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490Y1 -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490Y1
KR200171490Y1 KR2019970004385U KR19970004385U KR200171490Y1 KR 200171490 Y1 KR200171490 Y1 KR 200171490Y1 KR 2019970004385 U KR2019970004385 U KR 2019970004385U KR 19970004385 U KR19970004385 U KR 19970004385U KR 200171490 Y1 KR200171490 Y1 KR 200171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terminal
terminal cable
connecting member
low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346U (ko
Inventor
김봉주
Original Assignee
김봉주
평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주, 평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봉주
Priority to KR2019970004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4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3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부 선로구간을 정전상태로 유지할 경우에도 해당 정전구간의 수용가측으로는 건전구간으로부터 우회선로를 인출하여 소정의 변압기 및 이와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통해 무정전 상태의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무정전 배전공사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를 통해 극도로 감압된 전력을 송출하는 2차측 단자와 이에 접속되어 저압의 전력을 수용가측에 공급하도록 된 단말케이블접속재 상호간을 끼움결합이라는 단순방식에 의해 손쉽게 접속 및 분리가능토록 하여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고, 변압기 2차측 단자내로 소정의 완충부를 마련하여 접속되는 단말케이블접속재와의 충격에 의한 변형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각 구성부품의 수명연장효과를 구현하며, 접속된 변압기 2차측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 상호간은 소정의 로크장치에 의해 서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포설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본 고안은 전기선로에 대한 유지보수의 작업을 수행하는 배전공사시 수용가측에는 계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공사구간은 정전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정전으로 인한 수용가의 불편을 해소하고 공사 중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된 무정전 배선공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 배선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구성부품인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를 통해 저압으로 출력되는 전원을 수용가측에 전달하는 단말케이블간의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고, 접속시 실제 접촉되는 구성요소간의 변형발생을 감소시켜 수명연장효과를 구현하며, 접속된 각 구성부품 상호간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현대산업의 에너지원으로서 전기(電氣)는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는 발전과 송,배전을 통해 전선을 매개로 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되어지는 바, 상기의 전기가 공급되는 배전선로에 대해서는 안전한 송,배전을 위한 유지 및 보수공사가 필요하게 되고 고장수리 및 시설증대 등의 작업소요도 수시로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전선로에 대한 각종 공사의 수행에 있어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전기를 완전히 차단한 정전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공사의 수행을 위해 정전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수용가측의 모든 전기장치 작동이 정지되어 막대한 산업상의 손실을 끼침과 더불어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전기배선공사의 공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고자 최근에 들어서는 배전선로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경우 해당 작업구간을 건전구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정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필요한 공사를 수행하고, 상기 작업에 의한 정전구간의 전기수용가측에는 건전구간으로부터 분기가설한 케이블을 연결시켜 이를 통해 임시적으로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일명 가송전공법(바이패스공법)이 상용화되고 있는 바, 이러한 가송전공법에 대해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건전구간으로부터 우회송전로인 바이패스선로를 형성하는 케이블을 가설(假設)하고, 이 케이블은 소정형태를 갖는 변압기 차(TC)에 장착된 변압기(T)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변압기(T)의 1차 및 2차측을 거치며 저압으로 감압된 전력을 2차측 단자와 접속되는 단말케이블을 통해 수용가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송전공법을 채택할 경우에는,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해당 선로구간을 정전상태로 유지하더라도 상기 정전구간의 각 수용가측에는 건전구간으로부터 변압기 및 케이블을 거쳐 우회송전되는 전력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공사구간의 선로연결지역 및 수용가에게 무정전 상태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가송전공법 중 변압기와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변압기에는 단자가, 케이블에는 접속부재가 각각 마련되며, 이들간의 접속에 의해 변압기와 케이블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변압기의 단자와 케이블 접속부재의 특성으로서는 접속작업시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야 하고, 기계적인 접속상태의 정확한 유지와 함께 전기적으로도 완전하여야 하며, 케이블의 포설장력이 걸린 상태에서도 손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감안할 때 종래에는, 극도로 감압된 전압의 전력을 송출하는 변압기 2차측 단자와 수용가를 연결하는 단말케이블접속재를 상호 접속시킴에 있어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접속을 위한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간의 결합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폐단이 노출되었다.
