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16Y1 -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16Y1
KR200172016Y1 KR2019990019218U KR19990019218U KR200172016Y1 KR 200172016 Y1 KR200172016 Y1 KR 200172016Y1 KR 2019990019218 U KR2019990019218 U KR 2019990019218U KR 19990019218 U KR19990019218 U KR 19990019218U KR 200172016 Y1 KR200172016 Y1 KR 200172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ler
sensor
speed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석재
Original Assignee
오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석재 filed Critical 오석재
Priority to KR2019990019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345Controlling injection 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점화장치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코일과, 가속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가속장치센서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엔진감지센서와, 바퀴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제동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제동장치센서와, 가속장치센서와 엔진감지센서와 속도감지센서 및 제동장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정보에 따라 급발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급발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시기를 조절하는 인젝터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소자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Description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An apparatus for preventing sudden start}
본 고안은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발진 요인이 발생하는 경우에 엔진의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자동차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는 클러치를 두어 엔진을 무부하 상태에서 시동을 걸고 그 동력을 서서히 자동차 바퀴에 전달하여 원할하게 자동차가 출발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시 엔진의 출력은 한도가 있고, 특히 저속회전에서의 토크는 작다. 따라서 엔진만의 발생 토오크로서는 차량이 출발할 수 없기 때문에 변속기나 차동장치 기어등을 설치하고 있다. 후진시에는 엔진이 역회전할 수 없으므로 변속기의 기어치합을 변환시켜 자동차를 후진시키고 주행시에는 변속기와 차동장치로서 엔진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만큼 토오크를 증대시키고 자동차 속도를 증대시킬때에는 높은 회전수가 요구되므로 고속기어로 치합하는 등 주행조건에 따라서 기어를 선택하게 된다. 자동차의 동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클러치 조작이 필요하고 주행조건에 따라서 기어변속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자동차의 자동변속장치이다.
자동변속장치는 엔진과 바퀴의 속도비를 자동적으로 바꾸는 기어· 제동장치 등의 장치를 의미하며 1939년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유체의 성질을 응용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변환, 전달시키는 유압토크컨버터와 유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조작되는 2~4단 기계식 변속기를 조합한 것이다. 액셀페달의 조작으로 엔진회전을 조절하면 정지상태로부터 부드럽게 발진하여, 최고 속도까지 거의 충격없이 자동적으로 가속된다. 최근에는 소형 컴퓨터로 변속점을 검출하는 전자제어 자동변속기, 기계식 무단자동 변속기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변속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변속장치의 변속기어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초기속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출발직후부터 갑자기 빠른 속도로 출발하여 충돌사고의 발생이 매우 높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기에 미치는 주변 전자파의 영향에 의해 차량이 급발진되어 사고로 이어지는 예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호출기, 휴대폰등의 이동 통신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자동 변속차량의 급발진의 인한 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기술로는 어떤 오류에 의해 오동작하는지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전자제어 유니트(Electronic Control Unit) 내부의 결함과 전계 및 자계의 영향으로 오동작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급발진 방지장치중 전자클러치를 제어하는 기술중의 하나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은 대한민국 실용공개번호 제1998-41141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히비트 스위치(1)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2)와, 악셀레이터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레이터스위치(3)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4)에 접속시켜, 차량이 정지해있고, 악셀레이터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으면, 비록 인히비트 스위치(1)가 D, S, L중 어느하나에 있다 하더라도 전자클러치(8)가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이다.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공개번호 제1997-31137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 구성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동 변속 차량의 시동시 브레이크 스위치(SW1)와 PN스위치(SW2)가 턴-온된 경우에만 변속레버 구동용 솔레노이드(SL)를 구동시켜 급발진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 스위치(SW1)를 변속레버 구동용 솔레노이드(SL)를 통해 PN스위치(SW2)에 직렬 접속하여 구성한 자동 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대부분의 기술이 전자클러치나 변속레버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현재까지는 전자제어 시스템에 미치는 전자파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방법만이 대두되고 있으며, 전자파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엔진의 오동작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구현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운전자의 의사에 반한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급발진 요인이 발생할 때 이를 감지하여 엔진의 회전을 차단하는 점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급발진 요인의 발생 내역 및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기록/저장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이상동작을 감지하여 점화장치를 제어하므로써 사고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의 이상동작을 감지하여 엔진에 제공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엔진의 구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중 엔진회전의 급상승으로 인한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여 엔진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급발진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점화장치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코일과, 가속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가속장치센서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엔진회전감지센서와, 바퀴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제동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제동장치센서와,
