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574Y1 -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574Y1
KR200172574Y1 KR2019990020714U KR19990020714U KR200172574Y1 KR 200172574 Y1 KR200172574 Y1 KR 200172574Y1 KR 2019990020714 U KR2019990020714 U KR 2019990020714U KR 19990020714 U KR19990020714 U KR 19990020714U KR 200172574 Y1 KR200172574 Y1 KR 2001725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retaining wall
moisture
vibra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선
Original Assignee
오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선 filed Critical 오주선
Priority to KR2019990020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5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5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5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 E04G21/063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 E04G21/068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making use of vibrating or jolting tools acting upon the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흙 벽면 내 함유된 공기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고 일정 폭의 벽체 공간을 유지하며 와이어 메쉬, 광목, EM망 순으로 골격 및 형틀을 제작하여 물과 흙이 배합된 골조를 형틀 내에 투입한다.
(기출원 참조)
이와 같이 이루어진 형틀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상단 부에 진동모터를 5∼6m 간격으로 설치하여 진동하게되면 흙 옹벽 내에 포함된 수분 및 기포가 압착되어 벽면 표면에 포장된 광목이 흡착시켜 EM망의 통공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진동 모터를 활용 할 경우 미세한 진동 파에 의하여 벽면에 수분이 10시간 이내 90% 이상 속성건조 할 수 있어 공사기간 단축은 물론 진동시 압착되어 다져지므로 결속력과 밀도가 종래의 구조물보다 2배 이상 견고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clay abreast of Dehydrate eguipment}
본 고안은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옹벽, 담장, 집의 벽면) 제작 시 형틀(거푸집)을 제작하여 시멘트나 진흙 등을 내부에 채워서 벽이나 옹벽등을 건조 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건조되는 건축물은 상당한 시간을 두고 형틀 속에 흙골재가 함유한 수분이나 기포를 매우 서서히 외부로 배출 또는 흙 골재 내에 머금고 있어 공사 기한이 장기화됨은 물론 부실 공사 우려가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여러 형태의 공법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기 출원한 실용신안 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고하기 위해 형틀 제작시 볏짚을 일정 간격으로 삽입시켜 흙 속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안을 제시하였으며.
또는 벽돌을 제작하여 쌓아가는 방법 등이 흔히 이루어지고 있는 공법 중의 하나이다.
본 고안은 흙 옹벽 및 건축물에 형틀을 사용할 때 형틀 속에 내용물인 시멘트, 특히 흙의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형틀내의 수분과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진동모터를 형틀의 상부에 설치 진동 시킴으로서 신속하게 건조시켜 건축 공기를 단축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 설치시 흙 옹벽 구조물의 부분조립 상태와 수분 및 기포의 퇴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다른 진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도.
도 2b는 도 2a의 구성을 조립한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형틀 및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구성에 의하여 짜여진 형틀에 흙 골조를 투여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b의 과정을 거쳐 건축물 또는 옹벽 등 의 구조물에 적용 시킨 것으로 건축물의 일부에 진동자를 설치한 사시도.
도 5는 건조 후 형틀의 제거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부분 설명)
100 : 진동자 1, 1' : 볼트 2 : 와이어메쉬
3 : 각목 4 : 광목 5 : E M 망
6 : H 빔 7 : 수분 8 : 기포
9 : 흙 골조 10 : 진동모터 11 : 옹벽 12 : 하우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는 제작된 형틀과 형틀 내부에 수분을 함유한 주입된 흙은 쉽게 건조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진동모터를 형틀 상부에 설치하여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흙속에 포함된 기포 및 수분은 짧은 시간에 외부로 배출 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동자 설치시 흙 옹벽 구조물의 부분조립 상태와 수분 및 기포의 퇴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동자(100)가 흙 구조물 인 옹벽(11)의 상단 H 빔(6)에 설치되어 지고 H 빔(6) 의 양단 상부에 볼트(1)(1')로 고정 시켜 진동 시 형틀에 진동이 전달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H 빔(6)하단에 구조를 설명하면 안쪽 양측에 배치되어진 와이어메쉬(2)는 흙옹벽(9)속에 내장 되어지고 각목(3)또한 와이어메쉬(2)와 같이 내장된다.
광목(4)은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과 흙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 양측에 덥혀지고 마지막 처리과정인 E M 망(5)는 통풍이 잘 될 수 있도록 전면 판공된 철재로서 외부 형틀의 역할을 하고 흙옹벽(9)의 건조가 끝나면 제거시키면 된다.
흙옹벽(9) 내에 잔류하고 있는 수분(7)과 기포(8)를 흙옹벽(9)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진동자(1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진동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분해도로서 진동모터(10)과 진동모터(10)가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12)은 양측 가장자리에 H 빔(6)이 삽입 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성형되고 볼트(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암나사로 하여야 한다.
