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133B1 -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133B1
KR100369133B1 KR10-1999-0063691A KR19990063691A KR100369133B1 KR 100369133 B1 KR100369133 B1 KR 100369133B1 KR 19990063691 A KR19990063691 A KR 19990063691A KR 100369133 B1 KR100369133 B1 KR 10036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ignal
input
vehicle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202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1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에 두개의 입력 브레이크 스위치를 장착하여 급출발 또는 엑셀 페달 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되는 회전수, 차속을 임의로 설정된 값과 각각 비교하고, 이 각각의 비교값을 연산하며, 변속 레버의 주차 및 중립 신호에 의하여 연산 또는 회전수 비교값을 선택하는 수단과; 엑셀 페달 센서값 및 이전 엑셀 페달 센서값과 감산하여 임의로 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값을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연산 또는 회전수 비교값을 선택하는 수단과 엑셀 페달 센서 비교값과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엑셀 페달 센서값과 브레이크 값을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엑셀 페달 센서값과 브레이크 값 입력시 시간을 지연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시간 지연이 소정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센서 오작동을 강제 방지 제어하는 로직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SUDDEN START AND ACCEL PEDAL ERROR PREVENTING CONTROL SYSTEM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젤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에 두개의 입력 브레이크 스위치를 장착하여 급출발 또는 엑셀 페달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젤 및 가솔린 린번/ 직접 분사 방식 엔진 차량의 경우 오토 클루즈 기능이 없는 차량은 브레이크 스위치를 적용하지 않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을 엔진 제어 장치가 인식을 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차량의 급발진 상태나 엑셀 페달의 개도를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엑셀 페달 센서 및 엑셀 페달 모듈 고착으로 인한 문제 발생시에도 엔진 제어 장치는 이에 대하여 제어하기 위한 로직이 불분명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급발진을 막기 위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야 만 시동이 걸리는 시스템도 있으나, 막상 시동이 걸린 후 갑작스런 급발진 상태가 발생할 경우 속수무책일 수 밖에 없고, 어떠한 이유에서든 어떤 상황에서든 급발진 현상이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히 대응할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조작 미숙이나 밝히지 못할 원인에 의한 차량 급발진 발생시 이를 제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어떠한 원인 및 상황에서든 차량의 급발진 발생시 이를 방지할 만한 장치가 없는 실정이고, 상기 급발진 원인을 살펴보면 갑작스런 엔진 회전수 증가, 분사량의 급증, 엑셀 페달 센서 오동작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의 오동작으로 볼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원인은 엔진 시동후 급작스럽게 야기되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한 운전자라도 신속히 대처할 수 없게 되고, 설령 대처한다 하더라도 차량이 가지고 발진 구동력에 대하여 인위적 힘으로 저지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급발진 발생은 근본적으로 엔진 제어 장치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제어 장치의 입력단에 브레이크 스위치를 장착하여 급작스런 차량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거나, 엑셀 페달을 밟지 않았는데도 계속 눌려져 있는 경우에 상기 연료 분사량, 엔진 회전수, 연료 분사 시기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급발진 또는 엑셀 페달의 오작동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로직의 플로우챠트.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되는 회전수, 차속을 임의로 설정된 값과 각각 비교하고, 이 각각의 비교값을 연산하며, 변속 레버의 주차 및 중립 신호에 의하여 연산 또는 회전수 비교값을 선택하는 수단과; 엑셀 페달 센서값 및 이전 엑셀 페달 센서값과 감산하여 임의로 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이 비교값을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연산 또는 회전수 비교값을 선택하는 수단과 엑셀 페달 센서 비교값과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엑셀 페달 센서값과 브레이크 값을 연산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엑셀 페달 센서값과 브레이크 값 입력시 시간을 지연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시간 지연이 소정의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을 강제 방지 제어하는 로직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젤, 린번/ 직접 분사 방식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엔진 회전수, 차속, 엑셀 페달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급발진 방지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중 어느 하나라도 입력되지 않으면, 급발진 방지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 차량 급발진 방지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이고, 도 2 는 본발명 차량 급발진 방지 제어 시스템의 회로도로서, 엔진 회전수 신호, 차속 신호, 엑셀 페달 신호,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는 신호 입력부(10)와; 상기 신호 입력부(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 연료 분사량 등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장치(20)와;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에서 제어된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구동부(30)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신호 입력부(10)의 브레이크 신호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이중 브레이크 스위치로 구성되는 4 핀형 브레이크 스위치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는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와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C0MP1)와; 입력되는 차속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COMP2)와; 상기 비교기(COMP1)(COMP2)를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1)와; 