또한, 작업현장에서의 이물질 및 충격 등에 의해 각 구성부품의 나사부가 오손 또는 훼손되거나 잦은 사용에 의한 마찰로써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접속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그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부품자체를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작업현장에서의 진동이나 케이블의 포설장력에 의해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를 접속시키고 있는 나사부가 손쉽게 해정되어 변압기와 케이블 상호간이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그 사용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변압기의 2차측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간의 상호 접속방식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 특히 배전선로의 유지보수를 위해 일부 선로구간을 정전상태로 유지할 경우에도 해당 정전구간의 수용가측으로는 건전구간으로부터 우회선로를 인출하여 소정의 변압기 및 이와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통해 무정전 상태의 전력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무정전 배전공사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를 통해 극도로 감압된 전력을 송출하는 2차측 단자와 이에 접속되어 저압의 전력을 수용가측에 공급하도록 된 단말케이블접속재 상호간을 끼움결합이라는 단순방식에 의해 손쉽게 접속 및 분리가능토록 하여 접속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고, 변압기 2차측 단자내로 소정의 완충부를 마련하여 접속되는 단말케이블접속재와의 충격에 의한 변형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각 구성부품의 수명연장효과를 구현하며, 접속된 변압기 2차측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 상호간은 소정의 로크장치에 의해 서로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의 포설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무정전 배전공사의 시공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을 이루는 일 구성요소인 변압기 2차측 단자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인 단말케이블접속재의 구성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접속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변압기 2차측 단자12:소켓콘넥터
13:완충부14:접점부재
15:로크부20:단말케이블접속재
23:플러그콘넥터25:절연접촉부재
26:로크핀C:케이블
T:변압기TC:변압기 차
상기한 제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절연하우징(11)내에 도전체의 소켓콘넥터(12)가 매입형성된 상태로 이루어져 변압기 차(TC)의 변압기(T) 2차 출력측에 고정설치되는 변압기 2측 단자(10)와; 절연하우징(21)(22)내에 도전체의 플러그콘넥터(23)가 매입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콘넥터(23)의 일단에는 케이블(C)이 접촉연결되어 있는 단말케이블접속재(20)가; 상호 접속되어 배전공사시 무정전상태로 수용가에 저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가설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를 이루는 소켓콘넥터(12)의 내부로는 완충부(13)와 접점부재(14), 그리고 로크부(15)를 각각 소정위치에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완충부(13)는, 소켓콘넥터(12)의 내부 일측으로 완충스프링(131)을 내장설치하고, 상기 완충스프링(131)의 일단에는 이와 접촉되도록 외주연 일 부위가 확장된 형태를 갖는 이송핀(132)을 개재시키되, 상기 이송핀(132)은 소켓콘넥터(12)내에 나사결합으로써 고정설치되는 위치고정나사(1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압에 의해 전,후진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로크부(15)는, 소켓콘넥터(12)의 일 끝단으로 동일 중심선상의 절개홈(151)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51)의 형성위치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이와 어긋나도록 괘지공(152)을 관통형성하여 이룬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플러그콘넥터(23) 타단에는 소정의 스프링핀(24)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접촉부재(25)를 설치하고, 일 부위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로크핀(26)을 삽입설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간의 접속시 플러그콘넥터(23)의 절연접촉부재(25)는 소켓콘넥터(12)의 완충부(13)를 가압하며 이와 접촉되어 있도록 하고, 로크핀(26)은 로크부(15)에 걸려져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 상호간을 서로 구속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접점부재(14)와 플러그콘넥터(23)는 상호 접촉되어 있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로써 16과 27은 각각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미접속시 소켓콘넥터(12) 및 플러그콘넥터(23)를 보호하도록 된 마감부재를, 17은 패킹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배전선로에 