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813Y1 - 블럭형 조립식 암거 - Google Patents

블럭형 조립식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813Y1
KR200180813Y1 KR2019990028742U KR19990028742U KR200180813Y1 KR 200180813 Y1 KR200180813 Y1 KR 200180813Y1 KR 2019990028742 U KR2019990028742 U KR 2019990028742U KR 19990028742 U KR19990028742 U KR 19990028742U KR 200180813 Y1 KR200180813 Y1 KR 200180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vert
rod member
vertical
filling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기
김태열
Original Assignee
문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일산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Abstract

본 고안은 매설된 토양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각각의 암거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각각의 암거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암거가 결합된 상태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럭형 조립식 암거{A BLOCK-TYPE ASSEMBLY CULVERT}
본 고안은 암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설된 토양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각각의 암거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각각의 암거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암거가 결합된 상태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블럭형 조립식 암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암거는 우수ㆍ오수 및 농공업용수 등의 수로를 형성하거나, 인도 및 차도 등의 통행로를 만들거나, 전기통신 및 온ㆍ냉관로 등의 매설을 위한 지하 공동구의 제작 농수산물의 저장창고 제작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암거의 종래 기술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양단부가 개구된 사각 통체로 형성되어 있되, 그 양단 개구부는 수직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각 통체의 내측 모서리부 네지점에는 양단이 관통된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종래 암거를 시공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암거를 매설할 지역에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의 터파기를 실시한 후에, 암거가 놓여지는 부분에 기초잡석 및 기초 콘크리트 등의 기초공사를 실시하여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강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기초공사를 실시한 후에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시공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나서, 암거를 크레인 등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시공 모르타르의 표면에 부설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시공 모르타르의 표면에 암거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를 부설한다.
여기서, 기 부설된 암거에 새로운 암거를 부설할 때, 기 부설된 암거의 일측 개구부에 새로운 암거의 일측 개구부가 상호 접촉되도록 상기 크레인의 조정 작업에 주의를 기울여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암거를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되, 각각이 상호 접촉되도록 한 후에, 암거의 네지점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으로 와이어를 삽입하되, 다수개의 암거가 연결되도록 삽입한다.
이후, 암거에 삽입된 와이어의 양단을 지면 내부에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장력이 발생되도록 팽팽하게 고정 설치하여 암거 결합체를 이루는 조인팅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암거의 부설 및 암거들간의 조인팅을 완료한 후에 터파기를 실시할 때 생긴 토양을 이용하여 되메우기를 실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암거의 설치 작업시 되메우기 작업에서 암거 결합체들은 와이어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토양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암거 결합체들은 그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거를 우수ㆍ오수 및 농공업용수 등의 수로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암거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호의 기밀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누수의 염려도 있었다.
또한, 각각의 암거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각 암거들의 와이어 삽입공을 정확하게 얼라인되도록 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매설된 토양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각각의 암거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고, 각각의 암거를 결합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암거가 결합된 상태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블럭형 조립식 암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암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암거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각 통체 11 : 내측 모서리부
11a : 와이어 삽입공 12 : 일측 테두리
12a : 제1 수직면 12b : 제1 경사면
12c : 제2 수직면 13 : 타측 테두리
13a : 제4 수직면 13b : 제2 경사면
13c : 제3 수직면 14a : 제1 충진홈
14b : 제2 충진홈 14c : 제3 충진홈
14d : 충진재 주입구 15 : 지지 봉부재
16 : 봉부재 삽입홈
이하, 본 고안에 블럭형 조립식 암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암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암거를 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암거는, 그 외관이 대략 사각 통체(1)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는 양측이 개구되도록 관통되고, 사각 통체(1)의 내측 모서리부(11)의 네지점에는 와이어 삽입공(11a)이 통체(1)의 양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사각 통체(1)의 일측 테두리(12)는 통체(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제1 수직면(12a)과, 이 제1 수직면(12a)의 하부로부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면(12b)과, 제1 경사면(12b)의 하부로부터 통체(1)의 하단부까지 형성되는 제2 수직면(12c)으로 이루어진다.
