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682Y1 -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 Google Patents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682Y1
KR200338682Y1 KR20-2003-0034053U KR20030034053U KR200338682Y1 KR 200338682 Y1 KR200338682 Y1 KR 200338682Y1 KR 20030034053 U KR20030034053 U KR 20030034053U KR 200338682 Y1 KR200338682 Y1 KR 200338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lock
wood
loes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완
Original Assignee
김규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완 filed Critical 김규완
Priority to KR20-2003-0034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6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를 접합한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황토의 유익한 효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황토벽을 견고히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황토벽의 시공을 비전문가라도 쉽게 할 수 있도록 조립식 목재 블럭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건축비용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돌은 그 한 측면에 목재가 접합되어 있고, 목재를 황토에 접합시키기 위해서 못과 같이 가늘고 단단한 물체를 심지로 사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충전용 목재블럭은 블럭의 양 측면이 목재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재판 전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목재판 사이에는 양쪽의 목재판을 고정시키고 있는 여러 개의 수평 지지대가 구성되어 있고, 목재판의 하부 안쪽에 막대를 부착하여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충전용 목재블럭은 재질이 통나무로 구성되어 있고, 블럭의 상하를 관통하는 수직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블럭간의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요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앙카 등의 연결수단을 접합시키기 위해 블럭의 상부 양쪽 끝에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A yellow soil brick and a block filled with yellow soil}
본 고안은 목재를 접합한 황토벽돌과 황태충전용 목재블럭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황토벽의 시공에 목재를 활용함으로써 벽체를 견고히 하고 건축비용을 줄이며, 누구나 쉽게 황토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대한 것이다.
황토가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한 주거 환경을 만드는 건축 재료임은 예로부터 이미 객관적으로 검증이 된 상태다. 특히 황토로 만든 벽돌을 실내에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에 의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며, 미생물과 효소작용 등에 의한 제독작용을 하고, 실내의 냄새제거 및 곰팡이를 방지해 주고, 제습작용, 항균작용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처럼 황토벽돌로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가장 문제되는 것은, 주위의 기후가 너무 건조할 경우 황토벽이 갈라지기 쉽고, 반대로 홍수나 비바람에 노출될 경우에는 황토 자체의 내력이 약해져서 무너지기 쉽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물론 높은 압력으로 압축한 황토벽돌을 사용할 경우 내력을 강화시킬 수는 있겠으나, 그렇게 되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황토의 유익한 효능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비효율적이다.
한편 황토벽을 견고하게 하려고 황토 몰탈에 짚을 비롯하여 다른 물질을 첨가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러한 첨가물만으로 황토벽의 견고함을 높이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황토로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많은 제약이 따르며 또한 황토의 특성상 다양한 디자인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전통 한옥 모양을 크게 벗어날 수 없다.
또 최근 들어 황토 수요의 급증으로 황토를 구하는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었기 때문에 황토를 이용한 건축을 하는 데 있어서, 소량의 황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아가 건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도 손쉽게 황토벽을 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인체에 유익한 황토를 접할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많아질 것이다.
