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495Y1 -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495Y1
KR200181495Y1 KR2019990027791U KR19990027791U KR200181495Y1 KR 200181495 Y1 KR200181495 Y1 KR 200181495Y1 KR 2019990027791 U KR2019990027791 U KR 2019990027791U KR 19990027791 U KR19990027791 U KR 19990027791U KR 200181495 Y1 KR200181495 Y1 KR 200181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mmunication
telephone
business card
type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2019990027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4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6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magnetic recording, e.g. on tape
    • H04M1/276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magnetic recording, e.g. on tape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magnetic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용 번호, 즉 전화번호 또는 팩시밀리번호 등을 내장하고 있는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여 통신용 번호를 간단하게 입력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번호를 인식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상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으로부터 통신 번호를 인식하도록 된 번호 인식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여, 다른 통신번호를 입력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특히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기업비밀문서를 발송하는 경우에 엉뚱한 상대방에게 문서내용을 공개할 가능성을 배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COMMUNICATIONS APPARATUS USING CARD TYPE NAMEPLATE WITH COMMUNICATION NUMBERS}
본 고안은 통신용 번호, 즉 전화번호 또는 팩시밀리번호 등을 내장하고 있는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여 통신용 번호를 간단하게 입력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장치, 예컨대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등은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번호를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누름으로써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이하, 이러한 종래의 통신장치에 대한 번호 인식방식을 버튼방식이라 한다). 도1은 종래의 버튼방식을 따르는 통신장치중 전화기(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전화기 본체(2)에는 누르거나 접촉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버튼(3)이 설치되고, 이 버튼(3)의 각각에는 숫자(또는 그 밖의 문자) 및 특수문자 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화기 본체(2)에는 전화선로(4)가 연결되어 있다. 즉, 전화를 걸기 위하여는 송수화기가 형성된 핸드셋(5)을 들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버튼(3)을 통해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통신장치를 소유한 개인과 단체는 단지 구두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자신의 통신장치가 가지는 통신용 번호를 인식시키거나, 또는 그러한 통신용 번호가 인쇄된 별도의 명함 등을 상대방에게 줌으로써 그 상대방에게 자신과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버튼방식 통신장치는, 버튼을 눌러 긴 통신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수로 다른 번호를 입력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경우 통신을 다시 시도하여야 하는 등 시간 및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것이며, 특히 팩시밀리의 경우, 문서 내용이 다른 상대방에게 공개될 우려가 있고 이것이 기업비밀 등일 경우에는 치명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도 있는 문제점도 가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버튼방식 통신장치가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용 번호, 즉 전화번호 또는 팩시밀리번호 등을 내장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여 통신용 번호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번호를 입력하는 실수에 의한 시간 및 경제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전화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전화기를 도시한 외형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형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형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번호 인식부가 전화기 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실시할 수 있음을 보이는 외형도;
도5 내지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에 사용될 수 있는 카드식 명함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9는 일반적인 전화기에 대한 개략 구성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에 대한 개략 구성도;이다.
