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8213Y1 -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8213Y1
KR200178213Y1 KR2019990018869U KR19990018869U KR200178213Y1 KR 200178213 Y1 KR200178213 Y1 KR 200178213Y1 KR 2019990018869 U KR2019990018869 U KR 2019990018869U KR 19990018869 U KR19990018869 U KR 19990018869U KR 200178213 Y1 KR200178213 Y1 KR 200178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plit
connection structure
paper box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근
Original Assignee
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근 filed Critical 정형근
Priority to KR2019990018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82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8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8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내지 결합부에서 파열됨이 없이 견고하며, 중대형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는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제공한다.
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는, 분할상태의 합지로 된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에서 연결되어 몸체를 구성하는 지함(600)의 몸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가 적어도 그 결합부(210,310,410,510)에서 소정의 폭 내지 두께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가 각각 서로 연결된 때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0b,40b,50b)과 결합돌출부(30a,40a,50a)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함의 입체연결구조{assembling structure for cardboard furniture}
본 고안은 지함의 입체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연결부 내지 결합부에서 파열됨이 없고 견고할 뿐만 아니라, 중대형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는 지함의 입체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함(10)의 일구조가 도 1에 그 형성방법과 함께 도시된다. 도 1에서 지함(10)은, 상자형상으로서 바닥부(16)와 측벽부(12,13,14,15)로 구성되며,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벽부(12,13,14,15)와 바닥부(16)사이에 하드보드(합지)의 반칼 절곡선(12',14')이 형성되고, 그 반칼 절곡선(12',14')에서 측벽부(12,13,14,15)를 절곡시키고, 접착신 후, 내면이나 외면에 한지(1)를 부착시킴으로써 미려한 외관의 지함(10)이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의 지함(10)은,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파열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중량물을 위한 구조나, 중,대형의 지함은 제작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량이면서도 연결부 내지 결합부에서 파열됨이 없이 견고하며, 중대형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는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지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한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일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과 관련한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분할분리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6-6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지함의 분할분리부재의 전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로서 도 5 및 도 6과 비교할 때, 일면의 벽부만으로 형성된 지함의 분할분리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할분리부재를 보강골격부재에 의해 보강시킨 구조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 지함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55,610: 한지 10,20,600: 지함
12,13,14,15: 측벽부 16: 바닥부
12',14': 반칼 절곡선 22,23,24,25: 측벽부
22a,23a,24a,25a,26a: 돌출부 22b,23b,24b,25b,26b: 요홈부
30,50: 분할분리부재 30a,40a,50a: 결합돌출부
30b,40b,50b: 결합공 32,35,44: 전방 및 후방 벽부
33,34: 측벽부 40: 합지판부재
41,42,43: 분할지주판 46,56: 보강지주
51: 벽부 53,57: 보강골격부재
210,310,410,510: 결합부 601,602,603,604: 분할분리부재
620: 받침대 630: 상단 장식대
L1: 단부 L2,L3,L4: 반칼 절곡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는, 분할상태의 합지로 된 다수의 분할분리부재의 결합부에서 연결되어 몸체를 구성하는 지함 몸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가 적어도 그 결합부에서 소정의 폭 내지 두께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의 결합부가 각각 서로 연결된 때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과 결합돌출부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공과 결합돌출부는, 그 통형상의 분할분리부재의 두께 내지 폭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형성되고, 그 결합공을 절단해냄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분리부재의 통형상 결합부는, 그 전개상태의 합지판부재에 다수의 반칼 절곡선을 형성하고, 그 하나의 내측 반칼 절곡선상에 다수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그 접음으로써 결합돌출부와 함께 결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할분리부재의 결합부는, 통형상으로서 내부가 빈 공간이고, 그 빈 공간에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지주대가 삽입, 부착됨으로써 더욱 강한 구조로 되며; 상기 분할분리부재의 결합부이외의 부분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통형 보강골격부재로 보강됨으로써 경제적이고 견고한 구조의 지함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과 관련한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구조들이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다.
