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83Y1 -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83Y1
KR200176583Y1 KR2019980003830U KR19980003830U KR200176583Y1 KR 200176583 Y1 KR200176583 Y1 KR 200176583Y1 KR 2019980003830 U KR2019980003830 U KR 2019980003830U KR 19980003830 U KR19980003830 U KR 19980003830U KR 200176583 Y1 KR200176583 Y1 KR 2001765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ight
display devic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941U (ko
Inventor
안광진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80003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9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9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목적 : 본 고안은 필름의 판독에 필요한 광의 투사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필름 판독기에 있어서, 화면 상의 광 투사영역과 비투사영역 사이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도록 개량한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를 제공한다.
구성 : 내부에 고휘도 램프가 수납되고 전면이 확산판과 액정표시소자로 시일드되어 상기 램프의 광이 상기 액정표시소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된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전면에 순차 네가티브형 액정 표시소자와 포지티브형 액정 표시소자를 겹쳐지게 배치하여 램프의 투사영역과 비투사영역의 콘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효과 : 본 고안은 램프에 근접한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의 전압 인가 영역이 광투과 영역으로 되고,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에서는 전압 비인가 영역이 광투과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2장의 액정 표시소자를 겹쳐 배열하여도 선택되지 않은 영역에서의 광 누설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LCD projection type viewing apparatus}
본 고안은 액정 표시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투과 영역의 임의 선택이 가능한 액정 표시소자를 광 스위칭 수단으로 채용하여 필름을 조광하는 구조의 필름 판독기로서, 상기 액정 표시소자에 의한 화상의 콘트라스트 저하가 생기지 않게 개량한 필름 판독기에 관한 것이다.
필름 판독기는 인화된 필름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로, 사진용 필름, 인쇄용 필름, 방사선용 필름 등을 패널에 걸어 놓고 그 뒷면에서 빛을 투과시켜 판독하는 장치이며, 특히 병원에서 체내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뢴트겐 필름의 판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화된 필름 판독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후드(132)의 내부에 광원으로서 형광등(132)을 수납하여 놓고, 상기 후드(132)의 개구부를 아크릴제 확산판(134)으로 시일드하여 상기 형광등(132)의 빛이 확산판(134)의 전면에 투사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확산판(134)에 붙여진 필름(5)이 뒷쪽에서 투사되는 광에 의해 촬영된 상을 영상 표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필름이 붙여지지 않은 면까지 광이 투사되는 관계로 화상의 정확한 인식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간섭광에 의해 눈이 쉽게 피로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름이 붙여지지 않은 영역을 자동으로 마스킹하여 갑섭광이 생기지 않게 하는 조망 장치가 미국 특허 제4,510,708호를 통해 개시된 바 있다. 그렇지만 개시된 장치는 확산판의 비선택 영역을 내부에서 시일드하여 주기 위하여 단위별로 구획된 스크린과, 이들을 각각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확산판이 시일드되게 하는 이동 수단 등을 갖추어야 하므로 대단히 복잡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적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소자를 광 스위칭 소자로 활용함으로써 선택된 영역에만 광이 투과되게 하고, 비선택 영역은 광이 투과되지 않게 하는 조망장치가 미국 특허 5,430,964호로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미국 특허는 전계의 온 오프에 따라 상 전이되는 액정의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이론 상으로는 비선택영역이 투광되지 않게 할 수 있으나, 실용화 단계에서는 액정 표시소자를 통해 광 누설 현상이 생겨서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콘트라스트가 좋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면 액정 표시소자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2장으로 겹쳐 배열하는 구조를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후자는 2장으로 겹쳐졌을 때에 액정은 양 외측 전극 사이로 발생하는 전계의 영향을 받음에 따라 전계 간섭에 의한 광 누설 현상이 발생하여 광 차단 효과가 기대 이하로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정 표시소자를 2장으로 겹쳐 배열하여도 광 누설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구조의 액정 표시소자를 이용한 판독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는 본 고안은 램프가 수용된 후드의 전면이 액정 표시 소자로 시일드되어 이 액정 표시소자를 통해 광 투과 영역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전면에 네가티브 액정 표시 소자와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를 순차 겹쳐지게 배열한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와 포지티브 액정 표시 소자를 동시에 구동시켜 후드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광 투사되게 하는 것 인바, 상기 2장으로 겹쳐 배열되는 액정 표시소자는 전계에 의한 상 전이가 반대로 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선택 영역에서의 전계 간섭이 생기지 않아 광 누설 현상이 전혀 없게 되어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름 판독기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필름 판독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 필름 판독기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필름 32 : 후드
34A,34B : 액정 표시소자 36 : 램프