종래의 황토를 이용한 벽돌 가운데 황토를 기계로 높은 압력으로 압착하여 벽돌을 만드는 경우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강도는 좋아지나 일반 붉은 벽돌과 차이가 없을 뿐더러, 황토가 갖는 고유의 성질이 사라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황토를 이용하여 공사를 하려고 하여도 황토를 제대로 다룰 수 있는 기술자가 별로 없어서 공사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황토로 공사를 할 경우 황토 외벽은 비바람에 손상되기 쉽고, 못을 박거나 할 필요성이 있어도 벽체가 약해서 못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황토의 고유한 좋은 성질을 살리면서 손쉽게 황토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고, 특히 일반인 누구라도 손쉽게 황토 재질을 구입해서 공사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재를 접합한 황토벽돌과 황토벽의 시공을 비전문가라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황토충전용 조립식 목재 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구항의 내용들과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돌 제조과정을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제조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황토벽돌의 예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충전용 블럭의 일 실시예이고,
도 4는 도 3의 황토 충전용 블럭을 이용한 황토벽 시공예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충전용 블럭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도 5의 황토 충전용 블럭을 이용한 황토벽 시공예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재를 목심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재를 목심과 연결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형틀 20,20': 황토 몰탈
30,40: 유압기 50: 피스톤
60: 심지 70: 밀개
100: 황토벽돌
110: 황토부 120: 보조부
200,300,400: 블럭 210: 가로막대
220,230,320,330,420: 블럭벽체 240: 벽체구멍
250,350,410: 블럭공간부 260,270: 단턱부
280: 나사구멍 310: 몸체
340: 앙카못홈 360: 블럭윗면
430: 목심 440: 나사못
< 황토벽돌 >
도 2에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돌(100)이 도시되어 있다. 황토벽돌(100)은 일반적인 벽돌과 같이 직육면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황토부(110)와 보조부(120)로 이루어진다. 보조부(120)의 재질로는 원목판재, 합판, MDF, OSB합판, 시멘트 사이딩(하드 패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황토벽돌(100)의 한쪽에 보조부(120)를 설치한 것은 황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비가 오거나 세찬 바람이 불면 황토벽돌은 비바람에 의해 훼손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황토벽돌(100)로 벽체를 구성한 경우 황토벽돌(100)이 실내쪽과 접하는 면은 보조부(120)가 없어도 상관이 없으나, 바깥쪽과 접하는 면은 보조부(120)가 필요하다. 그것은 우선 보조부(120)가 비바람으로부터 황토부(110)를 보호하여 주고, 바깥에서 벽면에 못을 박고자 할 경우 상기 보조부(120)를 이용하면 못을 견고하게 박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실내면쪽은 황토부(110)가 직접 인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황토의 성질을 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황토벽돌(100)로 벽체를 시공할 경우, 외부 벽면 전체를 목재 등의 재질로 마감할 수 있게 되어 일반 목조 주택과 마찬가지로 외부 마감을 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반대편 내부 벽면은 전체가 황토로 되어 있어 황토의 효능을 그대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접합시킨 목재 등의 재질과 색상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고, 기존의 황토벽돌만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에 비해 비바람에 의한 변형이나 붕괴의 위험이 적어진다. 또한 접합된 목재 등이 내력을 대부분 받으므로 황토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시키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황토벽돌로 벽면공사를 할 경우 견고함과 함께 황토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외부면에 형성된 보조부(120)에는 다른 건축장식물을 부착할 수 있기도 하다. 그리고 보조부(120)는 황토부(100)와 심지(60)를 통해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서 보조부(120)가 황토부(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보조부(120)에 부착되는 심지(60)는 단순히 I자 형도 가능하고,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심지(60)의 모양을 T자 형이나 ㄱ자 형으로 만들어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심지는 철을 포함한 금속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 외관의 제품 모서리가 살아 있어서 깔끔한 줄눈(めじ)으로 외관이 아름답게 드러나게 되고, 간단한 작업으로 침수 등의 피해로부터 황토벽의 붕괴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침수성 방수액이나 목재용 스테인류를 병행해서 사용하면 더욱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목재주택형 마감을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비닐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나무 사이딩, 회벽 처리를 쉽게 할 수 있고, 벽면전체가 목재이므로 목조주택과 시공조건이 동일하여 목조주택에 익숙한 사람은 본 고안의 황토벽돌을 이용하여 쉽게 필요한 공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칼라를 선택할 수 있어서 어떠한 분위기의 황토집도 건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순수황토만을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고 침수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점이 잇점이다.