사각 통체(1)의 타측 테두리(13)는, 일측 테두리(12)의 제2 수직면(12c)에 대응하여 통체(1)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제3 수직면(13c)과, 일측 테두리(12)의 제1 경사면(12b)에 대응하여 제3 수직면(13c)의 상부로부터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면(13b)과, 일측 테두리(12)의 제1 수직면(12a)에 대응하여 제2 경사면(13b)의 상부로부터 통체(1)의 상단부까지 형성되는 제4 수직면(13a)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제3 수직면(12a,13a)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제1 충진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경사면(12b,13b)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1 충진홈(14a)과 연결되는 제2 충진홈(14b)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수직면(12c,13c)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2 충진홈(14b)과 연결되는 제3 충진홈(14c)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 통체(1)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충진홈(14a)과 연통되도록 충진재 주입구(14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충진홈(14a,14b,14c)은 그 단면이 임의의 형상중 그 어떤 것으로도 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사각 단면 또는 원형의 단면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이 충진홈(14a,14b,14c)에 충진되는 재료는 모르타르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1 경사면(12b)상에는 철근 등의 철재 재질로된 지지 봉부재(15)가 소정 높이로 설치되며, 상기 제4 수직면(12a)에는 상기 지지 봉부재(15)가 삽입 가능하게 상방향으로 봉부재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부재 삽입홈(16)은 본 고안의 도면상에서는 제2 경사면(13b)과 통체(1)의 상단면을 상호 연통시켜서 형성된 삽입공으로 대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암거의 시공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시공 절차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터파기 및 기초공사를 실시한 후에 최초의 암거(2) 하나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지면에 부설한다.
이후에, 또 다른 암거(3)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기 설치된 암거(2)의 상측에 근접시키되, 설치할 암거(3)의 봉부재 삽입홈(16)이 기 설치된 암거(2)의 지지 봉부재(15)에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근접시킨다.
그리고 나서, 설치할 암거(3)를 하강시켜 기 설치된 암거(2)의 지지 봉부재(15)이 설치할 암거(3)에 형성된 봉부재 삽입홈(16)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기 설치된 암거(2)의 지지 봉부재(15)와 설치할 암거(3)의 봉부재 삽입홈(16)의 상호 결합이 완료되면, 기 설치된 암거(2)의 제1 수직면(12a), 제1 경사면(12b) 및 제2 수직면(12c)에 설치할 암거(3)의 제4 수직면(13a), 제2 수직면(13b) 및 제3 수직면(13c)이 상호 대응하여 접촉된다.
이후에, 암거(2,3)의 내측 모서리부(11)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11a)에 와이어(미도시)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암거들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후, 암거에 삽입된 와이어의 양단을 지면 내부에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장력이 발생되도록 팽팽하게 고정 설치하여 최종적으로 다수개의 암거를 조인팅한다.
이후, 외부에서 모르타르 등의 재료를 충진재 주입구(14d)를 통해 주입하면, 상기 재료는 자중에 의해 제1 충진홈(14a), 제2 충진홈(14b) 및 제3 충진홈(14c)을 순서적으로 거쳐 충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재료가 충진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재료는 자체 특성에 의해 경화됨과 동시에 기 설치된 암거(2)와 설치할 암거(3)의 측부로부터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봉부재 삽입홈(16)에도 상기 모르타르를 충진하여 공사를 마무리한다.
