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422Y1 - 비례전자석 - Google Patents

비례전자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422Y1
KR200171422Y1 KR2019970019766U KR19970019766U KR200171422Y1 KR 200171422 Y1 KR200171422 Y1 KR 200171422Y1 KR 2019970019766 U KR2019970019766 U KR 2019970019766U KR 19970019766 U KR19970019766 U KR 19970019766U KR 200171422 Y1 KR200171422 Y1 KR 200171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ush rod
solenoid
yoke
proportional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314U (ko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김명준
우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준, 우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명준
Priority to KR2019970019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42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3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 압력 및 방향 등을 제어하는 각종 전자 밸브에 사용되는 비례전자석에 관한 것으로서, 비례전자석의 제조시 요크 및 스테인레스 파이프의 자화특성이 열화되거나 내압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비례선자석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I)가 공급되는 솔레노이드(31)와, 플런저용 베어링(39)이 장착되는 플런저(32)와, 한쪽은 상기 플런저(32)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유압밸브의 스풀과 연결되며, 푸시로드용 베어링(38)이 장착된 푸시로드(40)와, 중앙에 상기 푸시로드(4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32)가 삽입되는 공간(S1)과 그 외주면예는 솔레노이드(31)가 장착되는 공간(S2)이 형성됨과 동시에 0 링(36)이 장착되는 홈(Hl)이 형성되는 요크(33)와, 국부적인 레이저 가공에 의해 헤드(37)에 접합되는 스테인레스 파이프(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전자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례전자석
제1도는 종래 내압형 비례전자석의 단면도.
제2도는 비례전자석의 플런저 변위 대(對) 자력 특성선도.
제3도는 비례전자석을 이용한 유공압밸브의 스풀 구동을 나타내는 도면.
제4(a),(b)도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솔레이노이드 2, 32 : 플런저
3, 33 : 요크 4, 34 : 에어 갭
5 : 튜브 6 : 황동 링
7, 37 : 헤드 8, 38 : 푸쉬로드용 베어링
9, 39 : 플런저용 베어링 10, 40 : 푸쉬 로드
11 : 유압밸브 하우징 12 : 유압밸브 스풀
13 : 복원 스프링 35 : 스테인레스 파이프
36 : 0 링 PM : 비례전자석
본 고안은 유량, 압력 및 방향 등을 제어하는 각종 전자 밸브에 사용되는 비례전자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적인 입력신호에 따라 유압밸브의 스풀 변위를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비례전자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내압형의 비례전자석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밸브의 스풀 변위를 전기적인 입력신호에 비례하도록 조절하기 위해, 솔레노이드(1)에 인가되는 직류 전류(I)에 비례하는 크기의 자력을 플런저(2)와 요크(3) 사이의 에어 갭(air gap)(4)에서 발생시킨다. 이때, 인반 직류 전자석 대신에 비례전자석을 사용하는 이유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의 이동에 따라 에어 갭(air gap)(4)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자력의 세기가 변동하지 않으면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밸브의 스풀(12)의 한쪽 끝에 복원 스프링(13)을 설치하고, 그 반대쪽에 비례전자석(PM)을 설치한 상태에서 비례전자석의 솔레노이드(1)이 소정의 전류(I)를 인가하여 증가시키면, 플런저(2)와 요크(3) 사이의 에어 갭(air gap)(4)에서 자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자력에 의해 플런저(2)가 푸시로드(10)를 통해 스프링(13)을 압축하면서 요크(3)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솔레노이드(1)에 공급되는 전류(I)를 감소시키면,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푸시로드(10)를 통해 플런저(2)가 요크(3)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즉, 스프링(13)의 압축변위는 솔레노이드(1)로 공급되는 전류(I)의 양에 비례하므로, 플런저(2)의 이동변위와 상기 솔레노이트(1)로 공급되는 전류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또한, 비례전자석은 내부에 채워지는 유압 오일의 압력이 공급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할 수 있어야 하므로, 비례전자석은 100bar 이상의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내압 구조로 제작하고 있다. 이 비례관계의 선형성은, 비례전자석의 구조적 관점에서 보면, 요크(3)와 튜브(5)를 연결하는 비자화성 황동 링(6)의 단면 형상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비례전자석을 제조하는 경우, 비자화성 황동 링을 요크와 튜브 사이에 접합할 때 발생되는 열에 의해 요크와 튜브의 자화 특성이 열화되거나, 비자화성 황동 링이 잘 용착되지 않음으로써 황동 링의 내부에 기포가 발생하여 내압 강도가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례전자석의 제조시 요크 및 스테인레스 파이프의 자화 특성이 열화되거나 내압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례전자석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례전자석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I)가 공급되는 솔레노이드(31)와, 플런저용 베어링(39)이 장착되는 플런저(32)와, 한쪽은 상기 플런저(32)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유압밸브의 스풀과 연결되며, 푸시로드용 베어링(38)이 장착된 푸시로드(40)와, 중앙에 상기 푸시로드(4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32)가 삽입되는 공간(S1)과 그 외주면에는 솔레노이드(31)가 장착되는 공간(S2)이 형성됨과 동시에 0 링(36)이 장착되는 홈(Hl)이 형성되는 요크(33)와, 국부적인 레이저 가공에 의해 헤드(37)에 접합되는 스테인레스 파이프(3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정의 전류(I)를 솔레노이드(31)로 공급하면, 요크(33)와 스테인레스파이프(35) 사이의 에어 갭(34)에서 자력 발생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31)로 공급하는 전류(I)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플런저(32)가 요크(33)쪽으로 접근하고, 상기 에어 갭(34)이 작아지면서 상기 플런저(32)의 한쪽에 연결된 푸시로드(40)가 유압밸브의 스풀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31)로 공급하는 전류(I)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플런저(32)가 요크(33)쪽으로부터 멀어지고, 에어 갭(34)이 커지면서 상기 플런저(32)의 한쪽에 연결된 푸시로드(40)가 헤드(37)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푸시로드용 베어링(38)은 상기 푸시로드(4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위해 장착되는 것이고, 또 플런저용 베어링(39)도 플런저(32)의 이동을 원활하게하기 위해 장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국부적인 레이저 가공에 의해 스테인레스 파이프(35)를 상기 헤드(37)에 접합하기 때문에, 상기 요크(33)와 스테인레스 파이프(35)의 자화 특성을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또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압 강도도 감소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국부적인 레이저 가공에 의해 비자화성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요크에 접합하므로,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요크 및 튜브의 자화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 스테인레스 파이프와 요크의 접합시 기포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비례전자석에 있어서, 소정의 전류(I)가 공급되는 솔레노이드(31)와, 플런저용 베어링(39)이 장착되는 플런저(32)와, 한쪽은 상기 플런저(32)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유압밸브의 스풀과 연결되며, 푸시로드용 베어링(38)이 장착된 푸시로드(40)와, 중앙에 상기 푸시로드(40)가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32)가 삽입되는 공간(S1) 그 외주면에는 솔레노이드(31)가 장착되는 공간(S2)이 형성됨과 동시에 0 링(36)이 장착되는 홈(Hl)이 형성되는 요크(33)와, 국부적인 레이저 가공에 의해 헤드(37)에 접합되는 스테인레스 파이프(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전자석.
KR2019970019766U 1997-07-25 1997-07-25 비례전자석 KR200171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66U KR200171422Y1 (ko) 1997-07-25 1997-07-25 비례전자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766U KR200171422Y1 (ko) 1997-07-25 1997-07-25 비례전자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14U KR19990006314U (ko) 1999-02-25
KR200171422Y1 true KR200171422Y1 (ko) 2000-04-01

