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97Y1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Google Patents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9597Y1 KR0129597Y1 KR2019950027329U KR19950027329U KR0129597Y1 KR 0129597 Y1 KR0129597 Y1 KR 0129597Y1 KR 2019950027329 U KR2019950027329 U KR 2019950027329U KR 19950027329 U KR19950027329 U KR 19950027329U KR 0129597 Y1 KR0129597 Y1 KR 01295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nch
- cable
- conductor
- distribution line
- cover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양한 분기 접속과, 무정전 공사에 유용한 배전선로용 π형 분기 접속재에 관한 것인바, 현장 작업성이 극히 우수하며 기계적으로 견고하여 포설장력에도 이탈의 우려가 없으며 사용이 간편한 동시에 다양한 외부기기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분기구가 마련되고 상시 설치되어 매 필요시 마다 커넥터를 착탈하는 것에 의하여 새로운 전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어 무정전 공사시에도 유용한 배전선로용 π분기 접속재를 제공하고자 도체와 이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체로 몰드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접속재에 있어서, 도전재로써 이루어지고 그 단부에 각각 소켓터미널(11)을 결합하여 된 π형도체(12)와, 이 도체를 피복하는 반도전층(13), 절연층(14), 쉴드층(15)을 차례로 몰드성형하되 상기 각각의 단부를 테이퍼면(16)으로 형성하며 π분기부(10)를 이루고, 상기 π분기부의 테이퍼면(16)에 일치결합되는 요입부(21)와 중심통공(22)이 마련된 절연층(23)과 쉴드층(24)으로 몰드성형된 하우징(25)과, 이 하우징의 중심통공(22)으로 케이블(C)의 단부를 압입하는 상태로 수장되는 아답타(26)를 결합하되, 상기 케이블 단부에는 핀 터미널(27)을 압축결합하여 직선접속부(20)를 이루며, 상기 π분기부(10)를 감싸는 2분할된 π형 커버부재(30)와 상기 직선접속부(20)를 감싸는 2분할된 커버부재(40)를 이루어 상기 커버부재(30),(40)간에 홈부와 돌부(32,41)(31,42)가 상호 합치되도록 결합하여 그 외곽을 다수의 볼트와 넛트로써 나합고정하여 배전선로용 π분기 접속재(1)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을 도시한 구성도로써의 발췌 분해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여러시공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π분기 접속재 10 : π분기부
11 : 소켓터미널 12 : π형도체
13 : 반도전층 14,24 : 절연층
15,24 : 쉴드층 16 : 테이퍼면
20 : 직선접속부 21 : 요입부
22 : 중심통공 25 : 하우징
26 : 아답타 27 : 핀터미널
30,40 : 커버부재 31,41 : 돌부
32,42 : 홈부
본 고안은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접속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양한 분기 접속과, 무정전 공사에 유용한 배전선료용 π형 분기 접속재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문명의 에너지원으로써 전기(電氣)는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는 발전과 송, 배전을 통하여 전선을 매개로 각 수용가로 공급되는바, 상기 전로는 안전한 송, 배전을 위하여 항시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고장수리 및 시설증대등의 작업소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로의 모든 작업에 있어서, 안전성을 고려하면 전기를 차단하고 정전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통례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현대산업에 있어 전기동력을 배제하고는 생각할 수도 없다.
한시적으로 정전이 되는 경우에도 각 산업에 있어서 그 손실은 막대하며 불편함을 느끼는 것 또한 매우 큰 현실이다.
또한, 각 가정에 있어서도 정전은 매우 불만족스러운 실정인 것인바, 따라서 전로에 모든 작업을 행하는 공법 역시 단순히 정전후 작업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활선작업을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 있다. 이는 고도의 절연자재와 숙련된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작업의 위험부담이 더욱더 커지게 만드는 것으로 근자 위험성에 기인하여 숙련된 작업자를 육성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결론적으로 전로의 작업소요는 빈발하며 정전후 작업은 안전하나 수용가의 피해 및 불만이 높고, 활선작업으로 수용가 요구에 부응하게 되면 작업위험도에 의거 작업자가 기피하는 사회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근자 작업소요구간을 건전구간으로부터 분리시켜 정전상태로 하고 이 정전구간의 수용가에는 건전구간으로부터 분기가설한 케이블에 의해서 임시적으로 전력공급이 되게 하여 작업소요구간을 안전하게 공사하는 일명 가송전공법(바이패스공법)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송전공법에서는 건전구간으로부터 바이패스전로를 형성하는 케이블의 가설(假說)이 필요하고, 이 가설케이블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연장설치되면서 분기되기도 한다. 