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68Y1 - 경음기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음기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68Y1
KR200171868Y1 KR2019990020883U KR19990020883U KR200171868Y1 KR 200171868 Y1 KR200171868 Y1 KR 200171868Y1 KR 2019990020883 U KR2019990020883 U KR 2019990020883U KR 19990020883 U KR19990020883 U KR 19990020883U KR 200171868 Y1 KR200171868 Y1 KR 200171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tone
horns
pai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식
Original Assignee
장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903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7186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태식 filed Critical 장태식
Priority to KR2019990020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버튼으로 여러종류의 음색의 경적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경음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음색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경음기 버튼; 각각 고음과 저음을 송출하는 한 쌍의 경음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경음기 버튼의 입력신호를 기설정된 음색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설정된 음색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색구동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고음과 저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압구동부;로 구성되어 하나의 버튼으로 다색의 경적음을 제어할 수 있어 회로를 집적화할 수 있고, 더욱이 경음기 버튼의 압압 타이밍을 조합할 경우 다양하게 음색 확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경음기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ELECTRONIC CAR HORN}
본 고안은 자동차 등에 이용되어 경적음을 발생하는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다색의 음을 송출하는 경음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음기에는 공기식과 전기식이 있고 전기식을 다시 분류하면 트럼펫 형상에 의해 맴돌이형과 평형으로 나누어진다. 전기식은 전자석에 의해 금속제의 다이어프램을 진동시켜 음원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식 맴돌이형 경음기는 다이어프램과 이것을 진동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식 코일에의 전류 단속을 다이어프램의 진동과 연동해서 하기 때문에 포인트가 설치되어 있다. 포인트에는 병렬로 저항 또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중 포인트 사이에 발생하는 불꽃을 방지하고 있다. 트럼펫은 맴돌이형 부분에서 음이 공명하여 송출된다.
전기식 평형 경음기는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는 전기부분이 맴돌이형과 같지만 프럼펫이 평평하고 또 바이브레이터라는 진동판을 가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진동판은 무빙 플레이트의 진동에 변화를 주어 음에 지향성을 가지게 하여 원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형 경음기는 맴돌이형에 비해 소형, 경량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음기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에 있어서, 종래에는 음색이 1종류로 한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음색의 경적음을 송출할 수 있는 제어회로가 제시된 바 있다.
이 다색음 제어회로는 1개의 경음기를 통해 전기음, 전자음 및 에어음을 송출할 수 있는 경음기 제어회로로 이것에 의하면 각각의 음을 선택하기 위해서 동일한 수의 버튼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하나의 버튼으로 여러종류의 음색의 경적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경음기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음기 제어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음색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경음기 버튼; 각각 고음과 저음을 송출하는 한 쌍의 경음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경음기 버튼의 입력신호를 기설정된 음색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설정된 음색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색구동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고음과 저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음색구동부와 음압구동부는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변조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한 쌍의 경음기와 상기 음색구동부 및 상기 음압구동부 사이에 달링턴회로가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음기 제어시스템을 보인 상세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경음기 버튼 2:마이컴
3:전압안정화회로 4:전원공급부
5:음색구동부 6:음압구동부
7,8:달링턴회로 SP1,SP2:경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경음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세한 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부호 1은 경음기 버튼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음기 버튼(1)은 통상 도시되지 않은 조향휠의 중앙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압압식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는 전원라인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이 경음기 버튼(1)의 압압 타이밍을 조작하여 여러종류의 경적음을 발생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용된다.
부호 2는 마이컴을 도시한 것으로, 이 마이컴(2)은 상기 경음기 버튼(1)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 그 분석된 신호에 해당하는 경적음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등 시스템을 제어하게 되며, 이 신호들은 모두 프로그램화 되어 있다.
상기 경음기 버튼(1)과 마이컴(2) 사이에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 제너다이오드(ZD1) 및 다수의 저항들로 이루어진 전압안정화회로(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전압안정화회로(3)에 의해 상기 경음기 버튼(1)을 통해 인가되는 전압을 마이컴(2)에서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전압으로 다운된다.
부호 4는 상기 마이컴(2)의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로 제너다이오드(ZD1), 콘덴서(C1) 및 저항으로 이루어져 12V나 또는 24V의 배터리 전압을 5.1V로 다운시켜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2)의 출력단에는 경음기 버튼(1)의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고음과 저음의 경적음을 송출하는 한 쌍의 경음기 (SP1) (SP2)를 제어하는 음색구동부(5)와 음압구동부(6)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색구동부(5)는 마이컴(2)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구동하면서 배터리 전원라인과 연결된 한 쌍의 트랜지스터(Q1)(Q2)를 갖고, 저항(R1) 및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시정수회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마이컴(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1)(Q2)가 일정한 듀티비로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컴(2)에서 로우신호가 인가되면 저항(R1)과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시정수회로에 의해 경음기(SP1)(SP2)에 전원이 인가되어 설정된 시정시간동안 콘덴서(C1) 방전에 의해 에코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음압구동부(6)는 음색구동부(5)와 같이 한 쌍의 트랜지스터(Q3)(Q4)로 이루어지며, 이 트랜지스터(Q3)(Q4)에 각각 경음기(SP1)(SP2)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며, 동시에 콜렉터에 상기 음색구동부(5)의 트랜지스터(Q2)가 연결된다.
따라서 마이컴(2)의 제어신호에 의해 음색구동부(5)의 트랜지스터(Q1)(Q2) 및 음압구동부(6)의 트랜지스터(Q3)(Q4)가 일정한 듀티비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되고, 이 결과 배터리 전원과 경음기(SP1)(SP2)가 폐회로를 형성함으로 인해 경적음이 송출되는 것이다.
부호 7과 8은 트랜지스터(Q5-Q8)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달링턴회로로 이 달링턴회로(7)(8)는 상기 음색구동부(5)와 음압구동부(6)에 의해 구동하면서 상기 경음기(SP1)(SP2)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경음기 버튼(1)의 누름상태를 일정한 타이밍을 갖고 누름으로써 입력신호를 구분시키게 되는데, 실시예에 의하면 3종류 이상의 타이밍신호를 갖도록 마이컴(2)에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이 입력신호는 단타와 장타를 조합할 경우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음기 버튼(1)의 압압 타이밍을 1초를 기준으로 하고, 1초 이하의 압압상태를 단타, 1초 이상의 압압상태를 장타로 하는 조합된 입력신호를 마이컴(2)에 프로그램시키고, 동시에 이 입력신호에 따라 음색구동부(5)와 음압구동부 (6)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의 주파수변조신호 즉, 주파수의 듀티비를 프로그램하고, 그 주파수 듀티비를 통해 제어할 경우 가능하다.
따라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입력신호를 경음기 버튼(1)을 통해 입력하면, 배터리 전리원 경음기 버튼(1)을 통해 마이컴(2)에 입력되고, 상기 마이컴(2)은 이 제1입력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경적음 신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된 듀티비 제어신호를 음색구동부(5)와 음압구동부(6)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이컴(5)에서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변조신호인 듀티비신호가 출력되면 음색구동부(5)와 음압구동부(6), 경음기(SP1)(SP2) 및 달링턴회로 (7)(8)가 전기적으로 폐회로와 개회로를 형성하면서 전기적으로 단락되거나 접속되는 상황을 반복하게 되고, 그 결과 폐회로가 형성될 경우 경음기(SP1)(SP2)를 통해 경적음을 송출하게 되고, 이 송출음은 상기 경음기(SP1)(SP2)를 통해 각각 고음과 저음이 합성된 경적음을 송출하게 된다.
반대로 개회로가 형성될 경우 경음기(SP1)(SP2)에 인가되는 전원은 단락되지만 저항(R1)과 콘덴서(C1)로 이루어진 시정수회로에 일정시간 동안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달링턴회로(7)(8)에 바이어스 전류가 인가되어 시정시간동안 에코음을 송출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외에 고음과 저음의 스피커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만을 동작되게 제어함으로써 일반 주택가나 또는 도로주행시 선택적으로 경적음의 음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향휠에 구비된 경음기 버튼을 통해 다양한 음색의 경적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각각의 경적음을 송출하기 위해 각각의 버튼이나 스위치를 필요로 했던 것에 비해 하나의 버튼으로 다색의 경적음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있어 회로를 집적화할 수 있고, 더욱이 경음기 버튼의 압압 타이밍을 조합할 경우 다양하게 음색 확장이 가능하다.