Family

ID=19506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766U KR200171422Y1 (ko) 1997-07-25 1997-07-25 비례전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4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14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3332A (en) Adjustable, rectilinear motion proportional solenoid
KR20000070115A (ko) 전자기 밸브 및 전자기 밸브의 스트로크 조절 방법
CA2194116A1 (en) Proportional variable force solenoid control valve
US6405757B1 (en) Low power solenoid valve assembly
KR100495708B1 (ko) 전자밸브
US6092784A (en) Coil assembly useful in solenoid valves
KR970706999A (ko) 밸브장치(valve assembly)
US4638973A (en) Inline solenoid operated slide valve
US5311162A (en) Solenoid device
US4940958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apparatus
JPS60159405A (ja) サ−ボ弁
US5174336A (en) General purpose fluid control valve
JPH0371605A (ja) 電磁弁
JPH024833B2 (ko)
CA1155893A (en) Direct current solenoid operator having non- magnetic core tube
KR200171422Y1 (ko) 비례전자석
KR890007484Y1 (ko) 전자 솔레노이드 장치
JP2008196597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JP2000277327A (ja) リニアソレノイド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弁
WO2020110881A1 (ja) ソレノイド
KR100677853B1 (ko) 브레이크 컨트롤 시스템용 솔레노이드밸브
JP6571898B2 (ja) 電磁式駆動ユニット
US6281772B1 (en) Dynamic dampening in a frictionless solenoid valve
GB2186744A (en) Electromagnets for fuel injection equipment
JP2007100829A (ja) バル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