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645U -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645U
KR19990034645U KR2019980001050U KR19980001050U KR19990034645U KR 19990034645 U KR19990034645 U KR 19990034645U KR 2019980001050 U KR2019980001050 U KR 2019980001050U KR 19980001050 U KR19980001050 U KR 19980001050U KR 19990034645 U KR19990034645 U KR 199900346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transistor
terminal
collector
h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길
Original Assignee
신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길 filed Critical 신영길
Priority to KR2019980001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645U/ko
Publication of KR19990034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45U/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서 경음기의 소리를 세종류의 디지탈음으로 발생될 수 있게 하고 혹한지역, 혹서지역에서의 성능저하없이 작동되게 한 자동차용 3음 디지탈경음기에 관한 것으로,
입력부, 3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된 CPU, 출력부, 여음발생부로 구성하되, 입력부에는 경음기스위치와 모드스위치를 구성하여 경음기스위치는 발광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통해 CPU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모드스위치는 다이오드를 통해 각각 CPU의 10번 단자와 11번 단자에 연결하며 CPU는 15번,16번 단자에는 진동자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출력부는 CPU의 1번 단자에 트랜지스터를 통해 고음스피커와 연결하며 CPU의 2번 단자에 트랜지스터를 통해 저음스피커와 연결하며, 여음부는 트랜지스터와 콘덴서, 저항으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를 CPU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CPU의 7번 단자와 베이스는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를 연결 구성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3음 디지탈경음기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경음기에 있어서 경음기의 소리를 세종류의 디지탈음으로 발생될 수 있게 하고 혹한지역, 혹서지역에서의 성능저하없이 작동되게 한 자동차용 3음 디지탈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경음기는 대부분이 전기접점식 경음기로서 오랜 시간 사용할 때 접점불량으로 인하여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전자식 경음기에 있어서는 콘덴서 저항으로 발진회로를 구성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시는 콘덴서의 방전으로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배에 의해 장기간 이송되는 수출의 특성에 의해 전자식 경음기를 수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도에 따른 소자의 성능변화와 부품의 특성변화를 적절히 보상할 수 없어 장기간 사용할 때나 혹한, 혹서지역에서는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용 경음기는 그 소리가 천편일률적인 고음의 단조로운 경음기 소리로 소음공해를 유발하였던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콘덴서 저항에 의한 발진회로를 크리스탈진동자나 세라믹진동자로 주파수를 발진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나 온도, 기타 환경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주파수의 변이를 극히 적어지게 하고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를 CPU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경음기를 소리나게 하여 다양한 소리의 종류를 구연하게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부 20: CPU 30: 출력부 40: 여음부
S1: 경음기스위치 S2: 모드스위치 D1: 발광다이오드
Tr1: 포토트랜지스터 C1,C2: 콘덴서 D2,D3: 다이오드
R1,R2: 저항 Tr2∼Tr12: 트랜지스터 Sp1,Sp2: 스피커
이하 본 고안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10), 3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된 CPU(20), 출력부(30), 여음발생부(40)로 구성하되,
입력부(10)에는 경음기스위치(S1)와 모드스위치(S2)를 구성하여 경음기스위치(S1)는 발광다이오드(D1), 포토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통해 CPU(20)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모드스위치(S2)는 다이오드(D2)(D3)을 통해 각각 CPU(20)의 10번 단자와 11번 단자에 연결하며
CPU(20)는 15번,16번 단자에는 진동자(21)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출력부(30)는 CPU(20)의 1번 단자에 트랜지스터(Tr2)(Tr3)(Tr4)를 통해 고음스피커(Sp1)와 연결하며 CPU(20)의 2번 단자에 트랜지스터(Tr5)(Tr6)(Tr7)를 통해 저음스피커(Sp2)와 연결하며,
여음부(40)는 트랜지스터(Tr8)(Tr9)(Tr10)(Tr11)와 콘덴서(C1)(C2), 저항(R1)(R2)으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를 CPU(20)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CPU(20)의 7번 단자와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를 연결 구성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경음기를 차량에 설치하고 결선을 하면 작동준비가 완료되는 것이다. 차량의 운행 중에나 운행전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모드스위치(S2)를 원하는 모드위치에 넣고 경음기스위치(S1)를 작동시키면 경음기가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먼저 CPU(20)는 10번,11번 단자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출력단자인 1,2번 단자로부터 출력준비를 하는 것으로 1번 단자로는 419Hz의 주파수로, 2번 단자로는 345Hz의 주파수로 출력준비를 하는 것이다. 이 주파수는 CPU(20)의 15번,16번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진동자를 통하여 8MHz의 주파수를 받아 이를 분주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진동자를 저가의 세라믹진동자를 사용하고 있으나 크리스탈진동자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세라믹진동자 또는 크리스탈진동자를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콘덴서, 저항으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할 때 생기는 문제점인 온도편차에 따른 음색의 변화를 없게 하기 위한 것이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발생되는 콘덴서의 방전으로 인한 경음기의 미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세라믹진동자 또는 크리스탈진동자는 온도편차에 따른 음색의 변화가 없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이다.