가속장치센서와 엔진감지센서와 속도감지센서 및 제동장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정보에 따라 급발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급발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시기를 조절하는 인젝터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소자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세부적인 특징은 상기 컨트롤러에는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기억장치가 연결된 점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화코일 및 인젝터에 제공되는 전원이 5초 동안 차단되도록 하는 점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3의 구성 중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좀 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구성 중 각 신호입력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발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자동차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가속장치(11)와,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제동장치(21)와, 바퀴(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엔진(41)과, 상기 가속장치(11)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가속장치센서(12)와, 제동장치(21)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제동장치센서(22)와, 바퀴(31)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속도센서(32)와, 엔진(200)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엔진감지센서(70)와, 자동변속기 레버의 현재 위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히비터 스위치(40)와, 상기 제동장치(21)의 역할을 보조하는 보조제동장치(50)와, 상기 가속장치센서(12)와 제동장치센서(22)와 속도센서(32)와 인히비터 스위치(40)와 보조제동장치(50) 및 엔진감지센서(7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정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100)와, 엔진(200)내의 점화장치(도시되지 않음)에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도전압을 제공하는 점화코일(82)과, 상기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80)로부터 상기 점화코일(82)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부(81)와, 상기 엔진(200)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량을 조절하는 인젝터(92)와, 상기 컨트롤러(10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젝터(92)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부(91)와, 상기 컨트롤러(100)에 제공되는 각 센서들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저장하는 기억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속장치센서(12)의 감지결과 운전자가 가속장치(11)를 통해 가속의사를 나타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엔진감지센서(70) 및 속도센서(32)로부터 제공된 검출값이 각 임계값을 벗어날 때 각 스위칭부(81, 91)를 통해 점화코일(82) 및 인젝터(92)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중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좀 더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동작전원을 인가 받아 각 센서들(12, 22, 32, 40, 50, 7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들을 입력받는 신호입력부(101)와, 상기 신호입력부(101)를 통해 제공된 입력신호와 상기 기억장치(60)내에 설정된 임계값을 읽어들여 각 값을 비교하는 신호비교부(102)와, 상기 신호비교부(102)의 비교 결과가 급발진 상태에 해당될 때 스위칭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부(103)로 구성된다.
제어신호의 출력 및 신호비교부(102)로부터의 입력값들은 클럭 주기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60)로 출력되어 저장된다. 본 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어신호 출력부(103)로부터 릴레이(Relay)를 사용하는 각 스위칭부(81, 91)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중 차단신호의 설정을 5초로 하지만, 이 값의 설정은 변경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e는 상기 도 4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a는 컨트롤러(100)를 중심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컨트롤러(1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등의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의 본 예에서는 U1을 기호로 사용하고 있다. 센싱되는 신호는 P11~P52로 나타내며 기억장치(60)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컨트롤러(U1)에는 상기 기억장치(60)내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외부로 보낼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부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된 센싱결과 급발진이라 판단된 경우에, 스위칭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단에 출력신호를 제공하여 점화장치와 연료분사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b는 입력신호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동장치센서(22)는 저항(R11, U11, U12, R12)으로 구성되어 그 출력신호(P11)가 컨트롤러(U1)에 제공된다. 보조제동장치(50)의 동작여부는 저항(R21, U21, U22, R2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어 그 출력신호(P12)가 컨트롤러(U1)에 제공된다. 인히비터 스위치(40)를 이루고 있는 각 레버의 상태 감지는 주차(P), 후진(R), 주행(D), 2단주행(2) 및 저속주행(L)등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주차(P)레버의 상태감지는 저항(R31, U31, U32, R3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후진(R)레버의 상태감지는 저항(R41, U41, U42, R4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주행(D)레버의 상태감지는 저항(R51, U51, U52, R5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2단 주행(2)레버의 상태감지는 저항(R61, U61, U62, R6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저단 주행(L) 레버의 상태 감지는 저항(R71, U71, U72, R72)으로 구성된 회로에 의해 검출되고, 각 출력신호(P21, P22, P23, P24, P25)가 컨트롤러(U1)에 제공된다.
도 5c는 가속장치(11)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장치센서(12)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그 구성은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1, D2)를 거쳐 제공된 악셀레이터 동작신호는 비교증폭기(U2)의 반전단자(-)에 전달되고, 상기 비교증폭기(U2)의 비반전단자(+)에는 전압분배용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동작전원(B+)이 제공된다. 가변저항(VR1)은 상기 비교증폭기(U2)의 동작 기준전압을 가변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교증폭기(U2)의 출력신호(P31)는 신호전달용 저항(R3)을 거쳐 컨트롤러(U1)에 제공된다.
