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48Y1 - 차량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48Y1
KR200173848Y1 KR2019990018887U KR19990018887U KR200173848Y1 KR 200173848 Y1 KR200173848 Y1 KR 200173848Y1 KR 2019990018887 U KR2019990018887 U KR 2019990018887U KR 19990018887 U KR19990018887 U KR 19990018887U KR 200173848 Y1 KR200173848 Y1 KR 200173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guide
jaw
square hol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Original Assignee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8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클램프의 고정시 발생되는 클램프력을 통해 양단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을 손쉽게 하여 생산라인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클램프 띠(2)의 일측에는 가이드턱(31)과 제 1,2걸림쇠(32,33) 및 연결턱(34)이 구비되어 있는 결착부(3)가, 클램프 띠(2)의 타측에는 가이드홈(411)을 포함하는 제 1사각홀(41)과 일측에 가이드산(421,431)이 형성되어 있는 제 2,3사각홀(42,43)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클램프{clamp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차량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클램프의 고정시 발생되는 클램프력을 통해 양단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을 손쉽게 하여 생산라인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클램프라 함은, 케이블 또는 전선 및 커넥터 등을 고정하거나, 여러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부트(boot)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 또는 금속재로 제조되며,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사용중에 있다.
특히, 차량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또는 전선 및 커넥터 등을 고정하는 클램프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한편, 상기 부트 등을 고정하는 클램프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를를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클램프는 용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조되며, 고가의 제품을 고정하는데 적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부트 등을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먼저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클램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차량용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램프 띠(100)의 일측에는 제 1,2걸림쇠(111,112)와 안내돌출턱(113) 및 삽입돌출턱(114)이 구비되어 있는 결착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띠(100)의 타측에는 상기 사각홀(121)과 삽입부(123)가 형성되어 있는 장공(122)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결착부(110)의 끝단에는 걸림띠(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120)의 안쪽에는 상기 걸림띠(1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리(1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클램프를 사용하여 부트 등의 부품(이하, 피고정물이라 함)을 고정할 경우에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안내돌출(113)이 장공(122)에 가결합되어 둥굴게 말려있는 상태의 클램프를 피고정물위에 위치시킨 후 공구를 사용하여 클램핑을 한다.
즉, 삽입돌출턱(114)과 삽입홈(123)의 구멍에 공구를 건 후, 공구를 죄어 클램프에 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클팸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홀(121)과 장공(122)을 타측에 형성된 제 1, 2걸림쇠(111, 112)에 손으로 걸어주고 공구로 가한 인정력을 해제함으로써 클램프의 고정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램프는 클램핑시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홀(121)과 장공(122)을 타측에 형성된 제 1, 2걸림쇠(111, 112)에 걸어줌에 있어서, 작업자의 직접 수작업을 통해 사각홀(121)과 장공(122)을 걸어줌으로써, 생산 라인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삽입돌출턱(114)과 삽입홈(123)에 공구를 걸어 클램핑할 때 삽입돌출턱(114)과 삽입홈(123)의 구멍에 공구를 걸기 어려워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공구를 건 후 클램핑을 함으로써, 많은 시간의 낭비로 인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띠(100)은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띠(115)를 타측에 형성된 고리(124)에 걸어 클램프의 양단을 고정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사용할 때 클램프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부가적인 수작업이 없이 클램프의 고정시 발생되는 클램프력만을 통해 양단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육안식별이 필요없이 공구를 클램프에 걸어 클램프의 양단에 형성된 결착부와 결합부을 서로 연결 함으로서, 클램핑시 많은 시간의 낭비를 막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클램프 띠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부에는 가이드산을,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는 상기 가이드산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서,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에서 비틀릴 경우에도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며, 초기 가조립시 클램프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쇠의 역할도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평면도를,
