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986Y1 -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986Y1
KR200173986Y1 KR2019990019948U KR19990019948U KR200173986Y1 KR 200173986 Y1 KR200173986 Y1 KR 200173986Y1 KR 2019990019948 U KR2019990019948 U KR 2019990019948U KR 19990019948 U KR19990019948 U KR 19990019948U KR 200173986 Y1 KR200173986 Y1 KR 200173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leeve
skid
reel
p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동호
김영준
Original Assignee
포스코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코개발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9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연코일의 내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의 내경에 끼워지는 스틸 슬리브(steel sleeve)를 패이 오프 릴(pay off reel)에서 언와인딩(unwining)후 다시 스틸 슬리브를 패이 오프 릴로부터 인출시켜 재사용하도록 스틸 슬리브 벗켓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한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패이 오프 릴의 저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통상의 코일카에 있어서,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는 스키드를 설치하고, 이 스키드의 일측에는 스키드를 들어올려주는 실린더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스키드의 타측에는 실린더로 스키드를 들어올릴때에 스키드를 회전시키면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힌지를 설치하였고,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는 스틸 스리브 버켓을 구비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THE REMOVAL DEVICE FOR STEEL SLEEVE}
본 고안은 냉연코일의 내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코일의 내경에 끼워지는 스틸 슬리브(steel sleeve)를 패이 오프 릴(pay off reel)에서 언와인딩(unwining)후 다시 스틸 슬리브를 패이 오프 릴로부터 인출시켜 재사용하도록 스틸 슬리브 벗켓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한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이 오프 릴(10)에서 언와인딩이 끝난 후 패이 오프 릴(10)에 끼워진 스틸 슬리브(S)를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인출하여 스틸 슬리브 벗켓(50)으로 이송하는 방법은 스틸 슬리브(S)가 삽입되어 있는 패이 오프 릴(10)의 일측에 설치된 틸딩 머신(30)에 의해서 상기 패이 오프 릴(10)에 삽입되어 있는 스틸 슬리브(S)를 인출시키고, 이와같이 하여 스틸슬 리브(S)의 인출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틸팅머신(30)을 작동시켜 스틸 슬리브(S)를 들어올린 다음 링크 호이스트(40)를 이용하여 스틸 슬리브(S)를 스틸 슬리브 버켓(50)에 수용시킨다.
이와같이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이 오프 릴(10)에 삽입되어 있는 스틸 슬리브(S)를 인출해 내기 위해서는 도 1a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패이 오프 릴(10)의 일측에 설치된 틸딩 머신(30)을 작동시켜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시킨 다음,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아암(31)을 작동시켜 이 아암(31)의 상부에 설치된 집게(32)가 스틸 슬리브(S)의 위 치와 동일선상이 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아암(31)의 상부에 설치된 집게(32)와 스틸 슬리브(S)의 위치가 동일 선상이 되면 다시 틸팅 머신(30)을 화살표의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집게(32)가 스틸 슬리브(S)의 몸통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후 상기 집게(32)를 오므려서 스틸 슬리브(S)를 파지 하도록 하고, 파지가 완료되면 다시 틸팅 머신(3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작동시켜 스틸 슬리브(S)를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인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스틸 슬리브(S)의 인출작업이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아암(31)을 작동시켜 스틸 슬리브(S)를 상부로 들어올리고, 그 후에는 상기 스틸 슬리브(S)를 파지했던 집게(32)를 작동시켜 벌려주게 되면, 도 1d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에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링크 호이스트(40)로 스틸슬리브(S)를 집어 스틸 슬리브 버켓(50 )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스틸슬리브 이송장치는 틸딩 머신(30) 및 링크 호이스트(40)와 스틸 슬리브 버켓(40)이 각자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여러 단계를 거쳐야 스틸 슬리브(S)를 스틸 슬리브 버켓(50)에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이 지연됨은 물론, 작업공간이 넓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스틸 슬리브(S)를 이송하기 위하여 여러장치를 설치해야함으로 그에따른 설비비가 과다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 패이 오프 릴로부터 스틸 슬리브를 인출하여 스틸 슬리브 버켓에 이송하기 까지의 과정을 코일카로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의 간소화 및 작업의 효율화를 기할수 있도록한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은 패이 오프 릴의 저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통상의 코일카에 있어서, 상기 코일카의 상부에는 스키드를 설치하고, 이 스키드의 일측에는 스키드를 들어올려주는 실린더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스키드의 타측에는 실린더로 스키드를 들어올릴때에 스키드를 회전시키면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힌지를 설치하였고, 상기 코일카의 일측에는 스틸 스리브 버켓을 구비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 도 1d는 종래의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로 스틸 슬리브를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틸슬리브 이송장치 분해사시도
도 3a - 도 3d는 본 고안의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로 스틸 슬리브를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패이 오프 릴 20 : 코일카
