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30Y1 -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30Y1
KR200172630Y1 KR2019950040201U KR19950040201U KR200172630Y1 KR 200172630 Y1 KR200172630 Y1 KR 200172630Y1 KR 2019950040201 U KR2019950040201 U KR 2019950040201U KR 19950040201 U KR19950040201 U KR 19950040201U KR 200172630 Y1 KR200172630 Y1 KR 200172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switch
contact
relay
fuel
cu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0988U (ko
Inventor
하성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0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30Y1/ko
Publication of KR970040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0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그니션 스위치의 위치를 오프(off) 또는 스톱(stop)에 위치시켜 연료의 공급을 차단케 하고, 이그니션 스위치의 위치가 온(on) 상태일 때에는 릴레이가 여자되어 상기 전원의 전류가 풀컷모터(fuel cut motor)측으로 흐르게 하므로써 상기 풀컷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릴레이의 여자에 의해 풀컷모터의 구동원을 상시전원으로부터 공급받게 하여 이그니션 스위치의 내구력을 증대시켜 그 수명을 연장토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종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그니션 스위치 Ry : 릴레이
14 : 풀컷모터
본 고안은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그니션 스위치의 위치를 오프(off) 또는 스톱(stop)에 위치시켜 연료의 공급을 차단케 하고, 이그니션 스위치의 위치가 온(on) 상태일 때에는 릴레이가 여자되어 상기 전원의 전류가 풀컷모터(fuel cut motor)측으로 흐르게 하므로써 상기 풀컷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그니션 스위치와, 컨트롤릴레이 접점, 풀컷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 구성되어 있다.
즉, 이그니션 스위치(20)는 3접점(21)(22)(23)으로 구성되어 있고, 풀컷모터(연료모터 : 24)의 일측단(24A)에 연결시킨 컨트롤릴레이의 접점(25)과 접점(25A)은 연료차단시 연결되며, 컨트롤릴레이의 접점(25)과 접점(25A)은 연료공급시 차단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릴레이의 접점(25A)은 상시전원에 연결된 퓨즈(26)와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22)에 연결하고, 풀컷모터(24)의 타측단(24B)은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21)에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 구성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21)과 접점(23)을 연결시킨 오프(off) 및 스톱(stop) 상태일 때에는 상시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컨트롤릴레이의 접점(25A)-접점(25)-풀컷모터(24)-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21)-접점(23)-접지순으로 흘러 풀컷모터(24)의 구동이 중지케 되어 연료공급이 차단케 되고,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21)과 접점(22)을 연결시킨 on 상태일 때에는 상시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22)-접점(21)-풀컷모터(24)-컨트롤릴레이 접점(25)-접점(25B)-접지순으로 흘러 풀컷모터(24)가 구동되어 엔진측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차 키 온(on)시에는 엔진측에 연료를 공급하고, 자동차 키 오프(off)시에는 연료공급을 차단케 되는데, 연료공급 차단시에도 상시전원의 전류를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을 통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 구조가 복잡하고, 이그니션 스위치(20)에서 직접 풀컷모터(24)측으로 구동전류를 흐르게 하므로써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용량을 크게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그니션 스위치(20)의 접점 구성이 복잡하고, 사용증가에 따라 이그니션 스위치(20)의 내구력이 감소하여 이그니션 스위치의 고장발생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첫째 목적은 자동차 키 오프(off)시에는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을 상시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하여 이그니션 스위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게 하고,
둘째 목적은 풀컷모터 구동시 공급되는 전류를 상시전원에서 공급되도록 하여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용량을 극소화시켜 이그니션 스위치의 내구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 일측은 릴레이에, 타측은 상기 릴레이의 접점측에 연결하여 이그니션 스위치의 1접점만을 이용하여 연료공급 및 연료차단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2)에 릴레이(Ry)를 연결하고, 릴레이(Ry)의 접점(13)에 풀컷모터(14)를 연결하되, 상기 릴레이(Ry)의 접점(13A)(13B) 각각에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1)과 접지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1)과 릴레이(Ry)의 접점(13A) 사이에는 퓨즈(F)가 개재되어 있고, 퓨즈(F) 일단에는 상시전원(+)이 연결되어있다.
