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712Y1 -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12Y1
KR200181712Y1 KR2019950006034U KR19950006034U KR200181712Y1 KR 200181712 Y1 KR200181712 Y1 KR 200181712Y1 KR 2019950006034 U KR2019950006034 U KR 2019950006034U KR 19950006034 U KR19950006034 U KR 19950006034U KR 200181712 Y1 KR200181712 Y1 KR 200181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ub
circuit breaker
extinguish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675U (ko
Inventor
유만종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50006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12Y1/ko
Publication of KR960032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08Stationary parts for restricting or subdividing the arc, e.g. barrier plate

Abstract

본고안은 회로차단기의 소호실에 소호시 아크를 정확히 유도하고 아크의 길이를 연장시켜 아크저항을 증가시키므로써 소호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호홈이 형성된 소호판을 설치하여 회로차단기의 차단선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안은 양측판(1)의 사이에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비대칭형인 소호홈(2)이 형성된 복수개의 소호판(3)을 상기 소호홈(2)이 엇갈리게 적층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이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제1도는 종래 회로차단기의 소호실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로서,
(a)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가 접촉된 상태도.
(b)는 고정접촉자 및 가동접촉자가 이격된 상태도.
제3도는 종래 회로차단기의 소호실 내에서 소호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실을 나타낸 횡단면도.
제6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실에서 소호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판 2 : 소호홈
3 : 소호판
본고안은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차단기의 단락차단시 아크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과전류에 의한 사고발생시 2차측의 기기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차단기 내부의 접점을 이격시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시켜주는 장치로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이격시 접점사이에 발생하는 아크(arc)를 얼마나 빨리 소호시키느냐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차단성능이 좌우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이 아크를 소호시키는 방법으로는 아크를 냉각시키는 방법, 아크 이온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아크를 소호판 사이에 불어넣어 절연내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는데, 이 중에서 아크전류가 발생시키는 자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아크를 소호판 사이로 보내어 아크저항을 크게 하므로써 소호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자기취소형(磁氣吹消形) 소호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회로차단기 소호실(4a)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체결홈(10)이 형성된 양측판(1) 내측에 양측판의 체결홈(10)에 삽입되는 돌기(11)가 형성된 복수개의 소호판(3a)이 층을 이루도록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소호판(3a)의 U자형 소호홈(2A)에 의해 형성된 소호실(4A)의 공간부에는 고정접점(8)이 부착된 고정접촉자(6) 및 가동접점(7)이 부착된 가동접촉자(5)가 일정위치까지 삽입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이루어진 소호실(4a)을 가지는 회로차단기는 회로에 단락 등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를 경우 트립(Trip)신호를 전달받아 제2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6)에 접촉되어 있던 가동접촉자(5)를 제2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리시키게 되다.
이때 개리되는 고정접촉자(6)의 고정접점(8)과 가동접촉자(5)의 가동접점(7) 사이에는 아크(arc)(9)가 발생하며 아크발생 초기에는 아크가 가동접점(7)과 고정접점(8) 사이에 바로 연결되어 도전층인 아크를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이 아크 전류에 의해 주위에는 자기장이 생성되며 자기장 내의 자속의 밀도는 소호판(3a) 쪽이 낮고 소호판(3a)에 형성된 U자형 소호홈(2a)에 의해 이루어진 소호실(4a)의 공간부 쪽이 높다.
그리고, 아크(9)에는 로렌쯔 힘(Lorentz Force)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자속밀도의 차에 의해 아크(9)는 자속밀도가 낮은 소호판(3a) 사이의 공간으로 빨려들어 가게된다.
이에 따라, 아크(9)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호판(3a)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촉하여 열을 빼앗겨 냉각됨과 아울러, 각 소호판(3a)사이에 아크(9)가 원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전체적인 아크(9) 길이가 초기보다 훨씬 연장되므로써 아크저항이 증가되므로인해 소호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회로차단기의 소호실(4a)을 구성하는 소호판(3a)의 U자형 소호홈(2a)이 입구에서 안쪽까지 그 길이가 일정하고 소호홈(2a)의 위치 및 형상도 동일하여 아크(9) 발생시 아크가 소호판(3a) 안쪽으로 빨려들어 가지 못하고 소호홈(2a)양측으로 빨려들어갈 가능성이 컸을 뿐만 아니라, 소호되는 아크(9)의 길이를 더 크게 할 수 없어 회로차단기의 차단성능을 향상 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로차단기의 소호실을 구성하는 소호판을 개선하여 소호시 아크를 정확히 유도하고 아크의 길이를 더 연장시키므로써 아크저항을 증가시켜 소호능력을 향상시킨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고안은 양측판에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비대칭형인 소호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소호판을 상기 소호홈이 엇갈리게 적층되도록 설치하여서 된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이다.
이하,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실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제6도는 본고안에 따른 소호실에서 소호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고안은 양측판(1) 내측에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비대칭형인 소호홈(2)이 형성된 복수개의 소호판(3)을 상기 소호홈(2)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도록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에 단락 등으로 인해 과전류가 흐르게 될 때 회로차단기는 소호실(4)의 가동접촉자(5)를 고정접촉자(6)로 부터 개리시키게 된다.
이때, 가동접촉자(5)의 가동접점(7)과 고정접촉자(6)의 고정접점(8) 사이에는 아크(9)가 발생하게 되며 그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도전층인 아크(9)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자기장 내의 아크(9)에는 다시 로렌쯔 힘(Lorentz Force)이 작용하게 되며, 자기장 내의 자속밀도의 차에 의해 아크(9)는 자속밀도가 낮은 자성체인 소호판(3) 사이의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소호판(3)의 소호홈(2)은 입구가 안쪽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크(9)가 소호홈(2)의 양측면으로 끌려들어가지 않고 홈안쪽으로 정확하게 유도되어진다.
또한, 일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소호판(3)의 소호홈(2)이 서로 엇갈린 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소호홈(2)을 따라 소호판(3) 사이의 공간으로 끌려들어 가는 아크(9) 역시 지그재그형으로 엇갈리는 경로를 이루게 되므로 인해 종래에 비해 개리된 두 접점을 연결하는 아크(9)의 총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장된 길이만큼 아크(9) 저항이 커지므로 아크(9) 전류가 감소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소호가 이루어지므로써 회로차단기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회로차단기의 소호실(4)에 소호시 아크(9)를 정확히 유도하고 아크의 길이를 연장시켜 아크 저항을 증가시키므로써 소호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호판(3)을 설치하여 회로차단기의 차단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양측판(1)의 사이에 안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비대칭형인 소호홈(2)이 형성된 복수개의 소호판(3)을 상기 소호홈(2)이 엇갈리게 적층되도록 설치하여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KR2019950006034U 1995-03-30 1995-03-30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KR200181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034U KR200181712Y1 (ko) 1995-03-30 1995-03-30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034U KR200181712Y1 (ko) 1995-03-30 1995-03-30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675U KR960032675U (ko) 1996-10-24
KR200181712Y1 true KR200181712Y1 (ko) 2000-05-15