도 2b는 도 2a의 구성을 조립한 사시도로서 H 빔(6)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형틀 및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건축물의 일부분을 절개한 모습을 하단에 도시하였으며.
흙 골조(9)와 각목(3) 와이어메쉬(2) 광목(4) E M 망(5)으로된 형틀이 H 빔(6)에 연결되어 준비되면 H 빔(6)의 상단에 진동자(100)을 설치하여 형틀내의 흙에 함유된 수분(7)과 기포(8)을 형틀 외부로 배출시켜 건조하는 최종단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서 일반 벽체나 담장 등 에 적용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진동자(100)가 설치될 위치를 도시 한 것이다.
도 5는 상기의 구조물이 조립되고 흙골조(9) 의 성형 건조가 끝났을 때 E M망(5)를 철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흙골조(9)가 90% 이상 건조되는 10시간 후 성형이 완성된다. 종래의 방법으로 건조시 7∼8개월 이상 건조하여야 함
상기와 같이 진동에 의한 건조는 외부적인 열이나, 자연 환경에 따른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미세한 진동을 가하여 흙속의 미세 공간을 압착 하므로 매우 견고한 성형이 이루어지고 흙 구조물의 최대 문제점인 건조시간을 단축시켜 전체공사 기한을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구조물 양측에 배치되어진 와이어메쉬(2)는 흙옹벽(9)속에 내장되어지고 각목(3)또한 와이어메쉬(2)와 같이 내장되고. 광목(4)은 수분을 흡착하는 역할과 흙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 양측에 덥혀지고 마지막 처리과정인 E M 망(5)는 통풍이 잘 될 수 있도록 전면 판공된 철재로서 외부 형틀의 역할을 하고 옹벽(9)의 건조가 끝나면 제거하는데 있어서.
    진동자(100)가 흙 구조물 인 옹벽(11)의 상단 H 빔(6)에 설치되어 지고 H 빔(6) 의 양단 상부에 볼트(1)(1')로 고정 시켜 진동 시 형틀에 진동이 전달 될 수 있도록 진동모터(10)과 진동모터(10)가 장착될 수 있는 하우징(12)를 양측 가장자리에 H 빔(6)이 삽입 될 수 있도록 걸림턱이 성형되고
    볼트(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암나사로 하여, 내장된 진동 모터의 떨림으로 인해 흙 구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KR2019990020714U 1999-09-21 1999-09-21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KR2001725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14U KR200172574Y1 (ko) 1999-09-21 1999-09-21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714U KR200172574Y1 (ko) 1999-09-21 1999-09-21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574Y1 true KR200172574Y1 (ko) 2000-03-15

Family

ID=1959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714U KR200172574Y1 (ko) 1999-09-21 1999-09-21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5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791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made of dried soil and temporary frame used in same
CN1382240A (zh) 带有连接结构的组合建筑砌块
CN208792737U (zh) 用于悬挂外挂平台钢梁的可拆卸式连接件
KR200172574Y1 (ko) 흙 옹벽의 수분제거 장치
EP3404160B1 (en) Building element made of a fibrous material and building construction utilizing same
CN207934241U (zh) 一种可拆装墙板
KR100647557B1 (ko) 친환경재료용 현장조립형 벽체구성재
PL1508650T3 (pl) Sposób wykonywania ściany chroniącej przed hałasem z dźwiękochłonnych elementów budowlanych
CN106245828A (zh) 保温一体化墙体的建造方法
JP4115134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100383117B1 (ko) 흙 옹벽 수분제거 방법
JP4059409B2 (ja) セパレ−タ−
KR101817764B1 (ko) 흡음블록과 그 제조방법
WO1985003099A1 (en) Corbel in a house wall for a masonry wall beside the house wall
CN212001877U (zh) 一种预制件生产用免拆模模块及包含该模块的预制件
CN216152652U (zh) 一种混凝土预制构件的模具
JP3450415B2 (ja) 吸音板付きコンクリ−ト板の製造方法
KR200312505Y1 (ko) 건축용 흙 옹벽 수분제거 장치
KR200284968Y1 (ko) 논스립이 일체로 부착된 계단용 조립식 수직블럭
KR200338682Y1 (ko)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EP1190826A3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andfertigteils
KR20090126660A (ko) 허니컴판재와 그를 이용한 황토몰탈의 시공방법
KR200207364Y1 (ko) 황토 벽체용 판넬
CA2526195A1 (en) Structural wall building system using individually packaged compressed straw blocks
JP3530385B2 (ja) 持ち運び可能な土壁および土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