작업소요가 발생될 경우 해당 공사구간을 정전상태로 하고, 정전구간의 수용가측에는 건전구간으로부터 우회선로를 인출하여 이를 통해 무정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시키는 가송전공법에 적용되는 것으로, 다른 구성부품들의 설치관계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소켓콘넥터(12)는 변압기(T)의 2차측 송출부상에 고정설치되고,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플러그콘넥터(23)에는 수용가측과 연결되는 케이블(C)이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변압기(T)를 통해 감압된 저압의 전력을 수용가측에 무정전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접속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플러그콘넥터(23) 일측에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로프킨(26)을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소켓콘넥터(12) 끝단에 형성된 절개홈(151) 형성위치와 상호 일치시킨 후 단말케이블접속재(20)를 밀어주면, 로크핀(26)은 절개홈(151)을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플러그콘넥(23)가 소켓콘넥터(12)의 내부로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과정에서 플러그콘넥터(23)의 끝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절연접촉부재(25)는 완충부(13)를 이루는 이송핀(132)을 밀어주게 되고, 이러한 밀림동작에 의해 위치고정나사(133) 내에서 후진동작되어 완충스프링(131)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완충스프링(131)의 압축에 의해 플러그콘넥터(23)의 삽입시 발생되는 마찰충격은 흡수되어져 소켓콘넥터(12) 및 플러그콘넥터(23)의 각 접촉부위에 대한 변형 발생빈도를 감소시킴으로써, 그들 구성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콘넥터(12)의 내부에 플러그콘넥터(23)가 삽입된 후 단말케이블접속재(20)를 일방향 회동시켜 주면, 플러그콘넥터(23)와 이애 결합성치되어 있는 로크핀(26)은 동시에 회동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로크핀(26)은 소켓콘넥터(12)의 일측에 관통형성된 괘지공(152)내에 삽입되며 이에 걸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괘지공(152)내로 로크핀(26)이 걸려지면 소켓콘넥터(12)와 플러그콘넥터(23)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 연결되는 동시에 도전체인 플러그콘넥터(23)의 외주연 일 부위는 소켓콘넥터(12)의 내부 일측으로 설치된 접점부재(14)와 접촉되어 진다.
이러한 소켓콘넥터(12)와 플러그콘넥터(23)간의 결합에 의해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가 상호 접속된 후에는, 변압기(T)의 2차측을 거치며 감압된 저압의 전력이 도전체인 소켓콘넥터(12)와 이의 내부에 결합된 접점부재(14) 및, 상기 접점부재(14)와 접촉되어 있는 도전체의 플러그콘넥터(23)를 거쳐 케이블(C)을 통해 각 수용가측에 공급되어져 배전공사로 인한 정전구간의 수용가측으로 무정전 상태의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전공사가 완료되어 고장구간이 건전구간으로 수리된 후에는 단말케이블접속재(20)를 일방향 회동시켜 플러그콘넥터(23)의 로크핀(26)이 소켓콘넥터(12)의 괘지공(152)으로부터 해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술한 바의 역동작을 수행하여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접속상태를 간편히 해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변압기 2차측 단자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단말케이블접속재 상호간의 접속 및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접속작업의 간편성을 제공하고, 접속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변형발생을 감소시켜 각 구성부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접속된 변압기 2차측 단자와 단말케이블접속재는 소정의 로크장치에 의해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케이블의 포설장력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도 손쉽게 분리되지 않아 사용상의 안정성을 실현하는 등 여러 장점을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절연하우징(11)내에 도전체의 소켓콘넥터(12)가 매입형성된 상태로 이루어져 변압기 차(TC)의 변압기(T) 2차 출력측에 고정설치되는 변압기 2측 단자(10)와; 절연하우징(21)(22)내에 도전체의 플러그콘넥터(23)가 매입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콘넥터(23)의 일단에는 케이블(C)이 접촉연결되어 있는 단말케이블접속재(20)가; 상호 접속되어 배전공사시 무정전상태로 수용가에 저압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가설케이블을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를 이루는 소켓콘넥터(12)의 내부로는 완충부(13)와 접점부재(14), 그리고 로크부(15)를 각각 소정위치에 형성시킨 상태에서,