도 5d는 엔진감지센서(7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저항(R4)을 통해 감지된 엔진회전 신호는 저항(R5) 및 캐패시터(C1)에 의해 잡음이 제거되어 비교증폭기(U3)의 반전단(-)에 제공된다. 다이오드(D3, D4)는 역전류방지를 위한 것이다. 비반전단에는 동작전원(B+)이 저항(R6, R7)에 의해 분압되어 제공된다. 비교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저항(R9)을 거쳐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U4)에 인가된다. 저항(R8)과 캐패시터(C2)는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U4)의 시정수를 결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U4)의 출력신호는 저항(R10)과 캐패시터(C3)에 의해 잡음이 필터링되어 비교증폭기(U5)의 반전단(-)에 전달되고, 비교증폭기(U5)의 비반전단(+)에는 가변저항(VR2)에 의해 조절된 기준전압이 제공된다. 비교증폭기(U5)의 출력신호(P41)는 신호전달용 저항(R16)에 의해 컨트롤러(U1)에 전달된다.
한편, 다른 멀티바이브레이터(U6)에도 상기 비교증폭기(U3)의 출력신호가 동작되며 가변저항(VR3)에 의해 변경된 기준전압과의 차에 의해 동작되는 비교증폭기(U7)의 출력결과(P42)가 신호전달용 저항(R17)에 의해 컨트롤러(U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가변저항(VR2, VR3)의 조절에 따라 타코메타의 기준값을 가변할 수 있다. 즉, 급발진 제어를 위한 기준 R.P.M.을 경우에 따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e는 속도감지센서(32)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바퀴의 속도 검출신호는 저항(R18, R19)을 거쳐 멀티바이브레이터(U8)에 전달되고, 그 출력신호는 저항(R23)과 캐패시터(C7)에 의해 잡음이 제거되어 비교증폭기(U9)의 반전단(-)에 전달된다. 비반전단(+)에는 가변저항(VR4)을 거친 동작전원(B+)이 제공되어 상기 비교증폭기(U9)의 출력값을 위한 기준값으로 이용된다. 비교증폭기(U9)의 출력값(P51)은 저항(R24)를 거쳐 컨트롤러(U1)에 제공된다.
상기 멀티바이브레이터(U8)와 그 주변회로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멀티바이브레이터(U10) 및 그 주변회로의 동작도 상기의 설명과 동일하다. 미설명된 저항(R20, R25) 및 캐패시터(C6, C8)은 각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 시정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며, 다이오드(D6, D7)는 역전류 방지를 위한 것이다.
상기 신호입력부(101)에 입력부에 제공되는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와 신호비교부(102) 및 제어신호 출력부(103)의 동작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표1]은 각 센서의 감지신호 및 신호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값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신호비교부출력값센서 1 0
가속장치센서(Data 1) ON OFF
제동장치센서(Data 2) ON OFF
속도감지센서(Data 3) 10㎞/h 이상 10㎞/h 미만
엔진감지센서(Data 4) 3000 R.P.M 이상 3000 R.P.M 미만
사용자가 가속장치(11) 즉 악셀레이터를 조작하여 가속의사를 나타내었을 경우 신호비교부(102)에서 인식되는 값은 '1'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값은 '0'이 된다. 사용자가 제동장치(12), 즉 브레이크를 조작하여 제동의사를 나타내었을 경우 신호비교부(102)에서 인식되는 값은 '1'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의 값은 '0'이 된다. 속도감지센서(32)에서 검출되어 입력된 속도값이 기억장치(60)로부터 읽어들인 임계값인 10㎞/h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의 값은 '1'이 되고, 10㎞/h 미만인 경우 '0'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엔진감지센서(70)에서 검출된 엔진회전수가 기억장치(60)로부터 읽어들인 임계값인 3000 R.P.M 이상인 경우의 값은 '1'이 되고, 3000 R.P.M 미만인 경우 '0'의 값을 갖는다.
이상의 각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출력부(103)로부터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출력값이 변화된다. 가속센서의 출력값(DATA 1)의 값이 '1'인 경우 사용자가 가속의사를 나타낸 것이므로,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는 온(ON)상태를 유지하여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다음의 경우에는 각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 점화코일(Ignition Coil) 및 연료분사장치(Injector)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첫째,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R.P.M이 3000 이상이고 속도가 10㎞/h 이상이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
둘째,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R.P.M이 3000 이상이고 속도가 10㎞/h 이상이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
셋째,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R.P.M이 3000 이상이고 속도가 10㎞/h 이하이고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
넷째,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R.P.M이 3000 이상이고 속도가 10㎞/h 이하이고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예는 사용자의 의사가 급발진을 원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엔진제어장치(Engine Control Unit)의 오동작되는 경우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엔진회전이 3000 R.P.M을 넘어서거나 이에 따라 차량속도가 10㎞/h 이상으로 되거나, 제동을 시도하여도 가속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전원부로부터 엔진내의 점화장치나 연료분사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속도센서(32)로부터 제공되는 값이 50㎞/h 이상인 경우는, 사용자가 운전중에 가속의사 없이 브레이크등을 밟을 수 있는 상황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신호 출력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스위칭부를 온(ON)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 1]에서의 각 센서의 출력값 및 기준값은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값이며 경우에 따라 상기 각 회로들의 가변저항(VR2~VR5)의 차등적용에 따라 R.P.M의 기준값 및 엔진속도의 감지 기준값이 변경 가능하다.