이때 케이블의 연장과 분기를 위하여 착탈구조 및 전기적인 접속 그리고절연이 가능한 접속부재가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접속부재는 가설(假說) 및 해체가 용이하여야 하며 기계적인 접속 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되어야 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여야 함과 함께 케이블의 포설장력이 걸린 상태에서도 빠지지 아니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종래에는 양측에 나사를 형성하여 다수 회동시켜 결합하는 구조의 것이 있었으나 현장실정에 부합하기에는 부적합한 작업의 불편함, 현장의 흙등에 의한 나사에 이물질 오손으로 작업곤란 및 착, 탈의 어려움등의 문제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직선접속재와 T형의 분기접속재를 적절히 가설하여 바이패스 전로를 형성하므로 매 가설작업 및 기타의 기기(변압기, 차단기등)의 접속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건전선로구간으로부터 본선접속클램프를 접속하여야 하는 번잡함과 위험성도 상존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접속부재의 요구특성과 종래기술이 갖는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현장 작업성이 극히 우수하며 기계적으로 견고하여 포설장력에도 이탈의 우려가 없으며 사용이 간편한 동시에 다양한 와부기기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분기구가 마련되고 상시 설치되어 매 필요시 마다 커넥터를 착탈하는 것에 의하여 새로운 전로를 형성하거나 또는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어 무정전 공사시에도 유용한 배전선로용 π분기 접속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체와 이 도체를 피복하는 절연체로 몰드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접속재에 있어서, 도전재로써 이루어지고 그 단부에 각각 소켓터미널(11)을 결합하여된 π형도체(12)와, 이 도체를 피복하는 반도전층(13), 절연층(14), 쉴드층(15)을 차례로 몰드성형 하되 상기 각각의 단부를 테이퍼면(16)으로 형성하여 π분기부(10)를 이루고, 상기 π분기부의 테이퍼면(16)에 일치결합되는요입부(21)와 중심통공(22)이 마련된 절연층(23)과 쉴드층(24)으로 몰드성형된 하우징(25)과, 이 하우징의 중심통공(22)으로 케이블(C)의 단부를 압입하는 상태로 수장하는 아답타(26)를 결합하되, 상기 케이블 단부에는 핀 터미널(27)을 압축결합하여 직선접속부(20)를 이루며, 상기 π분기부(10)를 감싸는 2분할된 π형 커버부재(30)와 상기 직선접속부(20)를 감싸는 2분할된 커버부재(40)를 이루어 상기 커버부재(30),(40)간에 홈부와 돌부(32,41)(31,42)가 상호 합치되도록 결합하여 그 외곽을 다수의 볼트와 넛트로써 나합고정하여 배전선로용 π분기 접속재(1)를 이루는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써 P는 커버부재 주연의 플랜지를, H는 볼트홀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효과를 이하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수의 분기구를 갖는 것에 의하여 매 시공현장의 여건에 따라서 그 적응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즉 π형도체(12)는 그 단부에 간단용이하게 접속을 실현하도록 소켓터미널(11)을 형성하고 다층의 절연물로써 몰드성형되어전기적으로 매우 안전하게 이루어지며, 그 외부에 상기 π분기부(10)를 감싸는 2분할된 π형 커버부재(30)를 통하여 기계적으로도 견고하게 된다.
한편, 상기 π분기부(10)에 접속되는직선접속부(20)는 선단에 핀터미널(27)을 압축결합한 케이블(C)이 아답타(26)내에 수장되도록 하여 하우징(25)의 중심통공(22)에 위치하는데 이 중심통공(22)내에 결합되는 케이블(C)의 직경에 따라서 상기 아답타(26)의 내경은 가변적으로 형성되어 개재되므로 매 직경이 상이한 케이블마다 하우징의 중심통공이 가변제조 되는 것이 아니고 아답타(26)만을 가변제조하게 되므로 제조관리 및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압입된 케이블(C)을 수장한 직선접속부(20)는 그 요입부(21)가 상기 π분기부(10)의 테이퍼면(16)에 일치결합되면서 상기 소켓터미널(11)과 이 핀터미널(27)이 상호 압입접속되어 통전이 실현되므로 접속이 극히 간편하다.
물론 π분기부(10)와 직선접속부(20) 상호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은 알루미늄등의 경량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30),(40)간에 그 단부에 형성된 홈부와 돌부(32,41)(31,42)가 상호 결합되고 볼트로써 그 주연부가 체결됨으로써 2분할된 커버부재가 결합되며 상호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형성되어 분해와 조립등의 현장작업에 적합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여러 시공 예를 설명하면 이해가 용이할 것이다.
제3도 (a)에는 전주상에 본 고안의 π분기 접속재(1)가 설치된 하나의 예로써 이는 적절한 고정구조물에 결합고정된다.