38 : 콘트롤박스 S1~S7 : 스위치 및 가변조절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필름 판독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외관 사시도이다. 전면이 개구된 후드(32)의 내부 소정위치에는 램프(36)가 장착되고 또한 상기 후드(32)의 전면 개구부는 2장으로 겹쳐 배열되는 액정 표시소자(34)에 의해 전면 시일드된다. 상기 2장의 액정 표시소자(34)는 외측방에 포지티브 액정 표시 소자(34A)가, 그리고 후드(32)에 인접해서는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34B)가 놓여지게 배열되어 있으며, 피판독되는 필름(5)은 상기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34A)의 외측방에 붙여지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 액정표시소자(34A)의 상 전이는 전류의 비인가 시에 광이 투과되도록 투명하게 되고,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34B)는 전류의 인가 시에 투명하게 되는 상반된 성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램프(36)는 전력 소비 면에서 냉음극 형광등(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이 바람직하고, 그 조도와 배치 형태는 후드(32)의 전면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장으로 겹쳐 배열되는 액정 표시소자(34)의 면적에 비해 후드(32)의 개구 면적이 더 넓은 경우에는 다수를 격자상의 패턴으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시일드시켜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필름 판독기도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액정 표시소자(34)에 의한 광 투과 영역의 선택/비선택을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박스(38)를 후드(32)의 저면에 구비하고 있고, 이 콘트롤박스(38)에는 상기 램프(36)의 점 소등 조작을 겸하는 전원스위치(S1), 그리고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에서 선택된 광 투과 영역을 좌우방향으로 이동 조절하기 위한 가변조절기(S2), 또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에서 선택된 광 투과 영역의 상하방향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조절기(S3),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에서 선택된 광 투과 영역의 좌우 폭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조절기(S4), 그리고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에서 선택된 광 투과 영역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가변조절기(S5)를 갖추고 있다. 아울러서 필름(5)을 동시에 여러 장 판독하는 경우에 다수의 광 투과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 영역의 갯수를 연속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선택영역 가산버튼(S6), 상기 확장된 선택영역의 갯수를 줄여 나가게 작동되는 선택영역 감산버튼(S7)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트롤러(38)의 구성은 필름 판독기에서 이미 일반화된 기능이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 장치로 필름(5)을 판독하고자 함에 있어서, 콘트롤 박스(38)에 마련된 가변 조절기들을 적절히 조정하여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의 광 투사 영역을 필름(5)에 맞춰 조절하여 놓으면, 램프(36)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에 의해 설정된 광 투사 영역으로만 투과되어 필름(5)의 상이 현출되게 작용하고, 비선택 영역에서는 광이 투과되지 않아 상기 필름(5)의 상이 현출되는 영역과 대조되는 콘트라스트를 이루게 된다.
이 때 상기 양 액정 표시소자(34A, 34B)는 각각의 상 전이가 상반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계의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34A)에서 비선택 영역에 해당되는 전극으로는 전류가 인가되는데 반해, 대응하는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34B)의 비선택 영역에는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양 액정 표시소자(34A)(34B) 사이의 전계 간섭이 생기지 않아 광 차단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필름(5)의 판독에 요구되는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의 콘트라스트 비가 현저하게 향상되어 정확한 필름 판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와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를 2장으로겹쳐 배열함에 따라 광 차단 효과가 2배로 향상되면서도 인접하는 액정 표시소자 간에 전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므로 향상된 콘트라스트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정확하게 필름을 판독할 수 있고 장시간 판독에도 눈이 쉽게 피로하는 일이 없어 작업자의 건강도 보호하여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램프가 수용된 후드의 전면이 액정 표시소자로 시일드되어 이 액정 표시소자를 통해 광 투과 영역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에 있어서, 상기 후드(32)의 전면에 네가티브 액정 표시소자(34B)와 포지티브 액정 표시소자(34A)를 순차 겹쳐지게 배열한 구성으로 된 액정 투사형 필름 판독기.
KR2019980003830U 1998-03-16 1998-03-16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KR200176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30U KR200176583Y1 (ko) 1998-03-16 1998-03-16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830U KR200176583Y1 (ko) 1998-03-16 1998-03-16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41U KR19990037941U (ko) 1999-10-15
KR200176583Y1 true KR200176583Y1 (ko) 2000-04-15

Family

ID=19532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830U KR200176583Y1 (ko) 1998-03-16 1998-03-16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941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6989B2 (ja) 液晶表示装置
US6188460B1 (en) Image display panel having a backlighting structure and a single-layer pixelated aray of reflective-type spectral filtering elements where between light is recycled for producing color images with enhanced brightness
CN109901327A (zh) 背光模块及显示装置
KR101832957B1 (ko) 미세 셔터 표시장치
US11409150B2 (en) Display device and shoot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6700557B1 (en) Electrode border for spatial light modulating displays
GB2352836B (en) Display apparatus
US5037196A (en) Projection-type color display apparatus
JP2003140118A (ja) 液晶表示装置
KR100385880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2002107750A (ja)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駆動方法
JP2007086649A (ja) 液晶表示装置
KR200176583Y1 (ko) 액정표시 소자를 이용한 필름 판독기
JP2003078838A (ja) 光センサ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H10253948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制御方法
KR100352774B1 (ko) 투사형표시장치
CN112712754B (zh) 显示装置以及电子设备
US6097900A (en) Apparatus for switching an aspect ratio of an imaging field frame
JP5404071B2 (ja) 液晶表示装置
JP3999069B2 (ja) 表示装置
JPH09179119A (ja) 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KR101291793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JPH01259396A (ja) カラー表示装置
JP2006064899A (ja) 液晶表示装置
JPH11305222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用のバック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