도 1b는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클램프를 클램핑하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2a는 클램핑 전의 정면도,
도 2b는 클램핑 전의 측면도,
도 2c는 클램핑 후의 정면도,
도 2d는 클램핑 후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클램핑 과정을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로서,
도 4a는 클램핑 전상태를,
도 4b는 클램핑 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클램프 띠 21 : 제 1절곡부
22 : 제 2절곡부 3 : 결착부
31 : 가이드턱 311 : 걸림홈부
32 : 제 1걸림쇠 321 : 걸림홈부
33 : 제 2걸림쇠 331 : 걸림홈부
34 : 연결턱 35 : 홈부
4 : 결합부 41 : 제 1사각홀
411 : 가이드홈 42 : 제 2사각홀
421 : 가이드산 43 : 제 3사각홀
431 : 가이드산 44 : 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클램프 띠의 일측에는 가이드산과 제 1,2걸림쇠 및 연결턱이 구비되어 있는 결착부가, 클램프 띠의 타측에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제 1사각홀과 일측에 가이드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 2,3사각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량용 클램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클램프 띠(2)의 일측에는 가이드턱(31)과 제 1,2걸림쇠(32,33) 및 연결턱(34)이 구비되어 있는 결착부(3)가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 띠(2)의 타측에는 가이드홈(411)을 포함하는 제 1사각홀(41)과 일측에 가이드산(421,431)이 형성되어 있는 제 2,3사각홀(42,43)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4)가 형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결착부(3)를 이루는 가이드 턱(31)과 제 1걸림쇠(32) 및 제 2걸림쇠(33)의 내측에는 클램프 띠(2)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걸림홈부(311,321,331)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결합부(4)와 연결되는 시점에서 제 1 또는 제 2사각홀(41,42)에 상기 제 1,2걸림쇠(32,33)에 형성된 걸림홈부(321,331)가 삽입고정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턱(31)은 클램프의 초기 가조립시 클램프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쇠의 역할도 하는 목적을 갖는다.
한편, 상기 결합부(4)는 클램프 띠(2) 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4)와 클램프 띠(2)의 경계부에는 전,후방에 단차가 지는 제 1,2절곡부(2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착부(3)의 끝단에는 상기 제 1,2절곡부(21,22)의 하면과 밀착되어 결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후방에 홈부(3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트 등을 고정할 경우에 상기 2중으로 절곡된 제 1,2절곡부(21,22)와 상기 홈부(35)를 통해 고무재 부트의 연결부를 눌러줌으로서, 부트가 클램핑된 후 밀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4) 끝단의 연결부(44)는 기존의 클램프와 달리 별도의 육안 확인 없이도 클램핑용 공구를 쉽게 걸 수 있도록 끝단이 말려 있으며, 상기 결착부(3)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턱(34)과 함께 클램핑용 공구를 걸도록 하는 역할 을 한다.
상기 클램프를 사용하여 피고정물을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의 고정전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로서, 클램프 띠(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착부(3)의 상측에는 클램프 띠(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의 하면이 포게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결합부(4)에 형성되어 있는 제 1사각홀(41)에는 결착구(3)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턱(31)이 삽입되어 클램프의 가조립시 걸림쇠 역할도 하며, 결합부(4)의 제 2사각홀(42)에는 결착부(3)의 제 1 걸림쇠(32)가, 결합부(4)의 제 3사각홀(43)에는 결착부(3)의 제 2 걸림쇠(33)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클램프 띠(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의 끝단과 결착부(3)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턱을 공구를 사용하여 죄게 되면, 결합부(4)의 제 1,2,3사각홀(41,42,43)의 일측벽과 상기 결착부(3)의 제 1,2걸림쇠(32,33)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이 충돌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결착부(3)에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턱(31)이 상기 제 1사각홀(41)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411)으로 삽입되고, 상기 결착부(3)의 제 1,2걸림쇠(32,33)가 결합부(4)의 가이드산(421, 431) 아래로 밀려들어간 후, 피고정물의 탄성을 이용하여 제 1,2사각홀(41,42)로 삽입된다.