상기 시공예에서 본 고안은 분기접속과 동시에 후비측 선로를 단선한 상태에서 무정전 공사용 케이블(L1)을 나머지 하나의 터미널에 연결하여 임시 가설된 바이패스 전로를 구성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공사가 종료되면 상기의 역순으로 후비측 선로를 재 접속하고 상기 바이패스전로를 철거하면 매우 용이하고 안전하게 무정전 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3도의 (b)의 경우에는 지중케이블(L2)과 가공전로가 형성되는 구간에서 접속재로 사용되며 일측이 무정전 공사용 케이블(L1)을 접속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경우이고,
제3도의 (c)의 경우에는 전, 후비측을 연결하는 전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일측은 무정전 공사용 케이블(L1)을 타측은 변압기 접속용 케이블(L3)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외에도 다수의 분기구에 접속되는 외부기기는 다양하며 예로써 단로기, 차단기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적어도 절연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다수의 분기가 가능한 π형 분기접속재를 이루어 상시 설치사용 되면서 매 필요시 마다 커넥터(핀, 소켓터미널)를 삽탈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외부기기를 접속할 수 있으며 무정전공사시와 같은 경우 새로운 전로의 구성이 극히 용이한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특히 필요로 하지는 않지만 분기구의 증설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Claims (1)
- 도전재로써 이루어지고 그 단부에 각각 소켓터미널(11)을 결합하여된 π형도체(12)와, 이 도체를 피복하는 반도전층(13), 절연층(14), 쉴드층(15)을 차례로 몰드성형 하되 상기 각각의 단부를 테이퍼면(16)으로 형성하여 π분기부(10)를 이루고, 상기 π분기부의 테이퍼면(16)에 일치결합되는 요입부(21)와 중심통공(22)이 마련된 절연층(23)과 쉴드층(24)으로 몰드성형된 하우징(25)과, 이 하우징의 중심통공(22)으로 케이블(C)의 단부를 압입하는 상태로 수장하는 아답타(26)를 결합하되, 상기 케이블 단부에는 핀 터미널(27)을 압축결합하여 직선접속부(20)를 이루며, 상기 π분기부(10)를 감싸는 2분할된 π형 커버부재(30)와 상기 직선접속부(20)를 감싸는 2분할된 커버부재(40)를 이루어 상기 커버부재(30),(40)간에 홈부와 돌부(32,41)(31,42)가 상호 합치되도록 결합하여 그 외곽을 다수의 볼트와 넛트로써 나합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π분기 접속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7329U KR0129597Y1 (ko) | 1995-09-30 | 1995-09-30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27329U KR0129597Y1 (ko) | 1995-09-30 | 1995-09-30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414U KR970015414U (ko) | 1997-04-28 |
KR0129597Y1 true KR0129597Y1 (ko) | 1998-12-15 |
Family
ID=1942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27329U KR0129597Y1 (ko) | 1995-09-30 | 1995-09-30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9597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864B1 (ko) * | 2008-05-08 | 2008-10-23 | (유)제이케이엔지니어링 | 다회 사용가능한 접속금구 |
KR100933321B1 (ko) * | 2009-09-01 | 2009-12-28 | 오대영 | 변전반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
WO2013015475A1 (ko) * | 2011-07-27 | 2013-01-31 | 주식회사 평일 |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
KR102338920B1 (ko) * | 2021-02-15 | 2021-12-14 | 주식회사 강남엔지니어링 | 배전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
1995
- 1995-09-30 KR KR2019950027329U patent/KR01295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4864B1 (ko) * | 2008-05-08 | 2008-10-23 | (유)제이케이엔지니어링 | 다회 사용가능한 접속금구 |
KR100933321B1 (ko) * | 2009-09-01 | 2009-12-28 | 오대영 | 변전반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
WO2013015475A1 (ko) * | 2011-07-27 | 2013-01-31 | 주식회사 평일 |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
KR102338920B1 (ko) * | 2021-02-15 | 2021-12-14 | 주식회사 강남엔지니어링 | 배전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5414U (ko) | 1997-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01187B1 (en) | Pre-wired universal junction block | |
EP0070696B1 (en) | Cable jointing connector and method | |
US9997897B2 (en) |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 |
US7247045B1 (en) | Modular connection assembly | |
EP0087267B1 (en) | An electrical high-voltage connector and connection assembly | |
JP4231001B2 (ja) |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 |
KR102338920B1 (ko) | 배전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
KR100751518B1 (ko) |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 |
WO2013015475A1 (ko) |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용 접속장치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곡률반경 축소 접속시공방법 | |
KR0129597Y1 (ko) | 배전 선로용 파이분기 접속재 | |
KR101013587B1 (ko) | 절연단자소켓 및 절연단자소켓을 구비한 배전반 | |
US20150280439A1 (en) | Apparatus for grounding interconnected electrical components and assemblies | |
KR200331163Y1 (ko) | 배전반 | |
KR101013585B1 (ko) | 절연모선 및 절연모선을 구비한 배전반 | |
CA2093865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protection | |
CN113612172A (zh) | 一种预制装配式电气快装管线、连接装置和系统 | |
KR200410804Y1 (ko) | 계량기함의 전원선 연결기구 | |
US7211751B1 (en) | Switch for electric cable wiring | |
KR200144092Y1 (ko) | 배전 선로용 정션 유니트 | |
KR200251091Y1 (ko) |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와 저압케이블의 접속을 위한접속슬리브 | |
JP3291582B2 (ja) | 分岐付き高圧電力配線路 | |
CN108711800B (zh) | 一种0.4kV快速转接箱 | |
JPH06327133A (ja) | 分岐接続部 | |
JPH0511658Y2 (ko) | ||
JP2573158B2 (ja) | 単相三線式電力量計の取替え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されるトラン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