21 : 스키드 22 : 실린더
23 : 힌지 30 : 틸팅 머신
31 : 아암 32 : 집게
40 : 링크 호이스트 50 : 버켓
본 고안의 도 2는 본 고안의 스틸슬리브 이송장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 도 3d는 본 고안의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로 스틸 슬리브를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패이 오프 릴(10)의 저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통상의 코일카(20)에 있어서, 상기 코일카(20)의 상부에는 'V'자형의 스키드(21)를 설치하되, 이 'V'자형의 스키드(21) 일측에는 스키드(21)를 들어올려주는 실린더(22)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스키드(21)의 타측에는 실린더(22)로 스키드(21)를 들어올릴때에 스키드(22)를 회전시키면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한지(23) 설치하였고, 상기 코 일카(20 )의 일측에는 스틸 스리브 버켓(50)을 구비시켰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카(20)가 패이 오프 릴(10)의 저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패이 오프 릴(10)에 끼워진 스틸 슬리브(S)를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인출해 내고자 할 때에는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카(20)를 작동시켜 스키드(21)가 스틸 슬리브(S)의 저부를 약간 받쳐들을 정도까지 상승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패이 오프 릴(10)에 끼워진 스틸 슬리브(S)가 코일카(20)의 상부에 설치된 스키드(21)로부터 약간 받쳐들게 되면 상기 스틸 슬리브(S)는 직경이 패이 오프 릴(10)의 직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스틸 슬리브(S)의 내경이 패이 오프 릴(10)의 외경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코일카(20)를 작동시켜 스틸 슬리브(S)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스틸 슬리브(S)는 도 3c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하여 스틸 슬리브(S)가 패이 오프 릴(1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면 그 다음에는 도 3d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스키드(21)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22)를 작동시켜 스키드(S)의 일측을 들어올려 주게된다.
이와같이 하면 스키드(21)는 힌지축(23)을 중심으로 경사각을 형성하면서 스틸 슬리브(S)가 굴러서 스틸 슬리브 버켓(50)에 수용되면서 스틸 슬리브(S)의 이송작업이 끝나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패이 오프 릴로부터 스틸 슬리브를 인출하여 스틸 슬리브 버켓에 이송하기 까지의 과정을 코일카로 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의 간소화 및 작업의 효율화를 기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패이 오프 릴(10)의 저부에 전·후 및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통상의 코일카(20)에 있어서, 상기 코일카(20)의 상부에는 스키드(21)를 설치하고, 이 스키드(21)의 일측에는 스키드(21)를 들어올려주는 실린더(22)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스키드(21)의 타측에는 실린더(22)로 스키드(21)를 들어올릴때에 스키드(22)를 회전시키면서 중심축 역할을 하는 힌지(23) 설치하였고, 상기 코일카(20)의 일측에는 스틸 스리브 버켓(50)을 구비시켜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KR2019990019948U 1998-12-03 1999-09-16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KR2001739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062 1998-12-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062 Division 1998-12-03 1998-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986Y1 true KR200173986Y1 (ko) 2000-03-15

Family

ID=1954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948U KR200173986Y1 (ko) 1998-12-03 1999-09-16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9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17B1 (ko) * 2001-12-18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공정에서 코일의 권취방향 검출 및 방향 전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17B1 (ko) * 2001-12-18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공정에서 코일의 권취방향 검출 및 방향 전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6330A3 (en) Pipe mov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0173986Y1 (ko) 스틸 슬리브 이송장치
EP1033342A3 (en) Gripping lifter for transferring metal coils
US7192236B1 (en) Shelf stacking machine
SU96935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ъема проката после его намотки с накопител и установки его на разматывающий механизм
JP2000103507A (ja) コイルの転回装置
JPH0230979B2 (ko)
KR20040041448A (ko)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US506050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ming a pointed end of raw pipe to be drawn
JPS62289324A (ja) 巻戻機へのコイル挿入方法
CN214933122U (zh) 角钢自动上料装置
CN214358727U (zh) 一种板材加工用翻转装置
EP1293467A3 (en) Grab for conveying coils of rod
JPS62249816A (ja) コイル用スキツド敷込みアツプエンダ−装置
JPH11290942A (ja) コイル搬送方法及び装置
JP4358693B2 (ja) セグメント搬入装置および搬入方法
JP2599367Y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JPH05261584A (ja) レーザ加工機用アンローディング装置
EP1199263A3 (en) Load lifting and centering device for a load on a conveying line
JPH05279729A (ja) 加熱炉の丸ビレット装入装置
JPH06155351A (ja) コイル状物体の搬送用把握機構
AU2002364276A1 (en) Supplying device for film cores and method for supplying film cores
JPS6228597Y2 (ko)
JPH0543932Y2 (ko)
JPH05237544A (ja) ストリップ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