한편 이때, 상기 클램프 띠(2)는 클램프력을 받게 됨으로서, 제 1,2걸림쇠(32,33)가 형성되어 있는 결착부(3)는 좌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받게되고, 제 1,2사각홀(41,42)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는 우측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됨으로서, 상기 제 1,2걸림쇠(32,3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부(321,331)가 상기 제 1,2사각홀(41,42)의 타측벽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 띠(2)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4)를 타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피 고정물의 클램핑을 마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클램프의 고정시 발생되는 클램프력을 통해 양단이 고정되는 클램프를 제공함으로써 클램프의 장착을 손쉽게 하여 생산라인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육안식별이 필요없이 클램프의 양단에 형성된 결착부와 결합부에 공구를 걸어 서로 고정 함으로써, 클램프의 클램핑시 많은 시간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또,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에서 비틀릴 경우에도 이탈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견고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클램프 띠(2)의 일측에는 가이드턱(31)과 제 1,2걸림쇠(32,33) 및 연결턱(34)이 구비되어 있는 결착부(3)가, 클램프 띠(2)의 타측에는 가이드홈(411)을 포함하는 제 1사각홀(41)과 일측에 가이드산(421,431)이 형성되어 있는 제 2,3사각홀(42,43)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부(3)의 가이드 턱(31)과 제 1,2걸림쇠(32,33)의 내측에는 클램프 띠(2)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걸림홈부(311,321,3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와 클램프 띠(2)의 경계부에는 전,후방으로 단차가 지는 제 1,2절곡부(21,22)가 형성되며, 상기 결착부(3)의 끝단 후방에는 상기 제 1,2절곡부(21,22)의 하면과 밀착되는 홈부(3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싱기 결착부(3)의 가이드턱(31)이 상기 결합부(4) 가이드홈(411)의 일단에 걸려 클램프의 초기 가조립시 클램프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걸림쇠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의 끝단에는 상기 결착부(3)의 연결턱(34)에 고정되는 연결부(4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클램핑시 상기 제 1,2걸림쇠(32, 33)가 가이드산(421, 431)의 하단에 형성된 오목한 홈을 따라 미끄러져 들어가며, 상기 제 2사각홀(42)에 위치하던 상기 제 1걸림쇠(32)는 상기 제 1사각홀(41)로 위차하게 되며, 상기 제 3사각홀(43)에 위치하던 제 2걸림쇠(33)는 제 2사각홀(42)에 위차하게 되는 것을 도와주는 상기 가이드산(421, 4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램프.
KR2019990018887U 1999-09-07 1999-09-07 차량용 클램프 KR200173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87U KR200173848Y1 (ko) 1999-09-07 1999-09-07 차량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87U KR200173848Y1 (ko) 1999-09-07 1999-09-07 차량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848Y1 true KR200173848Y1 (ko) 2000-03-15

Family

ID=19587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887U KR200173848Y1 (ko) 1999-09-07 1999-09-07 차량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5010B1 (en) Band clip
CN101098070B (zh) 夹式电导管连接器
KR20060046554A (ko) 밴드 클램프
JPH0650514U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連結具および挟持止具
HU206915B (en) Clamp
KR200173848Y1 (ko) 차량용 클램프
JP4142440B2 (ja) ホースクランプに工具を装着するための案内構造
US5407289A (en) Connecting device between a glass and a glass-winder driving mechanism
JPS60191851A (ja) プロテクタモ−ルの取付方法
JPH0512482Y2 (ko)
US5915424A (en) Guide tool for guiding a harnessing device underneath a plurality of wires disposed on a harness board
KR100446929B1 (ko) 차량용 클램프
KR200173849Y1 (ko) 차량용 클램프
JP3750071B2 (ja) 留め具
KR100867690B1 (ko) 이중결합되는 배관결속용 밴드클립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KR20000013523U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너트
JPH067927Y2 (ja) タイヤ用滑止具
KR100221641B1 (ko) 결속구
JPH0113897Y2 (ko)
KR100786152B1 (ko) 차량 시트벨트용 슬립가이드의 결합구조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KR20230030462A (ko) 밴드케이블
JPH0331847Y2 (ko)
US5401907A (en) Soldering terminal plate for loudsp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