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525Y1 -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525Y1
KR200171525Y1 KR2019990018806U KR19990018806U KR200171525Y1 KR 200171525 Y1 KR200171525 Y1 KR 200171525Y1 KR 2019990018806 U KR2019990018806 U KR 2019990018806U KR 19990018806 U KR19990018806 U KR 19990018806U KR 200171525 Y1 KR200171525 Y1 KR 200171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asing
accumulator
hermetic compressor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8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1Reduction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냉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냉매수용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유입배관과; 일단이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매유입배관과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유입배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매수용공간내의 냉매가 상기 밀폐형 압축기로 유출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에 가로로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출공이 형성된 냉매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FOR HERME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101)는 냉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3)과, 냉매수용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케이싱(103)에 각각 결합되는 냉매유입관(105) 및 냉매유출관(107)과, 케이싱(103)내에 수용되어 냉매유출관(107)으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스크린조립체(109)를 가지며, 통상 냉매유입관(105)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거의 기립상태로 설치된다.
케이싱(103)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중앙케이싱(104a)과, 중앙케이싱(104a)의 양단을 각각 차단하도록 밀봉결합되는 반구체 또는 원추체형상을 가지는 유입측케이싱(104b) 및 유출측케이싱(104c)을 가진다. 유입측케이싱(104b) 및 유출측케이싱(104c)에는 냉매유입관(105) 및 냉매유출관(107)이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냉매유출관(107)은 단부가 유입측케이싱(104b)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원판상의 지지브래킷(1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지지브래킷(117)에는 냉매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냉매통과공(118)이 형성되어 있다.
냉매유출관(107)과 냉매유입관(105)사이영역에는 냉매유입관(105)을 통해 냉매수용공간내로 유입되어 저부영역으로 낙하하는 액상의 냉매가 냉매유출관(107)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조립체(109)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조립체(109)는 반구체형상을 가지는 망상부재로 된 스크린(111)과, 케이싱(103)의 내부에 고정결합되어 스크린(111)을 지지하는 스크린홀더(113)를 가진다.
스크린홀더(113)는 거의 원반형상을 가지며, 중앙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축소되어 반구체형상을 가지는 돌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4)는 냉매유출관(107)의 상측에 배치되어 냉매유입관(105)으로부터 낙하하는 액상의 냉매가 냉매유출관(107)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돌출부(114)의 둘레영역에는 냉매가 통과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냉매통과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매유입관(105)을 통해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냉매는 통상 기액혼합상태이며, 상호 간의 비중차이에 기인하여 액상의 냉매는 냉매유입관(105)으로부터 냉매수용공간의 저부영역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낙하하는 액상의 냉매는 스크린(111) 및 스크린홀더(113)에 의해 냉매유출관(107)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냉매통과공(116)을 통해 케이싱(103)의 저부영역으로 낙하하게 된다. 기체상태의 냉매는 냉매유출관(107)을 통해 압축기의 흡입측으로 흡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있어서는, 기립배치되는 케이싱(103)의 상부영역에 배치된 냉매유입관(105)으로부터 케이싱(103)내 저부영역으로 낙하하는 액상의 냉매가 냉매유출관(107)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크린조립체(109)를 마련하고 있어, 조립공수의 증가는 물론이고 그에 따른 불량발생률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어큐뮬레이터영역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유출관영역의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축기 9 : 실린더
13 : 냉매흡입구 17 : 회전자
18 : 회전자샤프트 31 : 어큐뮬레이터
33 : 케이싱 35 : 냉매유입관
37 : 냉매유출관 38 : 냉매유출공
41 : 차단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냉매수용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유입배관과; 일단이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매유입배관과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유입배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매수용공간내의 냉매가 상기 밀폐형 압축기로 유출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에 가로로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출공이 형성된 냉매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유출배관의 단부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어큐뮬레이터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1)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3)과, 케이싱(3)의 내부에 수용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7)와, 압축부(7)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15)를 가진다.
전동모터부(15)는 케이싱(3)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자(16)와, 고정자(16)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자(17)를 가지며, 회전자(17)의 축심에는 회전자샤프트(18)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압축부(7)는 냉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9)와, 실린더(9)의 냉매 압축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린더(9)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며 회전자샤프트(18)를 회전지지하는 상부베어링부재(10) 및 하부베어링부재(11)와, 회전자샤프트(18)의 하부영역에 편심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압축공간내에 수용되는 롤러(12)를 가진다. 실린더(9)의 일측에는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냉매흡입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베어링부재(10)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냉매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의 상부영역에는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냉매토출관(5)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영역에는 실린더(9)의 압축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어큐뮬레이터(31)가 결합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31)는 냉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33)과, 케이싱(33)내 수용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냉매유입관(35)과, 냉매수용공간내의 냉매가 압축기(1)의 압축공간내로 유출될 수 있도록 냉매수용공간과 압축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냉매유출관(37)을 가진다.
케이싱(33)은 원통형상을 가지는 중앙케이싱(34a)과, 중앙케이싱(34a)의 양단을 각각 차단하도록 밀봉결합되는 반구체형상의 유입측케이싱(34b) 및 유출측케이싱(34c)을 가진다. 유입측케이싱(34b) 및 유출측케이싱(34c)에는 냉매유입관(35) 및 냉매유출관(37)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한편, 냉매유출관(37)은 유출측케이싱(34c)으로부터 축선방향을 따라 유입측케이싱(34b)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냉매유출관(37)의 단부영역에는 원반형상을 가지고 케이싱(33)의 내부에 고정되어 냉매유출관(37)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39)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브래킷(39)에는 냉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냉매통과공(40)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냉매유출관(37)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41)가 결합되어 있으며, 냉매유출관(37)의 단부영역에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유출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에 가로로 관통된 다수의 냉매유출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회전자(17) 및 회전자샤프트(18)가 회전구동되면 회전자샤프트(18)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롤러(12)는 실린더(9)의 내경면과 접촉되면서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어큐뮬레이터(31) 내부의 기체상태의 냉매는 냉매유출관(37)에 형성된 냉매유출공(38)을 통해 냉매유출관(37)으로 유입되어 압축공간으로 흡입된다. 압축공간으로 흡입된 냉매는 롤러(12)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고, 압축된 냉매는 냉매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된 후 압축기 케이싱(3)의 상부영역에 결합된 냉매토출관(5)을 통해 유출된다.
한편, 어큐뮬레이터(31)의 냉매수용공간내로 냉매유입관(35)을 통해 기액혼합상태의 냉매가 유입되면, 상호 간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기체상태의 냉매는 냉매수용공간내 상부영역에 위치하고 액상의 냉매는 케이싱(33)내 저부영역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냉매유출관(37)의 단부에 결합된 차단부재(41)는, 액상의 냉매가 냉매유출관(37)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유출관영역의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유출관(47)의 단부에는 암나사부(49)가 형성되어 있으며, 암나사부(49)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냉매의 유출을 위한 복수의 냉매유출공(4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냉매유출관(47)의 암나사부(49)에는 수나사부(53)와 머리부(52)를 갖는 차단부재(51)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차단부재(51)의 머리부(52)는 중앙영역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41)와 냉매유출관(47)사이에는 기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오링(O Ring) 등을 개재시킬 수 있으며, 차단부재(41)의 머리부(52)는 냉매유출관(47)의 외경에 비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냉매유출관의 단부에 차단부재를 결합함으로써, 냉매유입관으로부터 낙하하는 액상의 냉매가 냉매유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냉매유출관의 단부를 하향하도록 절곡시키거나 냉매유출관의 제조시부터 입구를 형성하지 않고 축선방향에 가로로 냉매유출공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냉매유출관의 단부를 차단부재로 차단하고, 축선방향에 가로로 다수의 냉매유입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스크린 및 스크린홀더로 된 스크린조립체를 제거할 수 있어,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된다.