변속 레버로부터 주차(P),중립(N)단 신호 입력시에는 엔진 회전수의 값을 선택하고, 그외 전진, 후진단 등의 신호 입력시에는 엔진 회전수와 차속에 대한 값을 선택하는 로직 스위치(SW)와; 상기 입력되는 엑셀 페달 센서 신호와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COMP3)와; 상기 엑셀 페달 센서의 기존 값과 현재 값을 감산하고 이 감산된 값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C0MP4)와; 상기 비교기(COMP3)(COMP4)의 비교값을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2)와; 입력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이중 브레이크 스위치값을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3)와; 상기 앤드 게이트(AND2)에서 출력되는 값 과 상기 스위치(SW)의 신호와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4)와; 상기 앤드 게이트(AND4)의 출력 값과 앤드 게이트(AND3)의 출력 값을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AND5)과; 상기 앤드 게이트(AND5)의 출력값에 의하여 시간을 카운터 하는타이머(TM)와; 상기 타이머(TM)로 부터 카운터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비교하는 비교기(COMP5)와; 상기 비교기(COMP5)의 출력에 의하여 엑셀 페달 고착시 운전 의도와 다르게 인식될 엑셀 페달 신호를 일정 기울기로 낮추어 기설정값을 인식하여 엔진 회전수, 분사 연료량 최소 유지 및 분사 시기 또는 점화 시기를 최대한으로 낮추어 유지하는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 방지 로직(LOGIC)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 시동시 신호 입력부(10)로 부터 엔진 회전수 신호, 차속 신호, 엑셀 페달 센서 신호 및 브레이크 신호를 엔진 제어 장치(20)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엔진 제어 장치(20)는 입력되는 신호를 내부 로직에 의하여 제어하고 이 제어된 신호를 구동부(30)로 출력하여 차량을 운행 및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구동하게 되는 전자제어장치(20)에서는 엔진 시동시 신호 입력부(10)로 부터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 신호에 대하여 비교기(COMP1)를 통해서 기설정된 값(3000RPM)보다 큰가를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 회전수가 3000RPM 이상이 아니면 돌발 상황에서도 차속이 급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입력되는 차속 신호에 대하여 비교기(COMP2)를 통해서 기 설정된 값보다 큰가를 비교하게 되며, 이때 기어가 들어간 상태에서는 입력되는 차속이 기설정된 값(60kph)이상이 아니면, 브레이크 조작으로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속도이므로 상기 입력되는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값 이상인가를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비교기(COMP1)(COMP2)에서 비교된 출력값이 기설정된 이상으로되어 출력되면 이 출력된 값은 앤드 게이트(AND1)를 통해서 논리곱 되어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앤드 게이트(AND1)를 통해서 논리곱된 신호는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 혹은 중립(N)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로직 스위치(SW)에 의하여 상기 선택되지 않게 되고,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되며, 반면에 상기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 혹은 중립(N)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논리곱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엔진 제어 장치(20)에서는 입력되는 엑셀 페달 신호에 대하여 비교기(COMP3)를 통해서 기 설정된 값보다 큰가를 비교함과 아울러, 상기 입력되는 엑셀 페달 신호에 대하여 기존의 엑셀 페달 신호와 감산하여 이 감산된 값을 비교기(COMP4)를 통해서 기 설정된 값보다 큰가를 비교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비교기(COMP3)(COMP4)를 통해서 비교된 신호는 앤드 게이트(AND2)를 통해서 논리곱하게 되고, 이 논리곱 된 신호는 상기 로직 스위치(SW)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 즉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 혹은 중립(N)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엔진 회전수 신호를, 상기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 혹은 중립(N)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앤드 게이트(AND1)의 논리곱된 신호를 선택한 신호와 앤드 게이트(AND4)를 통해서 논리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논리곱된 신호는 앤드 게이트(AND5)를 통해서 입력되는 브레이크 신호와 논리곱하게 되는데, 이때 브레이크 신호는 브레이크 신호와 이중 브레이크 신호인 두개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두개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 하더라도 엔진 제어 장치(20)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은 밟은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그러므로 상기 앤드 게이트(AND5)에서는 브레이크 신호를 인식한 신호를 타이머(TM)에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타이머(TM)는 정지 조건 신호가 입력될 때 까지 지연 동작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지 조건 신호는 신호 입력부(10)로 부터 상기 브레이크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는 경우와, 엑셀 페달 신호의 변화량이 증가하는 경우, 즉 급발진 및 돌발 상황에서는 엑셀 페달을 밟지 않게 되므로 상기 엑셀 페달 신호가 증가하는 것은 엑셀 페달을 더 밟게 되는 것으로 급발진 이나 돌발 상황이 아닌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 중립(N)위치에 있는 경우인데, 주차 및 중립 위치에서는 차속이 임의로 설정된 속도 이상 증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정지 조건 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타이머(TM)는 즉시 지연 동작을 정지한 시간을 비교기(COMP5)에 출력하게 되므로 상기 비교기(C0MP5)에서는 지연 동작이 정지된 시간과 기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게 되고, 상기 지연 동작이 정지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작게 되므로 출력 신호가 없게 되어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 방지 로직(LOGIC)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타이머(TM)에 정지 조건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지연 동작 시간 이 출력되게 되고, 이 출력되는 지연 동작 시간은 비교기(COMP5)를 통해서 임의로 설정된 시간 보다 길게 되어 상기 비교기(COMP5)에서는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 방지 로직(LOGIC)를 동작시켜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 방지 로직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엑셀 페달 고착시 운전시 의도와 다르게 인식될 엑셀 페달 센서 신호를 일정 기울기를 갖고 낮추어 정해진 설정값을 인식하고, 엔진이 