도 3은, 분할상태의 합지로 된 다수의 분할분리부재(22,23,24,25)로 지함(20)이 그 각 결합부(210)에서 연결되어 몸체를 구성하며, 그 몸체의 외면 내지 내면에 한지가 부착되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22,23,24,25)의 결합부(210)가 각각 서로 연결된 때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다수의 요홈부(22b,23b,24b,25b,26b)와 돌출부(22a,23a,24a,25a, 26a)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다.
또, 도 4에서 측벽부가 바닥부(26)로부터 전개상태로 도 1에서와 같이 반칼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어 결합되는 분할분리부재(22,23,24,25)의 결합부(210)에 적용된다. 즉, 그 결합부(210)에 돌출부(22a,23a,24a,25a,26a)와 요홈부(22b,23b,24b,25b,26b)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 때에 그 돌출부(22a,23a,24a,25a,26a)와 요홈부(22b,23b,24b,25b,26b)가 각각 맞물려 결합되게 되고, 그 결합부를 부착시킨 후, 내면이나 외면을 한지로 부착함으로써 미려한 지함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함(20)은 외력에 의해서도 종래의 지함과는 달리 그 연결부 내지 결합부(210)에서 견고하게 돌출부(22a,23a,24a,25a,26a)와 요홈부(22b,23b,24b,25b,26b)가 결합되어 있어 쉽게 파열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분할분리부재(22,23,24,25)의 구조가 분해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지함(600)은,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지로 된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가 그 결합부(310,410,510)에서 연결되어 받침대(620) 및 상단 장식대(630)와 함께 몸체를 구성하도록 다양하게 분할된다. 도면에서는 평면구조의 분할분리부재(30,50)가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몸체의 외면 내지 내면에는 다양한 지질, 구조, 색상 등의 한지(610)가 부착되어 지함(600)의 미려함을 제공하게 된다.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서는 그 분할분리부재(30,50)가 적어도 그 결합부(310,410,510)에서 소정의 폭 내지 두께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가 각각 서로 연결된 때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0b,40b,50b)과 결합돌출부(30a,40a,50a)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분할분리부재(30) 자체가 전방 및 후방 벽부(35,32)와 한쌍의 측벽부(33,34)로 구성되는 직사각단면 형상의 통형상으로서, 그 측벽부(33,34)와 전방 벽부(35)사이 결합부(310)에서 그 통형상의 두께와 폭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결합공(30b)을 절단해냄으로써 결합돌출부(30a)가 결합공(30b)과 함께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결합부(310)에서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지주대(36)이 동일하게 결합공(30b,40b,50b)과 결합돌출부(30a,40a,50a)가 형성되어 그 결합부(3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접착제 등으로 강하게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 양단의 결합부(310)사이에서 통형상의 내부에 보강골격부재(37)가 삽입,부착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여하한 전개구조에 의해 제한 되는 것도 아니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함의 입체연결구조를 채용한 지함의 분할분리부재(40')의 구조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되고, 도 7에는 그 분할분리부재(40')의 형성방법의 일예로서의 전개도가 도시된다.
도 8에서의 상기 분할분리부재(40')의 통형상 결합부(410)는, 도 7에서같이 그 전개상태의 합지판부재(40)에 다수의 반칼 절곡선(L2,L3,L4)를 형성하고, 그 하나의 내측 반칼 절곡선(L4)상에 다수의 결합공(40b)을 형성하여 접은 뒤, 단부(L1)에서 부착시킴으로써 결합돌출부(40a)와 함께 결합부(410)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분할분리부재(40')의 결합부(410)는, 통형상으로서 내부가 빈 공간이고, 그 빈 공간에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지주대(46)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부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결합공(40b)과 결합돌출부(40a)도, 그 통형상의 분할분리부재(40')의 결합부(410)의 두께와 폭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도 8의 분할분리부재(40')에 보강골격부재(53,57)를 부착하여 보강시킨 구조의 분할분리부재(50)가 사시도로서 도시되며, 그 일면에 한지(55)가 부착되며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에서도 본 고안에 따라 결합부(510)에 결합공(50b)와 결합돌출부(50a)가 다수 형성되며, 바닥부 내지 벽부(51)이 보강골격부재(53,57)에 의해 보강된다.
