지한 실린더(51)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드럼(10)의 지름 대비 보조와이어(12)의 길이를 산출하여 주와이어(W)가 정확하게 격벽(18)의 절개부(20)를 통해 유도될 수 있도록 제어가능하며 또한 상기 실린더(51)의 작동은 매우 짧은 순간동안 수행되게 된다.
그리하여, 주와이어(W)가 완전히 권취되게 되면 클립(24)으로 와이어(W)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스윙롤러와 실린더의 상호작용에 의해 주와이어를 보조와이어가 권취되는 부위로부터 주와이어가 권취되는 부위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와이어를 드럼에 권취하기 위해 수차례에 걸쳐 작업자가 드럼위로 올라갈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셋째, 간단한 제어만으로도 주와이어를 드럼에 용이하게 권취시킬 수 있음으로써 와이어의 권취유도시간이 감소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주와이어(W)를 권취유도하는 보조와이어(12)와 상기 주와이어(W)가 권취되는 부분이 절개부(20)를 갖는 격벽(18)에 의해 구획된 드럼(10)과,
    상기 드럼(10)에 권취되는 주와이어(W)가 상기 격벽(18)의 절개부(20)를 통해 주와이어 권취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18)의 인접 직하방에 설치된 파워실린더부(50)와,
    상기 보조와이어(12)와 주와이어(W)간의 지름 차이에 의한 굵기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파워실린더부(50)를 작동시키는 스윙형 가이드롤러부(70)와,
    상기 와이어(12)(W)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직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윙형 가이드롤러부(70)의 직하방에 설치된 유도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KR2019990025455U 1999-11-19 1999-11-19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KR200182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55U KR200182244Y1 (ko) 1999-11-19 1999-11-19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455U KR200182244Y1 (ko) 1999-11-19 1999-11-19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244Y1 true KR200182244Y1 (ko) 2000-05-15

Family

ID=19597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455U KR200182244Y1 (ko) 1999-11-19 1999-11-19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2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60B1 (ko) * 1999-12-29 2004-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용 와이어 유도장치
KR101272018B1 (ko) 2013-04-04 2013-06-11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크레인용 와이어윈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860B1 (ko) * 1999-12-29 2004-04-13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용 와이어 유도장치
KR101272018B1 (ko) 2013-04-04 2013-06-11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크레인용 와이어윈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0218B2 (ja) 糸通し装置を備えたミシン
KR200182244Y1 (ko) 기중기의 드럼와이어 자동유도장치
US4637592A (en) Elevated swinging device for placing slag retention devices in tapping converters
KR102579659B1 (ko) 수직관 내 협소공간 작업용 곤돌라 장치
CN209522382U (zh) 一种放线架
JP3288641B2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3261106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US3970287A (en) Guide block for a cable
CN212128939U (zh) 一种组合式自动液压限高门架
JP2595171B2 (ja) 地中連続壁掘削機用位置計測装置の共振防止装置
CN214326928U (zh) 一种锚定装置及起重设备
JPS5832852Y2 (ja) パイプ内面溶接装置
JP2522594B2 (ja) 地盤掘削機用ホ―スの巻取繰出し装置
JP2003336276A (ja) マンホール用収納式タラップ
CN209263661U (zh) 一种配重用炉门行程控制装置
JPS6236958B2 (ko)
JPH0723182Y2 (ja) ハンマードリルの保持装置
KR900011007Y1 (ko) 와인더용 보빈 홀더
JPS5839736Y2 (ja) ホ−スタワ−に於けるホ−スの落下防止装置
KR100426860B1 (ko) 하역기용 와이어 유도장치
JPH0740531Y2 (ja) 粗糸ボビンの着脱装置
KR950005587Y1 (ko) 타워엘리베이터의 카 브레이크
JPH0311503A (ja) 昇降装置
CN116281546A (zh) 一种用于钢筋笼的吊装设备
JPS6038739Y2 (ja) ワイヤ弛み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