전술한 순서를 반복하여 암거를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암거들간의 조인팅을 완료한 후에 터파기를 실시할 때 생긴 토양을 이용하여 되메우기를 실시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각각의 암거를 결합하는 작업을 지지 봉부재와 봉부재 삽입공만을 얼라인시킴으로써, 각각의 암거에 형성된 와이어 삽입공이 자동적으로 얼라인되고, 각각의 암거들을 와이어 연결한 것 이외에도 봉부재 삽입공에 지지 봉부재가 추가적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매설된 토양으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각각의 암거들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으며, 암거들이 상호 결합된 접합부 사이에 충진재를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누수의 염려를 없앨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양측이 개구되도록 관통 형성되며, 내측 모서리부(11)에 길이 방향으로 와이어 설치공(11a)이 관통 형성된 사각 통체(1)로 이루어진 암거에 있어서,
    상기 사각 통체(1)의 일측 테두리(12)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제1 수직면(12a)과; 상기 제1 수직면(12a)의 하부로부터 소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1 경사면(12b)과; 상기 제1 경사면(12b)의 하부로부터 하단부까지 형성되는 제2 수직면(12c);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각 통체(1)의 타측 테두리(13)는, 상기 제2 수직면(12c)에 대응하여 상기 사각 통체(1)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제3 수직면(13c)과; 상기 제1 경사면(12b)에 대응하여 상기 제3 수직면(13c)의 상부로부터 소정 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 경사면(13b)과; 상기 제1 수직면(12a)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경사면(13b)의 상부로부터 상단부까지 형성되는 제4 수직면(13a);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조립식 암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12b)상에는 소정 높이의 지지 봉부재(15)가 설치되며, 상기 제3 수직면(13c)에는 상기 지지 봉부재(15)가 삽입 가능하게 상방향으로 봉부재 삽입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봉부재(15)와 상기 봉부재 삽입홈(16)에는 모르타르등의 충진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조립식 암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3 수직면(12a,13c)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제1 충진홈(1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경사면(12b,13b)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1 충진홈(14a)과 연결되는 제2 충진홈(14b)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제4 수직면(12c,13c)에는 각각 상호 대응되게 상기 제2 충진홈(14b)과 연결되는 제3 충진홈(14c)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 통체(1)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충진홈(14c)과 연통되도록 충진재 주입구(14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형 조립식 암거.
KR2019990028742U 1999-05-08 1999-12-18 블럭형 조립식 암거 KR20018081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820U KR19990034869U (ko) 1999-05-08 1999-05-08 블럭형조립식암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20U Division KR19990034869U (ko) 1999-05-08 1999-05-08 블럭형조립식암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813Y1 true KR200180813Y1 (ko) 2000-05-15

Family

ID=19576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20U KR19990034869U (ko) 1999-05-08 1999-05-08 블럭형조립식암거
KR2019990028742U KR200180813Y1 (ko) 1999-05-08 1999-12-18 블럭형 조립식 암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820U KR19990034869U (ko) 1999-05-08 1999-05-08 블럭형조립식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3486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41B1 (ko) * 2012-10-08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워셔액 분사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869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3538B (zh) 一种高流塑深层软基下的钢板桩支护施工方法
CN108071122A (zh) 装配式地下管廊及其施工方法
KR102431393B1 (ko)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207512777U (zh) 装配式地下管廊
KR101902786B1 (ko) 합성쉬트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KR101902791B1 (ko) 합성강관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WO2009005244A2 (en) Method for burying hume pipes and support block used in the method
KR200180813Y1 (ko) 블럭형 조립식 암거
KR102229586B1 (ko) 강재지수판을 이용한 지중벽체용 pc벽체
KR101974826B1 (ko) 인터로킹 시컨트 프리캐스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지지 벽체의 시공방법
KR101817712B1 (ko) 암거 및 암거 시공방법
CN215669558U (zh) 基坑支护体系的前置式斜桩
CN112376509B (zh) 一种水利农业灌溉防渗渠道的施工方法
KR20030008604A (ko) 구름수단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설치방법
CN106284299A (zh) 用于构建管廊侧壁的h型混凝土桩及地下连续墙
CN106480875B (zh) 用于构建管廊侧壁的矩形混凝土桩
CN110424488A (zh) 一种地下连续墙的施工方法
CN115262588B (zh) 一种装配式自适应边坡坡面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224760Y1 (ko) 암거 조립체
KR20010016504A (ko) 암거 조립체
JP2985063B2 (ja) ケーソンプレハブ人孔およびその施工法
CN218148759U (zh) 装配式截、排水沟
KR101352429B1 (ko) 파형 강판 세그먼트를 이용한 방수형 가설 흙막이 공법
JPH0813495A (ja) 土留め壁及びその構築工法
CN210013081U (zh) 市政道路排水边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