한편 CPU(20)는 3종류의 소리를 발생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된 것으로, 10번 단자에 LOW, 11번 단자에 HIGH 신호를 받으면 출력단자인 1번 단자에서는 419Hz의 주파수를 2번 단자에서 345Hz의 주파수를 교번적으로 출력하고, 10번 단자에 HIGH, 11번 단자에 HIGH 신호를 받으면 출력단자인 1번 단자에서 419Hz의 주파수를 2번 단자에서 345Hz의 주파수를 동시에 출력하며 10번 단자에 HIGH, 11번 단자에 LOW 신호를 받으면 1번 단자에서만 419Hz의 주파수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10번 단자에 LOW, 11번 단자에 HIGH 또는 10번,11번 단자에 HIGH의 신호가 입력될 때는 8번 단자의 신호가 입력되었다 중단되어도 콘덴서(C1)의 방전 시간만큼 7번 단자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다 1번,2번 출력단자로 주파수를 계속 출력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며 10번 단자에 HIGH, 11번 단자에 LOW 신호가 입력될 때는 8번 단자의 입력이 중단되면 1번,2번 출력단자의 출력을 중단하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먼저 모드스위치(S2)를 1번에 놓게되면 CPU(20)의 10번 단자에 LOW의 신호가 11번 단자에는 HIGH의 신호가 인가되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CPU(20)는 1번 단자에서 419Hz, 2번 단자에서 345Hz의 주파수를 교번적으로 출력할 준비를 하고 있다가 경음기스위치(S1)를 ON 시키면 발광다이오드(D1)가 발광하게 되어 포토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어 CPU(20)의 8번 단자에 LOW 신호가 입력되고 트랜지스터(Tr8)(Tr9)(Tr10)(Tr11)가 턴온되어 콘덴서(C1)(C2)를 충전시킴과 동시 CPU(20)의 1번,2번 단자에서 교번적으로 419Hz와 345Hz의 주파수를 출력하게 되고 이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Tr2)(Tr5)가 턴온되어 트랜지스터(Tr2)(Tr5)의 콜렉터쪽 회로에 흐르는 전원을 콘트롤하여 트랜지스터(Tr3)(Tr4)(Tr6)(Tr7) 스위칭작용에 의해 고저스피커(Sp1)(Sp2)가 교번적으로 소리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경음기스위치(S1)를 OFF 시킬 때까지 소리를 발생하다 경음기스위치(S1)가 OFF되면 CPU(20)의 8번 단자에 HIGH 신호가 입력되어 1번,2번 단자의 출력이 멈추게 되는 것이나 경음기스위치(S1)가 OFF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Tr8)(Tr9)(Tr10)(Tr11)가 턴오프되어 콘덴서(C1)(C2)가 방전하게 되고 콘덴서(C1)에 방전되는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Tr12)를 콘트롤하여 CPU(20) 7번 단자로의 신호 입력으로 CPU(20)의 1번,2번 단자로 콘덴서(C1)의 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출력하므로 콘덴서(C1)(C2)의 방전이 완료시까지 고저음 스피커(Sp1)(Sp2)는 여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덴서(C1)(C2)의 방전이 완료되면 CPU(20)는 초기상태로 돌아가 다음 신호를 기다리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드스위치(S2)를 2번에 놓게되면 CPU(20)의 10번,11번 단자에 HIGH 신호가 인가되고 앞에서 설명한 모드스위치(S2)를 1번을 선택했을 때와 같이 작동되어 이의 CPU(20)에 설정된 것과 같이 고저음 스피커(Sp1)(Sp2)가 동시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모드스위치(S2)를 3번에 놓고 경음기스위치(S1)를 작동하게 되면 이미 프로그래밍된 CPU(20)의 설정에 따라 1번 단자로만 419Hz의 주파수를 출력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스피커(Sp1)가 소리를 발생시키고 경음기스위치(S1)가 OFF되어 CPU(20)의 8번 단자에 HIGH 신호가 입력되어도 이미 설정되어 있는 대로 1번 단자로의 출력이 정지되므로 콘덴서(C1)에서 전류가 방전되더라도 스피커(Sp1)에서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발진주파수를 기존의 콘덴서와 저항에 의한 발진이 아니라 세라믹진동자나 크리스탈진동자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발진하므로 온도편차에 의한 음색의 변화가 없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더라고 콘덴서의 방전으로 인한 주파수변환의 우려가 전연 없으며 또한 소리의 종류를 세가지로 하여 운전자나 행인들의 짜증을 해소할 수 있고 소음공해를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부(10), 3개음이 발생되게 프로그래밍된 CPU(20), 출력부(30), 여음발생부(40)로 구성하되,