그리고, 릴레이(Ry)의 접점(13b)은 릴레이(Ry)와 접지의 공통접속점에 연결되며, 콘트롤릴레이의 접점(15)은 풀컷모터(14) 일측단에 연결되고, 콘트롤릴레이의 접점(15A)(15B) 각각은 상시전원(+) 및 접지에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도면중 D는 릴레이(Ry) 보호용 다이오드이며 상술의 상시전원(+)은 동일한 전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엔진키 오프(off)시에는 상시전원의 전류가 컨트롤릴레이의 접점(15A)-접점(15)-풀컷모터(14)-릴레이(Ry)의 접점(13)-접점(13B)-접지순으로 흘러 연료공급을 차단케 하므로써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을 통하지 않고서도 연료공급이 차단되게 되어 이그니션 스위치(10)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엔진키 온(on)시 즉,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1)과 접점(12)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시전원(+)의 전류가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1)-접점(12)-릴레이(Ry)측으로 흐르게 되어 릴레이(Ry)를 여자시키게 되고, 릴레이(Ry)의 여자에 따라 릴레이(Ry)의 접점(13)과 접점(13A)가 연결되어 상기 상시전원(+)의 전류가 릴레이(Ry)의 접점(13A)-접점(13)-풀컷모터(14)-컨트롤릴레이의 접점(15)-접점(15B)-접지순으로 흘러 풀컷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풀컷모터(14)의 구동전류는 이그니션 스위치(10)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릴레이(Ry)를 여자시켜 릴레이(Ry)의 접점이 절환된 후 상시전원(+)의 전류가 풀컷모터(14)에 흐르게 하므로써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용량이 적어도 풀컷모터(14)의 구동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게되어 이그니션 스위치(10)의 내구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 구성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풀컷모터측에 흐르는 전류의 공급원을 상시전원측에서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이그니션 스위치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제작비용을 절감케 할 수 있고, 이그니션 스위치의 접점 용량이 적어도 연료공급 및 차단기능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등 이그니션 스위치의 내구력이 증대되어 이그니션 스위치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2)에 릴레이(Ry)를 연결하고, 릴레이(Ry)의 접점(13)에 풀컷모터(14)를 연결하되, 상기 릴레이(Ry)의 접점(13A)은 이그니션 스위치(10)의 접점(11)에, 상기 릴레이(Ry)의 접점(13B)은 접지되도록 각각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KR2019950040201U 1995-12-12 1995-12-12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KR200172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201U KR200172630Y1 (ko) 1995-12-12 1995-12-12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201U KR200172630Y1 (ko) 1995-12-12 1995-12-12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88U KR970040988U (ko) 1997-07-29
KR200172630Y1 true KR200172630Y1 (ko) 2000-04-01

Family

ID=1943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201U KR200172630Y1 (ko) 1995-12-12 1995-12-12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0988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8666A (en) Auto anti-theft device
KR200172630Y1 (ko) 이그니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차 연료공급 및 차단장치
CA1049415A (en) Vehicle power steering electro-hydraulic safety backup system
JPH07322488A (ja) 電源保護回路
JPH0332444Y2 (ko)
KR100273889B1 (ko) 연료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휴즈용단시 엔진 시동꺼짐 방지장치
KR200141895Y1 (ko) 자동차의 블로워모터 구동전원 차단회로
KR200183344Y1 (ko) 와이퍼 구동회로
KR100188649B1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 구동장치
JPS6239266B2 (ko)
JPH027722Y2 (ko)
JPH0747252Y2 (ja) 車両ハンドル装置
JPH0219301Y2 (ko)
JPH028827Y2 (ko)
KR0123438B1 (ko) 차량의 엔진의 연료펌프 제어장치
KR200355122Y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JPH0811679A (ja) シートベルト着用確認装置及び該装置用セイフティリレー
KR0166188B1 (ko) 철도차량의 밧데리전원 방전방지회로
KR0120005B1 (ko) 자동차 트렁크 오픈 방지 장치
KR19980022914A (ko) 자동차 추돌/충돌시 전원차단장치
KR100197144B1 (ko) 자동차의 등화단선 검출장치
KR200250455Y1 (ko) 안개등작동시스템
KR0160373B1 (ko) 등기류의 점등상태 알림장치
JPS6214441Y2 (ko)
JPS63308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