< 황토벽돌 제조방법 >
앞에서 언급한 본 고안에 의한 황토벽돌을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보조부(120)로 원목판재를 사용하고 심지(60)로 철재못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원목판재로된 보조부(120)를 황토에 접합 시키기 위해서는 도 1a, 도 1b에서 보듯이 못과 같이 가늘고 단단한 금속성 물체를 심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당한 갯수의 심지(60)가 박힌 목재 보조부(120)를 형틀(10) 내의 공간부(실린더 역할을 함) 아래쪽 끝 유압기(40)에 연결된 피스톤(50) 위에 위치시키고(s10), 이 피스톤(50) 위 공간부에 황토로 된 몰탈(20)을 집어넣어 채우고(s20), 유압기(30)에 연결된 밀개(70)로 상기 황토 몰탈(20)을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밀어서 황토 몰탈(20)의 형틀 위로 솟아오른 부분을 밀어서 제거시킴과 동시에 상기 황토 몰탈(20)의 상부면을 덮어서 공간부의 덮개 역할을 하도록 덮어준다(s30). 도 1b에서 처럼 피스톤(50)으로 황토 몰탈을 소정의 압력으로 위로 밀어서 압축한 후(s40), 도 1c에서 처럼 밀개(70)를 치우고 피스톤(50)으로 벽돌(100)을 공간부 위로 완전히 밀어내어 토출시킨 뒤(s50) 그늘에서 소정시간 동안 건조시키면(s60)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황토벽돌(100)을 얻을 수 있다.
< 황토 충전용 블럭 1 >
본 고안에 의한 황토 충전용 블럭(20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럭(200)의 양 측면은 목재 패널(220)(230)로 구성되고, 상기 목재패널(220)(230)에는 다수의 구멍(240)이 뚫려 있다. 상기 구멍(240)은 이 블럭(200)의 공간부(250)에 충전된 황토몰탈의 건조 및 황토의 유익한 효능이 목재로 인해 막히지 않고 정상적으로 인체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한편 상기 목재 패널(220))(230) 사이에는 여러 개의 수평 지지대(210)가 양쪽의 목재 패널(220))(230)을 고정시키고 있다. 이때 수평 지지대(210)는 적어도 아래 위 두줄로 배치되고 한줄마다 다수개가 설치되며, 목재 패널(220)(230)의 양쪽 끝면과 일치하는 위치에는 필히 수평 지지대(21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목재 패널(220)(230)의 양쪽 끝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210)의 바깥면에는 소정 크기의 나사 구멍(280)이 뚫려 있다. 나사 구멍(280)은 도 4b에서 보듯이 한 블럭(200)을 다른 블럭(200)과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 두 블럭(200)의 지지대(210)에 형성된 나사 구멍(280)을 통해 나사로 두 블럭(20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때 사용된다.
목재 패널(220)(230)의 하부 안쪽 면에는 소정 폭의 단턱부(260)(270)가 형성되어 있다. 단턱부(260)(270)의 길이는 블럭(200)의 길이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턱부(260)(270)는 목재 패널(220)(230)의 아랫면보다 소정의 길이 만큼 아래에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210) 가운데 맨 아래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아랫면과 목재 패널(220)(230)의 윗면이 맞닿게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단턱부(260)(270)의 양끝부분은 상기 수평 지지대(210)와 서로 맞닿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럭(200)의 윗쪽에 설치되는 지지대(210)는 목재 패널(220)(230)의 윗면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바람직하게는 상기 단턱부 높이만큼)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블럭(200)을 수직으로 쌓을 때 블럭(200)의 단턱부(260)(270)가 상기 목재 패널(220)(230)과 지지대(21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홈에 꼭 끼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단턱부(260)(270)는 블럭의 측면에서 보아 ㄱ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블럭(200) 사이의 상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나의 블럭(200) 위에 다른 블럭(200)을 올려 놓을 경우 상기 단턱부(260)(270)에 의해 아래 위 두 블럭(200)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충전용 블럭의 가운데에 형성되는 공간부(250)는 황토 몰탈을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면 상기 구멍(240)을 통해 황토가 빨리 건조하고, 또 건조된 뒤에는 이 구멍(240)을 통해 황토 기운이 인체로 전달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황토 충전용 블럭을 사용할 경우 자투리 목재를 이용할 수 있어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누구나 손쉽게 견고한 황토벽을 쌓을 수 있다. 