    입력부(10)에는 경음기스위치(S1)와 모드스위치(S2)를 구성하여 경음기스위치(S1)는 발광다이오드(D1), 포토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를 통해 CPU(20)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모드스위치(S2)는 다이오드(D2)(D3)를 통해 각각 CPU(20)의 10번 단자와 11번 단자에 연결하며
    CPU(20)는 15번,16번 단자에는 진동자(21)를 구성하여 자체에서 주파수가 발진되게 하고,
    출력부(30)는 CPU(20)의 1번 단자에 트랜지스터(Tr2)(Tr3)(Tr4)를 통해 고음스피커(Sp1)와 연결하며 CPU(20)의 2번 단자에 트랜지스터(Tr5)(Tr6)(Tr7)를 통해 저음스피커(Sp2)와 연결하며,
    여음부(40)는 트랜지스터(Tr8)(Tr9)(Tr10)(Tr11)와 콘덴서(C1)(C2) 저항(R1)(R2)으로 구성하여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를 CPU(20)의 8번 단자와 연결하고 트랜지스터(Tr12)의 콜렉터는 CPU(20)의 7번 단자와 베이스는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와 연결하며 트랜지스터(Tr1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5)의 콜렉터를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3음 디지탈경음기.
KR2019980001050U 1998-01-23 1998-01-23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199900346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050U KR19990034645U (ko) 1998-01-23 1998-01-23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050U KR19990034645U (ko) 1998-01-23 1998-01-23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0025797U Division KR200179901Y1 (ko) 1999-11-23 1999-11-23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45U true KR19990034645U (ko) 1999-08-25

Family

ID=69711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050U KR19990034645U (ko) 1998-01-23 1998-01-23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6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9901Y1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JP3654596B2 (ja) 超音波変換器の減衰用回路装置
KR19990034645U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20000004185U (ko) 자동차용 3음 디지탈 경음기
KR840008103A (ko) 명종 신호 수신회로 및 명종장치
KR200169506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JPH04285999A (ja) 圧電ブザーの駆動回路
KR200159127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950001721Y1 (ko) 무극성 접점스위치를 갖는 자동차의 전자 경적음 발생장치
CN219697336U (zh) 一种电池插入的提示装置和电子设备
KR0124140B1 (ko) 자동차의 경음기 구동장치
KR200227906Y1 (ko) 경음기 제어장치
KR200179903Y1 (ko) 스위치 극성에 관계없이 작동하는 2음 디지탈 경음기
KR950001105Y1 (ko) 차량용 방향 지시장치
JPS6324554Y2 (ko)
KR920007210Y1 (ko) 자동차의 비선형 파생 경적음 발생장치
KR200211354Y1 (ko) 경적음 순차변환 전자혼
KR200164227Y1 (ko) 조명 마이크
CN86201730U (zh) 一种多声级有和声乐感的电子喇叭
KR200159125Y1 (ko) 무극성 방식의 경적음 발생회로
KR200298862Y1 (ko) 자동차용 다변 경적음 발생장치
JPH0731279Y2 (ja) 電子音発生回路
JPH01172033A (ja) 後進シフト位置音響表示装置
SU817745A1 (ru) Синтезатор музыкальной фразы
KR930003118B1 (ko) 다기능 전자 클랙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