Claims (3)

  1. 미리 설정된 음색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경음기 버튼;
    각각 고음과 저음을 송출하는 한 쌍의 경음기;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경음기 버튼의 입력신호를 기설정된 음색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설정된 음색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색구동부; 및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경음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고음과 저음을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경음기를 제어하는 음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음기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에서 출력되어 상기 음색구동부와 상기 음압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는 일정한 듀티비를 갖는 주파수변조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음기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음기와 상기 음색구동부 및 상기 음압구동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달링턴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음기 제어시스템.
KR2019990020883U 1999-09-29 1999-09-29 경음기 제어시스템 KR200171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83U KR200171868Y1 (ko) 1999-09-29 1999-09-29 경음기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883U KR200171868Y1 (ko) 1999-09-29 1999-09-29 경음기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868Y1 true KR200171868Y1 (ko) 2000-03-15

Family

ID=1959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883U KR200171868Y1 (ko) 1999-09-29 1999-09-29 경음기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6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1868Y1 (ko) 경음기 제어시스템
US4257036A (en) Tone generator
KR200227906Y1 (ko) 경음기 제어장치
US4286257A (en) Tone generator
US6825772B2 (en) Electroluminescent dashboard control circuit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JPH11321459A (ja) 車両の警音装置
KR100391317B1 (ko) 자동차용 화음을 이용한 경음기
KR200363037Y1 (ko) 경음 발생 장치
KR100408710B1 (ko) 차량용 경광시스템
KR200257156Y1 (ko) 차량용 경광시스템
KR20000004185U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19990034645U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0119304Y1 (ko) 음량이 조절되는 경음기 시스템
KR19980040877U (ko) 자동차용 경음기의 음량 조절 시스템
KR19980045275U (ko) 차량의 이중 경음장치
KR012414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구동장치
US2072743A (en) Signal device and system therefor
KR0133873B1 (ko) 자동차의 스피커 위치 제어 dsp 오디오 장치
JP2007022486A (ja) 車両用ホーン装置
KR100428360B1 (ko) 음압 가변 스피커
KR200404165Y1 (ko) 소리 선택형 다중 전자경음기
KR100346555B1 (ko) 자동차용 다변 경적음 발생장치
CN1056656A (zh) 全集成电路车用喇叭
KR0150379B1 (ko) 자동차용 경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211

Effective date: 200111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211

Effective date: 200111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