    단말케이블접속재(20)의 플러그콘넥터(23) 타단에는 소정의 스프링핀(24)에 의해 고정되는 절연접촉부재(25)를 설치하고, 일 부위에 일정높이로 돌출되도록 로크핀(26)을 삽입설치하여,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간의 접속시 플러그콘넥터(23)의 절연접촉부재(25)는 소켓콘넥터(12)의 완충부(13)를 가압하며 이와 접촉되어 있도록 하고, 로크핀(26)은 로크부(15)에 걸려져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 상호간을 서로 구속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접점부재(14)와 플러그콘넥터(23)는 상호 접촉되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완충부(13)는, 소켓콘넥터(12)의 내부 일측으로 완충스프링(131)을 내장설치하고, 상기 완충스프링(131)의 일단에는 이와 접촉되도록 외주연 일 부위가 확장된 형태를 갖는 이송핀(132)을 개재시키되, 상기 이송핀(132)은 소켓콘넥터(12)내에 나사결합으로써 고정설치되는 위치고정나사(133)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압에 의해 전,후진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10)의 로크부(15)는, 소켓콘넥터(12)의 일 끝단으로 동일 중심선상의 절개홈(151)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절개홈(151)의 형성위치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로 이와 어긋나도록 괘지공(152)을 관통형성하여 이루어서, 플러그콘넥터(23)의 로크핀(26)이 상기 소켓콘넥터(12)의 절개홈(151)을 통과하여 삽입된 후 괘지공(152)내에 걸려지는 것으로, 변압기 2차측 단자(10)와 단말케이블접속재(20) 상호간의 접속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KR2019970004385U 1997-03-10 1997-03-10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KR200171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85U KR200171490Y1 (ko) 1997-03-10 1997-03-10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85U KR200171490Y1 (ko) 1997-03-10 1997-03-10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46U KR19980060346U (ko) 1998-11-05
KR200171490Y1 true KR200171490Y1 (ko) 2000-03-02

Family

ID=194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85U KR200171490Y1 (ko) 1997-03-10 1997-03-10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4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59B1 (ko) 2008-01-15 2008-07-11 (주)삼덕기술단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배전커넥터
KR100927816B1 (ko) 2009-05-11 2009-11-23 양경호 전력기기간 접속부 접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99B1 (ko) * 2004-06-22 2009-01-07 주식회사 오.엘.티 전력용 버스 바의 체결 장치
KR100854509B1 (ko) * 2006-07-19 2008-08-27 주식회사 평일 지상 변압기의 저압 케이블 분리용 클립형 접속장치
KR100819510B1 (ko) * 2007-01-03 2008-04-15 강명순 부분방전 발생방지 및 크랙발생을 방지하는 초고압변압기용 더블 소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959B1 (ko) 2008-01-15 2008-07-11 (주)삼덕기술단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배전커넥터
KR100927816B1 (ko) 2009-05-11 2009-11-23 양경호 전력기기간 접속부 접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346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68B1 (ko) 고전압용의 스크류 조립식 접속시스템
RU2603424C1 (ru) Кабель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200171490Y1 (ko) 무정전 배전공사용 변압기와 단말케이블의 저압접속구조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US5814912A (en) Electrical lead bushing for a turbine generator
CN214204610U (zh) 小型化旁路快接柜
CA2093865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protection
KR101753581B1 (ko) 변전설비용 전력계통 제어회로의 단자대
KR0129597Y1 (ko)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US3039072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N112086763B (zh) 一种接头组件
KR102523802B1 (ko) 밀폐형 접속부를 구비한 수변전 설비
KR100844037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교체방법
CN218828144U (zh) 一种用于0.4kvjp柜的应急电源快速接入装置
KR102640069B1 (ko) 지상개폐기용 스터드 볼트 구조체
KR101163741B1 (ko) 부스바 체결장치
CN215579307U (zh) 配电箱与发电机快速连接装置
KR930011774B1 (ko)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KR20190098456A (ko) 선박 배전 시스템
JP6638403B2 (ja) 仮接続装置及び仮接続方法
KR102375023B1 (ko)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KR200251091Y1 (ko)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와 저압케이블의 접속을 위한접속슬리브
KR101788003B1 (ko) 비상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