한편 도 3a는 블럭(200)의 평면도 이고, 도 3b는 블럭(200)의 측면도이고, 도 3c는 블럭(200)의 단면도이고, 도 3d는 블럭(200)의 사시도이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황토 충전용 블럭(200)을 이용한 황토벽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서 처럼 바닥 바로 위에 기단부를 설치하고 그 위에 여러 개의 블럭(200)을 얹는다. 이때 블럭(200)들은 도 4b에서 처럼 이웃한 두 블럭(200)의 구멍(280)이 일치하게 한 뒤 나사못 등의 결합수단을 이구멍(280)에 끼워맞춰 두 블럭(200)을 서로 결합한다. 같은 방식으로 블럭(200)들을 결합하여 한 층의 블럭 단을 형성한 후에, 블럭 내부의 공간부(250)에 황토 몰탈을 채워 넣고, 몰탈이 다 채워지면 그 위에 다시 한 층의 블럭 단을 쌓는다. 이때 아래 위 블럭(200)은 서로 단턱부(260)(27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또 블럭(200)을 아래 위로 쌓을 때는 도 4a에서처럼 위 블럭(200)의 중심이 아래 두 블럭(200)의 연결부위에 오도록 쌓는 것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다. 즉 블럭(200)은 아래 위 방향으로는 상기 단턱부(260)(270)에 의하여 고정되고, 블럭(200)의 길이 방향으로는 나사, 못 등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구조적으로 튼튼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처럼 블럭(200)의 결합과 몰탈의 주입충전 과정을 계속 반복함으로써 벽체공사가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블럭(200)에 충전시킬 수 있는 몰탈은 황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견고함이 부족한 황토의 특성상 황토벽을 시공할 때 본 고안에 따른 블럭(200)을 사용한다면 황토의 유익한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견고한 벽체를 시공할 수가 있다. 이는 황토를 감싸고 있는 목재 블럭(200)이 내력을 지탱하고 또한 주입충전된 황토는 상하좌우로 끊어짐 없이 일체로 견고한 벽을 형성한다. 나아가 견고함을 더욱 강화하고 싶다면 황토에 생석회나 백시멘트 등을 혼합한 몰탈을 충전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엔 황토의 유익한 성분이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황토 몰탈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다소 감소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목재 블럭(200)을 이용한 황토벽의 경우 벽면 양측이 모두 목재로 형성되므로 일반 목조주택처럼 외벽의 마감 작업이나 사이딩 작업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 황토 충전용 블럭 2 >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황토 충전용 블럭(300)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블럭(300)은 목재로 이루어진 몸체(310), 이 몸체(310)의 앞뒤에 설치되는 블럭 벽체(320)(330) 및 몸체(3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간부(350)(이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원통형 공간부가 있음)로 이루어진다.
이때 몽체(310) 윗면(360)의 양쪽 끝에는 다수개의 ㄷ자 앙카못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앙카못홈(340)은 이 블럭(300)을 이용하여 벽체공사를 할 때 좌우방향으로 이웃한 두개의 블럭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몸체(310)와 벽체(320)(330)의 높이는 같으며 몸체(310)가 벽체(320)(330)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튀어나와 단턱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블럭(300)을 상하로 쌓을 때 상하 블럭(300) 사이에 단턱부에 의하여 블럭(300)들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부(310)는 벽체(320)(330) 보다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이 예에서는 왼쪽) 소정의 길이만큼 더 튀어나와 역시 단턱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도 벽체 공사를 위해 블럭(300)을 좌우로 연결하여 쌓을 때 좌우로 이웃한 블럭(300)들을 상기 단턱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두 블럭 사이의 ㄷ자 앙카못홈(340)을 ㄷ자 앙카못으로 연결하여 블럭(300)들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은 ㄷ자앙카못홈(340)을 이용하여 블럭(300)을 연결하는 예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몸체(310)에 쓰이는 목재로는 자투리 통나무를 활용하는 것이 자원의 활용상 바람직하다. 그리고 블럭(300)에 형성된 공간부(350)에는 공기가 채워져서 방음, 방열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전기선이나 전화선 등의 통로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황토를 이 공간부(350)에 충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통나무 목재 블럭(300)으로 벽을 시공할 경우, 나무의 보온효과로 인해 별도의 보온처리를 요하지 않으며,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조립식 제작으로 시공이 간편하다.