본 고안의 개념은 가속장치와 제동장치와 엔진회전수 및 차량속도를 감지하고 검출된 결과가 급발진 방지장치에서 급발진 상태라 판단하게 되면 점화코일 및 연료분사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으로, 각 임계값은 차량이나 지역등을 고려하여 충분히 가변될 수 있는 것임에는 언급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주행중에도 급발진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행중 오류로 판단되어 점화코일 및 인젝터에 전원이 차단되어 차량이 급정지하여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속도가 일정값 이상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악셀레이터를 밟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R.P.M.이 급증가하여 급발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점화코일 및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일시 차단하고, 크랭크각신호의 검출 결과가 1500 R.P.M.이 되는 시점에서 다시 전원을 인가시켜,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여 주행중 급발진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고, 주행중 엔진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한 급발진의 요인이 발생할 때, 이를 감지하여 엔진의 점화장치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써 급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차량의 급발진 요인의 발생 내역 및 차량 각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므로써 차후 급발진 요인의 제거를 위한 자료로서의 효용가치를 갖는다. 또한, 주행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급발진 현상에 대해서도 엔진의 급회전을 일시 차단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점화장치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코일과,
    가속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가속장치센서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엔진감지센서와,
    바퀴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값과 임계값의 비교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속도감지센서와,
    제동장치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는 제동장치센서와,
    상기 가속장치센서와 엔진감지센서와 속도감지센서 및 제동장치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정보에 따라 급발진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급발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와,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시기를 조절하는 인젝터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스위칭소자와,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운전자가 가속장치를 통해 가속의사를 나타내지 않을 때 엔진의 회전수가 임계값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에 상기 제 1 스위칭소자를 구동시켜 점화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 2 스위칭소자를 구동시켜 인젝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및 제 2 스위칭소자에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5초동안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및 제 2 스위칭소자는 릴레이(Relay)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속도와 비교되는 임계값은 10㎞/h 이고, 상기 엔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엔진회전수와 비교되는 임계값은 30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들을 입력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를 통해 제공된 입력신호와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신호비교부와,
    상기 신호비교부의 비교 결과가 급발진 상태에 해당될 때 상기 제 1 스위칭소자 및 제 2 스위칭소자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자동변속기의 레버위치 상태와 보조제동 장치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각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소정의 기억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는 상기 기억장치내의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싱부가 부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19990019218U 1999-09-09 1999-09-09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0172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18U KR200172016Y1 (ko) 1999-09-09 1999-09-09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218U KR200172016Y1 (ko) 1999-09-09 1999-09-09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16Y1 true KR200172016Y1 (ko) 2000-03-15

Family

ID=1958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218U KR200172016Y1 (ko) 1999-09-09 1999-09-09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33B1 (ko) * 1999-12-28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KR100452192B1 (ko) * 2001-10-11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33B1 (ko) * 1999-12-28 2003-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KR100452192B1 (ko) * 2001-10-11 200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354B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JP3513937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US8825336B2 (en) Method for detecting a burnout state during which driven wheels are caused to spin
JPS63270950A (ja) 駆動スリツプ防止方法及び装置
US4982807A (en) Drive-slip control device for motor vehicles
CA209369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ystem
KR100498138B1 (ko) 동력 전달 계열 토크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172016Y1 (ko)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US6935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gear selection by means of a selector lever
JP2001289084A (ja) 電子変速機ユニットにより制御される変速機を備えた自動車両
KR20020083508A (ko) 자동차 트랙션 제어 시스템
CA2545209A1 (en) All-terrain vehicle reverse gear protection
KR20030091706A (ko) 자동 변속기에 배치된 클러치 슬립 조절 방법
US5758305A (en) System for detecting frictional state of running road surface
JP3094579B2 (ja) 車両用自動変速装置の変速制御方法
KR100380084B1 (ko) 자동차의 주차장치 및 그 방법
JPH1047102A (ja) 変速機とエンジンの統合制御装置
KR19980046906A (ko) 코너링시 차량의 자동감속방법
JP2000283282A (ja) 自動変速機の減速時制御方法
JP6809937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995635B2 (ja) 自動変速機付車両の動力制御装置
JPS6138252A (ja) 車両の自動変速制御装置
KR100376288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JPH10184876A (ja) 車両の挙動制御装置
KR100280629B1 (ko) 자동차 시동 꺼짐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