*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화기
102 ... 전화기 본체
103 ... 버튼
104, L1, L2 ... 전화선로
110, 110', 110' ... 번호인식부
200A, 200B, 200C, 200D ... 카드식 명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번호를 인식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상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으로부터 통신 번호를 인식하도록 된 번호 인식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통신장치중 전화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며, 팩시밀리, 핸드폰 등 다른 통신장치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따르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2 및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통신장치인 전화기(100)를 보이는바, 이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기판(미도시)등을 내장한 전화기 본체(102)를 가지며, 상기 전화기 본체(102)의 상부면 등 적절한 개소에는 누르거나 접촉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다수개의 버튼(103)을 설치하고, 상기 버튼(103)의 각각에는 숫자(또는 그 밖의 문자) 및 특수문자 등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전화기 본체(102)에 전화선로(104)가 연결되어 있는 등의 구성은 종래의 전화기(1)(도1 참조)가 가지는 대략의 구성과 유사하다. 또한, 일반적인 전화기(도9 참조)가 마찬가지로 전화선로(L1)(L2)로부터 입력되는 링(Ring) 신호를 검출하여 링신호를 스피커(SP)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하는 링거회로(11), 후술하는 카드식 명함 또는 버튼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입력번호를 내장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여 스피커폰 기능신호와 다이얼송출신호 등을 출력하는 마이컴(13), 상기 마이컴(13)에서 펄스 다이얼 송출제어신호에 의해 펄스신호를 국선으로 송출하는 다이얼 펄스 송출회로(14), 핸드셋(Hand Set)의 송수화기와 연결되어 핸드셋을 들었을 때 통화로를 형성하고 마이컴의 DTMF(Dual Tone Mixed Frequency) 다이얼 송출 제어신호에 의해 다중주파부호를 발생 출력하는 통화회로(15), 상기 마이컴(13)의 스피커폰 기능신호의 출력에 의해 핸드셋의 마이크(MIC)와 스피커(SPK)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통화회로의 다중주파부호를 송출하는 스피커폰 회로(16) 등을 가진다. 또한, 핸드셋을 들고 놓음에 따라 국선을 온/오프 시키는 훅크스위치(H1), 상기 훅크스위치(H1)에 병렬 접속되어 있어 마이컴(13)에서 출력하는 스피커폰 기능신호의 온-오프에 의해서 국선을 온/오프 훅크하는 아날로그 스위치(A1)를 가진다. 물론, 예약신호 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다른 버튼(미도시)들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버튼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편의상 기재한 것일 뿐 결코 본 고안의 구성을 제한하고자 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 고안의 전화기(100)는 통신용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으로부터 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된 번호 인식부(110)를 가진다. 물론, 본 고안의 전화기(100)는 누르거나 접촉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된 다수개의 버튼(103)을 생략하고, 단지 카드식 명함만에 의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카드식 명함은 이름과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이 적혀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드식 명함(200A)(200B)(200C)(200D)은,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자기 테이프(210A), 바코드(210B) 또는 메모리소자(미도시)를 가지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원형,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구멍을 형성한 천공부(210C)(210D)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근무하는 회사, 핸드폰 및 집과 같이 다수개의 전화번호를 함께 저장하기에 용이한 자기 테이프형 카드식 명함(200A)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상기 번호 인식부(110)는 카드식 명함의 종류에 따라, 또한 그 카드식 명함이 장착되는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카드식 명함에서 전화번호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 자기 테이프, 바코드, 천공부 및 메모리소자 등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가에 부합하여 번호 인식부가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자기 테이프형 카드식 명함에 의해 작동하는 전화기의 번호 인식부는 자기 테이프를 판독하여 그로부터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하고, 바코드형 카드식 명함에 의해 작동하는 전화기의 번호 인식부는 바코드를 판독하여 그로부터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하며, 천공형 카드식 명함에 의해 작동하는 전화기의 번호 인식부는 천공부를 판독하여 그로부터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함은 물론, 메모리소자형 카드식 명함에 의해 작동하는 전화기의 번호 인식부는 메모리소자를 판독하여 그로부터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카드식 명함이 방법이 도2에 도시한 것처럼 슬릿(slit)형 명함삽입구(120)에 끼워지도록 장착하는가, 또는 도3에 도시한 것처럼 명함안착홈(120')에 명함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장착하는가 등에 따라 번호 인식부가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명함삽입구(120) 및 명함안착홈(120')은 전화기 본체의 상부면, 측면 및 저면의 어느 개소에 위치시켜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상부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카드식 명함의 장착 용이성 등을 위해 좋다.