< 거푸집 판재와 목심을 이용한 황토벽 시공방법 >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재를 목심과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판재를 목심과 연결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7a, 7b에서 거푸집 판재(420) 사이를 목심(430)으로 연결하되 나사못(440)을 조여서 목심(430)과 판재(420)를 고정시킨다. 즉 하나의 목심(430)은 보통 네개의 판재(420)를 고정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목심(430)으로 연결된 두 판재(420) 사이의 공간부(410)는 황토로 충전되고 다져진다. 이렇게 해서 황토가 굳으면 상기 판재(420)를 제거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황토벽이 완성되게 된다. 도 8은 이러한 방법으로 거푸집 판재(420)와 목심(430)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판재(420) 모퉁이의 사각형 모양은 목심(430)이다. 목심(430)에는 나사못을 박기 좋게 소정 크기의 구멍이 뚫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c는 상기 황토벽 시공과정에서 판재(420)들을 아래 위로 연결한 경우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황토벽돌과 황토 충전용 벽돌을 사용하면 벽체 시공 분야의 비전문가라도 아무나 황토의 유익한 효능을 그대로 살리면서 견고한 황토벽을 쉽게 쌓을 수 있다. 그리고 직접 시공으로 건축비용의 절감, 시공기간의 단축 등의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고, 건강에 좋은 주거환경을 이룰 수 있고, 자투리 목재 등을 이용하여 블럭을 제작하므로 자원의 활용면에서 좋다.
그리고 목재를 이용하여 황토벽을 쌓을 수 있어서 벽체 마감공사를 다양하게 처리할 수 있고, 미감도 뛰어나며, 흙벽에 못 등을 박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벽체 시공용으로 사용되는 직육면체 모양의 황토벽돌에 있어서,
    황토로 이루어진 황토부;
    상기 황토부에 비해 폭이 좁으며 상기 황토부에 결합되어 있고 황토보다 비바람에 잘 견디는 재질의 보조부; 및
    상기 황토부와 보조부의 결합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심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황토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의 재질은 원목판재, 합판, MDF, OSB합판, 시멘트 사이딩(하드 패널) 가운데 하나인 것이 특징인, 황토벽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황토벽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의 형상은 I자, T자, ㄱ자 가운데 하나인 것이 특징인, 황토벽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벽돌을 물에 의해 침수되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보조부에 침수성 방수액이나 목재용 스테인류를 바르는 것이 특징인,황토벽돌.
  6. 블럭의 양 측면을 이루는 두개의 목재 패널;
    상기 두 목재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양쪽 목재 패널을 서로 수평되게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
    상기 블럭의 양측면 목재 패널에 의해 형성되어 황토몰탈을 충전하기 위한 공간부;
    상기 공간부에 충전된 황토몰탈의 건조 및 황토의 유익한 효능이 인체로 발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두 목재 패널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다수의 구멍; 및
    블럭의 상하좌우 연결시 연결되는 블럭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두 목재 패널의 하부 안쪽 면에 형성된 소정 폭의 단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황토 충전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적어도 아래 위 두줄로 배치되고 한줄마다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목재 패널의 양쪽 끝면과 일치하는 위치에는 필히 상기 수평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목재 패널의 양 끝면과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대의 측면에는 소정 크기의 나사 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나사 구멍은 한 블럭을 다른 블럭과 좌우방향으로 연결할 때 두 블럭의 지지대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를 포함한 소정의 고정 수단으로 두 블럭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황토 충전용 블럭.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는 ㄱ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상기 단턱부의 길이는 블럭의 길이와 같고, 상기 단턱부의 높이는 상기 두 목재 패널의 아랫면보다 소정의 길이 만큼 아래까지 연장되고, 상기 다수개의 수평 지지대 가운데 맨 윗줄에 설치되는 지지대의 윗면과 패널 윗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단턱부의 높이와 같아서 두 블럭을 상하로 연결시 상기 단턱부가 상기 윗줄 지지대와 패널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황토 충전용 블럭.