정지되지 않을 최소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하며, 분사 연료량도 엔진이 정지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값으로 유지하고, 분사 시기 또는 점화 시기를 엔진이 정지하지 않을 만큼 최대한 늦추고, 체크 엔진 등을 점등시키도록 하여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 제어 장치에서 엔진 회전수, 스로틀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스위치 신호가 모두 입력되면 급발진 방지 작동을 수행하고, 상기 신호중 어느 하나라도 입력되지 않으면, 급발진 방지를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급작스런 차량 급발진 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엑셀 페달을 밟지 않았는데도 계속 눌려져 있는 경우 상기 연료 분사량, 엔진 회전수, 분사 시기를 제어하게 되므로 차량의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신호 입력부와 입력된 신호에 분석하여 엔진 회전수, 연료 분사량 등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장치와 엔진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엔진 회전수와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제1비교기와;
    입력되는 차속과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제1,제2비교기의 출력값을 논리곱하는 제1연산기와;
    변속 레버로 부터 주차(P),중립(N)단 신호 입력시에는 엔진 회전수의 값을 선택하고, 그외 전진, 후진단 등의 신호 입력시에는 엔진 회전수와 차속에 대한 값을 선택하는 로직 스위치와;
    입력되는 엑셀 페달 신호와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제3비교기와;
    상기 엑셀 페달 신호의 이전 값과 현재 값을 감산하고 이 감산된 값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제4비교기와;
    상기 제3, 제4비교기의 출력값을 논리곱하는 제2연산기와;
    브레이크 스위치와 이중 브레이크 스위치의 입력값을 논리곱하는 제3연산기와;
    상기 제2연산기의 출력값과 상기 로직 스위치의 신호를 논리곱하는 제4연산기와;
    상기 제4연산기의 출력값과 제3연산기의 출력값을 논리곱하는 제5연산기와;
    상기 제5연산기의 출력값에 의하여 시간을 카운터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카운터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경과하였는가를 비교하는 제5비교기와;
    상기 제5비교기의 출력에 의하여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작동 발생을 방지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1999-0063691A 1999-12-28 1999-12-28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KR100369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91A KR100369133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3691A KR100369133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202A KR20010061202A (ko) 2001-07-07
KR100369133B1 true KR100369133B1 (ko) 2003-01-24

Family

ID=1963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3691A KR100369133B1 (ko) 1999-12-28 1999-12-28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1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288B1 (ko) * 2000-12-04 2003-03-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급발진 방지를 위한 엔진제어방법
CN101612893A (zh) * 2008-06-26 2009-12-3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刹车时误踩油门的刹车方法以及刹车装置
CN103112355B (zh) * 2013-03-01 2015-11-11 张建文 一种汽车超速自动断油且油门变为刹车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55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9990068582A (ko) * 1999-06-03 1999-09-06 전찬구 자동차급발진방어전자제어기
KR19990083817A (ko) * 1999-08-05 1999-12-06 정상훈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방법 및 장치
KR200172016Y1 (ko) * 1999-09-09 2000-03-15 오석재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010037780A (ko) * 1999-10-20 2001-05-15 정주호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8455U (ko) * 1997-12-26 1999-07-15 양재신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9990068582A (ko) * 1999-06-03 1999-09-06 전찬구 자동차급발진방어전자제어기
KR19990083817A (ko) * 1999-08-05 1999-12-06 정상훈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방법 및 장치
KR200172016Y1 (ko) * 1999-09-09 2000-03-15 오석재 자동차 급발진 방지장치
KR20010037780A (ko) * 1999-10-20 2001-05-15 정주호 자동변속 차량의 급발진 방지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202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985B1 (ko) 차량 급발진 방지 제어 시스템
JP2000320365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H10238376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369133B1 (ko) 차량 급발진 및 엑셀 페달 오동작 방지 제어 시스템
US5005687A (en)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s
JP3100147B2 (ja) 走行速度制限方法及び装置
JP2894150B2 (ja) 内燃機関の運転制御装置
US51523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lutch for vehicles
KR10031454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12007568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914068B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335945B1 (ko) 자동차용 전자 스로틀 시스템의 림프 홈 제어 방법
JP3196512B2 (ja) エンジンの自動始動停止装置
KR10033850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 급발진 방지방법
JP2002195076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
JP2011027091A (ja) 電子制御スロットルのアクセルセンサ信号変換装置の減衰出力制御方法
KR100748647B1 (ko) 자동차 엔진의 공연비 및 점화 제어방법
JP2004293441A (ja) アクセルセンサ異常処理装置
KR100622002B1 (ko) 차량 후진 출발시 급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1132490A (ja) エンジンの自動制御装置
KR100391215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작동장치 및 그 방법
KR100440133B1 (ko) 자동차의 급제동시 흡기 제어방법
KR20210057971A (ko) 차량의 급가속 방지 방법 및 그 방지 장치
KR20030024203A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20133536A (ja) 駆動力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