그리고, 상기 번호 인식부(110)(110')(110')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것처럼 전화기를 이루는 본체에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4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와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번호 인식부(110')를 본체와 분리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전화선로(140)가 번호 인식부(110')를 통하여 또다른 선로(112)를 통해 본체(102')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선로(112)는 번호 인식부(110')에서 읽어들인 전화번호를 본체(102')로 연결하는 기능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며, 어떠한 경우이든지, 상기 번호 인식부(110)(110')(110')는 버튼입력부(12)의 입력신호를 내장프로그램에 의해서 분석하여 스피커폰 기능신호, 다이얼송출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3)에 연결됨으로써 버튼입력부(12)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마이컴(13)에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다수개(회사, 핸드폰 및 집)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자기 테이프형 카드식 명함(200A)을 번호 인식부(110)(110')(110')에 장착한 후, 회사에 전화를 걸기 위하여는 버튼 입력부(12)의 '1' 버튼,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기 위하여는 버튼 입력부(12)의 '2' 버튼, 집에 전화를 걸기 위하여는 버튼 입력부(12)의 '3' 버튼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번호 인식부(110)(110')(110')와 버튼 입력부(12)의 정보가 함께 작용하여 원하는 번호로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식 명함(200A)(200B)(200C)(200D)은 국선을 온/오프 시키는 훅크스위치 핸드셋(105)을 들기 전이나 또는 든 후 어느때 장착하여도 관계없도록 마이컴(13)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인식부는 그 지역의 지역번호를 인식하여 제외시키으로써 같은 지역내 전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에 의하면, 통신번호를 카드식 명함에 의하여 간단하게 정확하게 입력함으로써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통신번호, 특히 이동전화나 국제통신과 같이 긴 통신번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다른 통신번호를 입력할 가능성을 배제하고, 특히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기업비밀문서를 발송하는 경우에 엉뚱한 상대방에게 문서내용을 공개할 가능성을 배제한다.
또한, 버튼식 통신장치를 이용하기에 곤란한 경우에 카드식 명함으로 간단하게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Claims (7)

  1. 번호를 인식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된 통상의 통신장치에 있어서,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으로부터 통신 번호를 인식하도록 된 번호 인식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는 카드식 명함(200A)에 부착된 자기테이프(210A)로부터 번호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는 카드식 명함(200B)에 형성된 바코드(210B)로부터 번호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는 카드식 명함(200C)(200D)에 형성된 천공부(210C)(210D)로부터 번호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는 카드식 명함에 부착된 메모리 소자로부터 번호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110)(110')는 장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인식부(110')는 장치 몸체와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2019990027791U 1999-12-10 1999-12-10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KR200181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91U KR200181495Y1 (ko) 1999-12-10 1999-12-10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791U KR200181495Y1 (ko) 1999-12-10 1999-12-10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495Y1 true KR200181495Y1 (ko) 2000-05-15

Family

ID=1960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91U KR200181495Y1 (ko) 1999-12-10 1999-12-10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4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7534A (ja) 通信装置
US8112064B2 (en) Function lock information notif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14160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音声入出力制御方法
KR200181495Y1 (ko) 번호가 내장된 카드식 명함을 이용하는 통신장치
JPS58111468A (ja) 電話自動ダイヤル信号発信装置
JPS6316063B2 (ko)
JPS62188539A (ja) 発呼者識別機能付電話機
WO2002062042A1 (fr) Dispositif terminal d'informations portable, pliable et procede d'affichage d'informations du dispositif
JPH10164205A (ja) 携帯電話機
JPS6085654A (ja) 自動電話発信装置
EP0495252A1 (en) Memory card and switching system suitable for using the same
JPS60254955A (ja) 記録媒体付名刺によるオ−トダイヤル装置
KR200193157Y1 (ko)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통화시스템
KR100243900B1 (ko) 전화기의 문자 송수신장치 및 휴대용 문자 송수신장치
KR20020022845A (ko) 바코드 리더가 장착된 휴대폰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S60103759A (ja) 名刺および該名刺を用いた電話番号自動ダイヤル方式
KR0174618B1 (ko) 무선 호출기의 개선된 수신정보 확인회로 및 방법
JPS6025358A (ja) 電話器に於ける名刺及各種カ−ド類を利用した插込式ダイヤル通信方法
WO2002054713A2 (en) A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KR950002757B1 (ko) 자기기록부를 갖춘 명함과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JPH02121553A (ja) 電話自動呼出し装置
JP3035059U (ja) 携帯電話
KR100374986B1 (ko) 전화번호저장 및 표시장치
JPH01199223A (ja) ラベル付パネルスイッチ
JPS62114366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