  9. 목재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블럭을 이용하여 벽체공사를 할 때 좌우방향으로 이웃한 두개의 블럭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몸체 윗면의 양쪽 끝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ㄷ자 앙카못홈;
    상기 몸체의 앞뒷면에 설치되는 블럭 벽체; 및
    상기 몸체의 아래윗면을 관통하게 형성되어 전선, 통신선, 파이프가 지나가게 하거나 황토를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개의 공간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황토 충전용 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벽체의 높이는 같으며 상기 몸체가 벽체 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위쪽으로 튀어나와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황토 충전용 블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벽체 보다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더 튀어나와 단턱부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 황토 충전용 블럭.
KR20-2003-0034053U 2003-10-30 2003-10-30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KR200338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53U KR200338682Y1 (ko) 2003-10-30 2003-10-30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053U KR200338682Y1 (ko) 2003-10-30 2003-10-30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520A Division KR20050041380A (ko) 2003-10-30 2003-10-30 황토벽돌, 황토 충전용 블럭, 황토벽돌 제조 방법 및황토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682Y1 true KR200338682Y1 (ko) 2004-01-16

Family

ID=4934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053U KR200338682Y1 (ko) 2003-10-30 2003-10-30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6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99B1 (ko) * 2012-02-01 2013-12-16 신정식 흙벽돌 및 상기 흙벽돌을 이용하여 벽면을 조적하는 방법
KR20220135439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토이즈앤 건축용 외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99B1 (ko) * 2012-02-01 2013-12-16 신정식 흙벽돌 및 상기 흙벽돌을 이용하여 벽면을 조적하는 방법
KR20220135439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토이즈앤 건축용 외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581883B1 (ko) * 2021-03-30 2023-09-27 주식회사 토이즈앤 건축용 외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7767B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и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сооружения
KR20060134839A (ko) 흙집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KR200338682Y1 (ko) 황토벽돌 및 황토 충전용 블럭
KR20050041380A (ko) 황토벽돌, 황토 충전용 블럭, 황토벽돌 제조 방법 및황토벽 시공방법
CN207672806U (zh) 一种中空装配式墙板系统
KR101547845B1 (ko) Pc한옥구조물
KR20020037002A (ko) 가구식 건축물의 조립식 한옥 건축방법 및 그 한옥구조
KR100758539B1 (ko) 건축용 황토판넬
US20120110942A1 (en) Wall block for a strawbale house, and strawbale-hous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353841B1 (ko) 주택 벽체 및 그 시공방법
RU49860U1 (ru) Деревя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блок и стена малоэтаж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0307848B1 (ko) 숯과 짚이 첨가된 황토벽돌
CN212716050U (zh) 低层现代梁柱框架式木结构住宅墙体及低层住宅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JP3033021U (ja) 木製ブロック及び木製タイル
CN111608430A (zh) 低层现代梁柱框架式木结构住宅墙体及低层住宅
CN113789884B (zh) 一种预制金属外墙板防水结构
KR200186199Y1 (ko) 원통나무 황토주택
CN220132959U (zh) 一种防止地下水渗透的混凝土地下室
CN2791166Y (zh) 仿木代木中空保温组装房
CN201074389Y (zh) 一种预制装配式外墙保温板
CN2398368Y (zh) 一种实木地板砖
KR101929265B1 (ko) 내진성 향상을 위한 황토벽돌조 골조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RU57311U1 (ru) Клее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