Claims (2)

  1. 냉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냉매수용공간과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의 냉매가 상기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유입배관과; 일단이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냉매유입배관과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유입배관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냉매수용공간내의 냉매가 상기 밀폐형 압축기로 유출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에 가로로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출공이 형성된 냉매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출배관의 단부를 차단하도록 결합되는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19990018806U 1999-09-06 1999-09-06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171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06U KR200171525Y1 (ko) 1999-09-06 1999-09-06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806U KR200171525Y1 (ko) 1999-09-06 1999-09-06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525Y1 true KR200171525Y1 (ko) 2000-03-15

Family

ID=195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806U KR200171525Y1 (ko) 1999-09-06 1999-09-06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8708B2 (ja) 入口圧力の降下を減じたスクロール装置
US7377759B2 (en) Scroll fluid machine with a self-rotation-preventing device having ears for an orbiting scroll
US5346375A (en) Delivery valve for a scroll compressor
KR20010015009A (ko) 스크롤 압축기 배출머플러
JP3433381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装置のチップシール支持構造
JP4991136B2 (ja) 圧縮機
JP511209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832040B2 (ja) 圧縮機
EP3670918A1 (en) Rotary mechanism
KR20017152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JP2009114943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9228441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S593182A (ja) 密閉形電動圧縮機
JPH0626484A (ja) 高圧ドーム形電動圧縮機
JPH051683A (ja) 高圧ドーム形圧縮機
JP4690516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922843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7211810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347496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221263B1 (ko) 스크롤 압축기
JPS62199984A (ja) スクロ−ル型圧縮装置
JPH03206388A (ja) 横置形スクロール圧縮機
WO2020080020A1 (ja) 圧縮機
KR100186468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구조
JPH08319971A (ja) 密閉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