Family

ID=1941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034U KR200181712Y1 (ko) 1995-03-30 1995-03-30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967B1 (ko) 2002-10-31 2006-12-18 에너지 서포트 코포레이션 소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967B1 (ko) 2002-10-31 2006-12-18 에너지 서포트 코포레이션 소호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675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3479B1 (en) Arc extinguishing arrangement for electric current limiting circuit breakers
RU2479060C2 (ru) Дугога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прерыватель, оснащенный одним таким дугогас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EP0231600B1 (en) Current limiting circuit interrupter
US6717090B2 (en) Arc quenching configuration for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6794595B2 (en) Electrical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an arc extinguishing chamber equipped with deionizing fins
JP3216776B2 (ja) 回路遮断器
KR910002968B1 (ko) 회로차단기
US7081596B2 (en) Arc-quench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s having double-break contacts
JP2010020975A (ja) 回路遮断器
KR200181712Y1 (ko) 회로차단기의 소호판 체결구조
CN115763182A (zh) 一种灭弧模块
CA2640832A1 (en) Gassing insulator assembly, and conductor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692318B1 (ko) 변압기
EP0195862B1 (en) Arc chute for a circuit breaker
KR0152872B1 (ko) 전기개폐장치용 아크실
EP0165998B1 (en) Power switch
EP0124621B1 (en) Switch
JPH08315706A (ja) 消弧装置
JP3647536B2 (ja) 開閉器
JPH07211179A (ja) 消弧装置
US20060044091A1 (en) Low voltage circuit breaker
JPH01159926A (ja) 回路しや断器
KR880003289Y1 (ko) 개폐기
JP2562867B2 (ja) 開閉器
SU1081691A1 (ru) Высоковольтна дугогасительна каме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