상술한 분할분리부재(30,50)와 같은 분할분리부재(601,602,603,604)가 받침대(620)상에 배치되면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부(310,410,510)에서 결합되고 상단 장식대(630)가 그 결합된 분할분리부재(601,602,603,604)의 상부에 부착됨으로써 중대형의 지함(600)이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함(600)도 그 입체연결구조로 인하여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대해 파열됨이 없으며, 또한,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 위와 같은 결합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지함의 입체연결구조에 의하면, 결합돌출부(30a,40a,50a) 및 결합공(30b,40b,50b)의 구성에 의해 경량이면서도 연결부 내지 결합부에서 파열됨이 없이 견고하며, 중대형의 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후, 조립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분할상태의 합지로 된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에서 연결되어 몸체를 구성하는 지함(600)의 몸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가 적어도 그 결합부(210,310,410,510)에서 소정의 폭 내지 두께를 가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가 각각 서로 연결된 때에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다수의 결합공(30b,40b,50b)과 결합돌출부(30a,40a,50a)가 서로 엇갈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30b,40b,50b)과 결합돌출부(30a,40a,50a)는, 그 통형상의 분할분리부재(30,50)의 두께 내지 폭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형성되고, 그 결합공(30b,40b,50b)을 절단해냄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분할분리부재(30,50)의 통형상 결합부(410)는, 그 전개상태의 합지판부재(40)에 다수의 반칼 절곡선(L2,L3,L4)를 형성하고, 그 하나의 내측 반칼 절곡선(L4)상에 다수의 결합공(40b)을 형성하여 접음으로써 결합돌출부(40a)와 함께 결합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는, 통형상으로서 내부가 빈 공간이고, 그 빈 공간에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지주대(36,46,56)가 삽입, 부착되며;
    상기 분할분리부재(30,50)의 결합부(310,410,510)이외의 부분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통형 보강골격부재(37,53,57)로 보강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KR2019990018869U 1999-09-06 1999-09-06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KR200178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69U KR200178213Y1 (ko) 1999-09-06 1999-09-06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69U KR200178213Y1 (ko) 1999-09-06 1999-09-06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8213Y1 true KR200178213Y1 (ko) 2000-04-15

Family

ID=1958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869U KR200178213Y1 (ko) 1999-09-06 1999-09-06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82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9398A1 (en) Display with shelves
US6095408A (en) One-piece multiple-compartment shipping and display box
KR200178213Y1 (ko) 지함의 입체연결구조
RU2370298C2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JPH0940023A (ja) 紙製防水箱
US6092718A (en) Paper lunch box
JP3251931B2 (ja) 折り畳み可能な商品陳列棚
AU2007202712A1 (en) Multi-component package
JP3052223B2 (ja) ゴミ箱
JP3834664B2 (ja) 物品収納箱及びその組立ユニット
JP4936244B2 (ja) 組立式個室
KR200172072Y1 (ko) 포장용 박스
JP2504743Y2 (ja) 段ボ―ル製補強筒体
JPS6318570Y2 (ko)
WO2010134215A1 (ja) 折畳み容器
JPH0664644A (ja) 折りたたみ可能な蓋なしの箱
RU67884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труктор
JP2002205734A (ja) 組立式箱
KR20100093365A (ko) 내부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JP4710442B2 (ja) 贈答用組み立て箱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KR200234164Y1 (ko) 절첩식 프라스틱 골판지 상자
JPH0664641A (ja) 蓋なしの箱
JPH082095Y2 (ja) 包装箱
JP2022182487A (ja) 収容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